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혁신당' 전당대회 코앞인데 '발등 불'…벌써 국민적 관심 줄었나
입력 2024.07.17 06:00
수정 2024.07.17 06:00
컨벤션 효과 '전무' 기정사실화 기류
4·10 총선 후 지지율은 답보 지속
"조국 전 대표 대체인물 안 보이고
이슈 주도력·원내 존재감에도 문제"
조국혁신당 전당대회가 불과 사흘 앞으로 다가왔지만 조국 전 대표의 경쟁자 없는 단독 입후보, 최고위원 후보의 기근으로 전혀 주목을 받지 못하는 모습이다. 혁신당은 4·10 총선에서 돌풍을 일으키며 12석을 획득, 원내 진입에 성공했다. 하지만 이후 조국 전 대표에 대한 의존도와 비교섭단체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며 국민적 관심에서 멀어지고 있다는 관측이다.
혁신당은 20일 오후 경기수원컨벤션센터에서 전당대회를 개최한다. 전당대회는 단독 출마한 조 전 대표의 재신임 여부를 묻는 자리가 될 전망으로, 조 전 대표가 추대가 아닌 '선출' 당대표로서 새 임기를 시작하게 될 전망이다. 이번 전당대회에서 최고위원은 3명의 후보 중 2명을 선출한다.
신임 지도부는 5명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새로 선출될 당대표 △황운하 원내대표 △새로 선출될 최고위원 2명 △당대표가 지명한 지명직 최고위원의 진용을 갖추게 된다.
당대표 선거 후보 신청자는 조 전 대표 한 명이고, 최고위원 후보 신청자는 김선민 의원과 원외 인사인 황명필·정도상 후보(기호순) 2명이다. 당 안팎에서 자천타천 거론돼 오던 다수의 현역 의원들은 최고위원에 최종적으론 도전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혁신당 전당대회는 맥이 빠진 모습을 연출하게 됐다.
당이 최근 10% 안팎의 지지율 답보를 이어가는 상황에서, 전당대회를 통한 컨벤션 효과마저 누리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조 전 대표 스스로 '전당대회의 대박 흥행을 기대하지 않는다'는 자조적인 표현마저 숨기지 않고 있다.
조 전 대표는 지난 4일 당대표 연임 도전 출마 선언 후 기자들을 만나 전당대회 흥행 부진이 우려된다는 인식과 관련 "이번 전당대회에서 대박 흥행을 기대하고 있지 않다"며 "전당대회 목표는 조직 체계를 안정화시키는 것"이라는 입장을 피력했다. 이어 이번 전당대회의 의미를 "(추대가 아닌 선출을 통한) 지도부의 민주적 정당성 확보와 조직 체계의 재정비가 목표"라고 규정했다.
혁신당은 지난 총선에선 비례대표 득표율 24.25%을 기록하며 거대 양당의 비례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 36.67%, 민주연합 26.69%에 이어 선전을 했다. '지민비조(지역구는 민주당, 비례는 조국혁신당)' 전략이 적중하면서 지지세가 급속 확장 됐고 '검찰독재 조기종식'이란 강경 기치 역시 '조국 바람'을 불게 하는 데 일조했다.
하지만 총선 이후에는 당 지지율이 10% 안팎에 머무는 지지율 답보 상태를 유지함과 함께 혁신당의 전당대회도 사실상 흥행에 실패했다는 혹평을 피해 가지 못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흥행 부진의 이유로 당의 이슈 주도력과 원내에서의 존재감 부재 문제 등을 꼽고 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지금은 정치권의 핫이슈가 조국이 아니다. 김건희 여사를 둘러싼 싸움, 여당에서 당권 경쟁이 폭발되니 모든 이슈가 그쪽에 쏠리고 있다"라며 "민주당은 이재명 전 대표에 김두관 전 의원이 경쟁자로 나왔으니, 김 전 의원이 얼마나 선전할 수 있을까도 관심사지만 조 전 대표는 그마저도 없다"라고 평가절하했다. 또 "교섭단체가 됐다고 했으면 국회에서의 존재감을 부각했을 수 있었을텐데 그러지 못했다"고 진단했다.
박 평론가는 혁신당의 돌파구론 "민주당과의 차별성 경쟁에서 당의 존재감을 높여야 한다"며 "민주당과, 이재명 전 대표와 싸워야 한다. 그래야 몸값이 올라가고 (민주당과) 합치든지 통합을 하든지가 다음 문제가 되는 것"이라고도 내다봤다.
최병천 신성장경제연구소장도 "혁신당의 지지율 하락 이유는 정치에서의 이슈 주도력"이라며 "조 전 대표의 인지도는 워낙 높아 '어대조(어차피 당대표는 조국)'이다. 경쟁자가 없으니 전당대회에 관심이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명 전 대표도 추대가 됐으면 민주당 전당대회에 대한 관심은 더 없었을 것"이라고 빗대 설명하기도 했다.
그는 "돌파구를 찾는 게 쉽지 않다"면서도 "원론적으로는 과거 민주노동당 초창기 모델을 얘기할 수는 있다"고 했다. 최 소장은 "과거에 민주노동당의 의석수는 10석이었는데, 상가 임대차 보호법이나 카드 가맹점 수수료 같은 이슈를 통해서 주도권을 잡았었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