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니어 기술창업 증가…대한상의 "마중물 정책지원 늘려야"

정진주 기자 (correctpearl@dailian.co.kr)
입력 2024.10.13 16:07 수정 2024.10.13 16:11

지난 8년간 40대 이상 기술창업 비중, 20·30대보다 큰 폭으로 증가

고학력 비율 증가·재직기간 축적된 기술·네트워크 활용해 고부가가치 창업

시니어층 창업 지원, 은퇴자의 안정적 삶 도모·지역경제 활성화 효과

국내 창업 중 기술창업 지역별 비중. ⓒ대한상공회의소

40대 이상의 기술창업이 늘어나는 가운데 지역 내 시니어 기술창업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3일 '베이비부머의 지역 내 고부가가치 창업 활성화 방안 연구' 보고서를 통해 "최근 늘어나는 시니어 기술창업을 지역으로 유치해 양질의 일자리를 증가시키고 지역 산업 생태계의 고부가가치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밝혔다.


대한상의가 지난 8년간(2016∼2023년) 국내 창업 활동 추이를 분석한 결과, 40대와 50대, 60대 이상의 기술창업 비중이 각각 3.0%p, 3.8%p, 2.5%p 증가해 대조를 보였다. 같은 기간 20대는 0.9%p 늘었고 30대는 증감 폭이 없는 것과 비교하면 40대 이상의 기술창업 비중이 상당히 높은 것이다.


보고서는 이를 과거보다 학력 수준과 전문성이 높아진 2차 베이비부머 세대(1964∼1974년생)가 그간 업계에서 쌓아온 기술과 네트워크를 활용해 고부가가치 창업에 나선 결과라고 해석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2차 베이비부머 세대의 고등교육 이수 비율은 45.6%로 OECD 평균(35.6%)를 크게 상회하며 10위를 기록했다. 또한, 통계청 지역별고용조사(2023년 기준)에 의하면 2차 베이비부머 중 전문일자리로 분류되는 직업군에 종사하는 비율은 60.6%로, 1차 베이비부머(51.4%)보다 높아 2차 베이비부머가 더 높은 전문성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창업은 8년간 전국적으로 증가했으나 수도권이 비수도권 보다 더 크게 증가했다. 국내 기술창업은 2016년 19만674개에서 2023년 22만1436개로 8년간 16.1% 늘었다.


특히 수도권에서 비수도권보다 더 많이 늘었다. 같은 기간 수도권의 기술창업은 11만254개에서 13만5천42개로 22.5% 증가했고,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7.8%에서 61.0%로 늘었다. 비수도권의 기술창업은 8만420개에서 8만6394개로 7.4% 증가했고 그 비중은 42.2%에서 39.0%로 감소했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의 기술창업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16년 27.5%에서 2023년 31.6%로 4.1%p 증가해 가장 크게 늘었고, 인천이 5.1%에서 5.8%로 0.7%p 증가해 뒤를 이었다.


서울은 25.3%에서 23.7%로 1.6%p 감소했으나, 대부분 경기, 인천, 충남 등 인근 지역으로 흡수된 것으로 보인다고 대한상의는 해석했다. 반면 경남은 2016년 7.0%에서 2023년 5.2%로 1.8%p 하락해 전국 17개 광역 시도 중 하락 폭이 가장 컸다.


김지수 산업연구원 지역균형발전연구센터 연구위원은 "고학력·전문화된 시니어층의 기술창업이 늘어나는 만큼 이들이 지역에서 적극적으로 기술창업에 나설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 필요해 보인다"고 언급했다.


보고서는 시니어층이 지역에서 고부가가치 창업을 할 수 있도록 재정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우리나라보다 먼저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를 경험한 일본과 독일의 경우 지방정부가 적극적으로 시니어 창업을 위한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일본은 지방자치단체가 창업 인큐베이터 역할을 하는 벤처 플라자의 운영비용 일부를 부담하고 있으며, 독일도 50세 이상 시니어 창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의 운영비용의 70∼80%를 지방 주정부에서 부담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중장년기술창업센터를 통해 만 40세 이상의 시니어 기술창업을 지원하고 있지만, 예산 규모가 2021년 42억원에서 2024년 약 33억원으로 축소됐고 센터 개수도 같은 기간 33개에서 27개로 줄었다.


아울러 기술창업에 나서는 시니어층의 신용 제약을 완화하고, 시니어층을 대상으로 한 교육 서비스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지역 대학·기업과 연계한 공동 연구개발(R&D) 및 컨설팅 등 지원 사업, 지자체의 매칭 자금 지원을 통한 중앙정부와 중장년기술창업센터의 협업 강화 등도 제시했다.


조성환 대한상의 지역경제팀장은 "우리보다 먼저 고령사회로 진입한 국가들에서는 지역을 중심으로 시니어층 창업을 지원함으로써 은퇴자의 안정적 삶을 도모하는 동시에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일석이조 효과를 얻고 있다"며 "고령사회 진입 이전에 짜인 창업 지원 정책의 틀에서 벗어나 창업에 나서는 시니어층이 겪는 신용 제약을 완화하고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협력해 창업 마중물 역할을 하는 정책 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정진주 기자 (correctpearl@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