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급변하는 통상환경…’포스트 코로나’ 대응 전략 한 목소리

배군득 기자 (lob13@dailian.co.kr)
입력 2020.05.07 11:22 수정 2020.05.07 11:24

통상전문가들 ‘디지털경제’ 가속화 예의 주시

“정부, 통상 정책 글로벌경제 흐름 파악해 대비해야”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이 주최한 '문재인 정부 3년 대외경제정책 성과와 과제' 정책토론회가 7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열렸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이 주최한 '문재인 정부 3년 대외경제정책 성과와 과제' 정책토론회가 7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열렸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글로벌경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포스트 코로나’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무역이 증가하고 디지털 시스템이 통상환경에 개입하는 등 급격한 변화가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통상전문가들도 급변하는 글로벌경제에 대응하기 위한 전력이 서둘러 마련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현재 침체된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도 정부가 포스트 코로나에 대한 속도감 있은 정책을 내놔야 한다는 것이다.


7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개최한 정책토론회에서 김영민 LG경제연구원장, 안덕근 국제통상학회장, 장윤종 포스코경영연구원장 등은 포스트 코로나 대비에 한 목소리를 냈다.


김영민 원장은 “코로나19가 가져올 소비, 산업, 교역 패러다임 변화를 활용하기 위해 규제개혁과 신사업지원 중요성이 부각될 것”이라며 “강한 억제정책과 기온상승으로 확산세는 둔화되겠지만 치료제·백신 개발 어려움을 고려하면 적어도 내년 상반기까지 제한적 확산세가 지속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특히 경제활동이 재개되더라도 감염 우려가 지속돼 코로나가 종식될 때까지 예년 수준 회복이 쉽지 않다는 견해를 내비쳤다. 경제 영향의 경우 이미 만성적이 수요부진 상황에 봉착한 세계경제가 코로나19 충격으로 인해 심각해진 수준이다. 이로 인해 하반기에도 회복속도가 느릴 것으로 분석했다.


김 원장은 “선진국 중 유럽의 경제충격이 가장 크다. 재정위기 재현 및 유로존 분열 가능성이 대두되는 상황”이라며 “신흥국 중에서는 브라질에서 외환위기 우려가 감지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경제정책 초점은 코로나 충격으로 경제적 피해를 입은 가계, 자영업, 기업들이 코로나 상황이 안정될 때까지 버텨내서 경제의 중요한 하드웨어 기반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데 역점을 둬야 한다”고 조언했다.


안덕근 국제통상학회장은 신통상규범에 대한 적응성 확대와 한·중·일 지역공급망 안정적 관리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과제로 제시했다.


디지털 무역이 부상하면서 세계 시가총액 톱10 기업 가운데 플랫폼 기업 비중이 높아진 부분을 지목했다. 실제로 지난해 세계 시가총액 1~4위를 보면 모두 플랫폼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아마존, 알파벳은 10년 전인 2009년에는 10위권 진입도 어려운 기업들이었다.


안 회장은 “글로벌 시장은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며 “특히 미국과 중국 무역관계는 디커플링(탈동조화 현상) 가속화가 진행되는 추세다. 우리나라도 이런 흐름에 발맞춰 신통상규범에 대한 적응성 확대와 한·중·일 지역공급망의 안정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장윤종 포스코경영연구원장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U자형 경기회복 시나리오에 무게를 뒀다. 비대면(언텍트) 문화와 기술발전에 맞물린 산업기술 변곡점으로 ▲온라인 서비스 부상 ▲제조업 서비스화 확대 ▲B2B 제조업 강화 ▲모든 산업 디지털 전환 ▲4차산업혁명에 따른 신산업 발전을 꼽았다.


장 원장은 “구조변화를 주도할 ‘혁신형 산업생태계’ 확립이 포스트 코로나 성패의 관건이 될 것”이라며 “정부는 대·중소기업 혁신협력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제도적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 더불어 디지털 전환과 서비스화 등 변화에 선제적·능동적 대처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배군득 기자 (lob13@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