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오존 농도, OECD 중 최고…‘경기도’ 원인물질 최다 배출
입력 2024.12.16 11:11
수정 2024.12.16 11:12
1990년 이후 오존 지속 증가
인구 가중치 고려하면 최고
우리나라 오존(O3) 농도가 2019년 기준 인구 가중치를 고려하면 OECD 가입국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환경연구원(KEI, 원장 이창훈)은 16일 ‘국내 고농도 오존 관리를 위한 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에서 우리나라 오존 농도는 1990년 이후 지속 증가 중이며, 2019년에는 인구 가중치를 고려한 경우 오존 농도가 OECD 가입국 중 가장 높았다고 밝혔다.
환경연구원은 “국내외 오존 농도 현황과 관리 현황을 살펴보면, 전 지구적으로 대류권 오존의 농도는 증가하고 있으나 지역에 따라 선진국 농도는 감소하는 반면 중국과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농도 증가가 두드러졌다”고 설명했다.
주요 선진국에서는 오존 생성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물질인 질소산화물(NOx)과 휘발성유기물질(VOCs)의 효과적 배출 관리를 통해 이들 배출량이 점진적으로 감소했다.
우리나라는 2021년 기준 NOx와 VOCs 약 50%가 17개 광역지자체 가운데 상위 4개 지역에서 배출했다.
NOx는 경기도에서 가장 많았고 전라남도와 경상북도, 충청남도가 그 뒤를 이었다. VOCs는 경기도, 전라남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순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NOx 배출량은 감소하는 반면, VOCs는 상대적으로 정체하고 있다.
환경연구원은 오존 농도와 배출량 변화 분석을 통한 고농도 현황 파악 및 오염 원인에 대한 정기적이고 정례적인 진단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또한 지역별 또는 지역 간 영향에 대한 원인 규명 및 대책 수립을 위한 협력 의제 도출, 4월부터 9월에 집중되는 오존 고농도 기간 및 사례에 대한 집중 관리제도 도입, 광화학 측정 고도화, 국외(중국) 영향에 대한 모니터링 및 배출 정보 등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한·중·일 환경장관회의 등 국제협력 논의 주제를 오존으로 확대하고, 오존 문제 해결을 위해 각국이 취하는 원인물질 발생 저감 정책과 그 성과에 대한 정보 교류 강화를 통해 오존 문제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