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항의 어쩌라고”…편의점, 일회용 비닐봉지 대체제 마련 분주

임유정 기자 (irene@dailian.co.kr)
입력 2022.10.18 06:42
수정 2022.10.18 10:49

일회용품 사용 제한하는 법안 11월 24일 시행

일회용 비닐봉투 발주 중단 등 즉각 조치

소비자 불만 등 현장 불편 클 것으로 예상

한 편의점에서 직원이 친환경 비닐봉지에 물건을 담아주고 있다.ⓒBGF리테일

내달 말부터 편의점에서 일회용 비닐봉지에 물건을 담아갈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편의점 업계는 단계적으로 일회용 봉투 발주를 중단하고 다회용과 종량제 봉투를 도입하는 등 대체 방안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시행 초기 혼란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다음 달 24일부터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 따라 편의점에서 비닐봉투 사용이 전면 금지된다. 일회용품 폐기물을 줄여 탄소중립을 촉진하겠다는 의도다. 적발 횟수에 따라 50만~2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정부는 일회용품 감축 정책을 순차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앞서 2019년에는 대형마트, 슈퍼마켓에서의 속비닐과 비닐봉투 사용을 금지했다. 지난 2020년에는 대형마트 박스포장대의 종이상자와 포장 테이프, 끈 등을 퇴출하기도 했다.


편의점업계는 선제적 조치에 나섰다. CU는 지난 8월부터 일회용 봉투 발주를 단계적으로 제한하고 매장마다 다회용 봉투 사용을 권장해왔다. 이달부터는 일회용 발주는 전면 중단하고 종량제와 다회용 쇼핑백, 종이봉투 등을 대체 판매 중이다.


GS25도 이미 일회용 비닐봉지 발주를 중단했다. 그간 월평균 약 2000만장가량 일회용 비닐봉지를 사용해 왔으나, 사용량을 대폭 줄였다. 지난 7월 초부터 매장마다 일회용 발주 중단 사실과 대체재로 사용할 수 있는 종이·부직포·종량제 봉투 운영 방안을 안내해 왔다.


세븐일레븐 역시 지난달부터 순차적으로 비닐봉지 발주를 줄이고 있다. 평소 전국 가맹점으로 나가는 비닐봉지는 월 800만개 수준이었지만 이달에는 월 300만개 수준까지 줄었다. 이달 하순부터는 종량제와 다회용 쇼핑백 등으로 전환해 운영할 계획이다.


하지만 편의점업계의 걱정도 만만치 않다. 편의점에서 비닐봉투 사용이 전면금지되면 본사와 중소기업 차원의 손해가 막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미 정부 지침에 따라 중소기업과 손잡고 생분해되는 친환경 봉투 개발에 착수하면서 쓴 비용부담도 문제다.


편의점 본사 관계자는 “정부가 한때 친환경 봉투라고 생분해성 PLA 봉투를 친환경 인증으로 권장해 많은 중소기업들과 대기업들이 개발에 착수했으나, 이제는 매립 문제 등으로 지난해 말 PLA 봉투도 사용을 금지해 비닐봉지 사용 자체가 불법이 됐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이어 “편의점 본사 차원의 투자금도 문제지만, 개발을 함께한 영세한 중소업체들이 정부 정책에 따라 시설에 투자를 하는 등 많은 노력을 해왔을 텐데, 정책이 생분해 봉투 병행 사용이 아닌 금지로 바뀌면서 그쪽 업체들의 손해가 어마무시 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 가맹점주·소비자 모두 ‘불편’…“현장 안내 미흡 지적도”


시행 초기 현장의 불편도 불가피할 것으로 업계 관계자들은 내다보고 있다. 소규모 구매가 많은 편의점 소비 특성상 장바구니 지참이 불편하고, 100원~200원 수준의 종이봉투 구매가 부담돼 소비자 불만이 클 수 있어서다.


특히 홍보와 인식 부족으로 점주와 손님과의 마찰이 빚어질수 있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꼽힌다. 사전에 발주해둔 비닐봉투가 소진됐을 때 종량제 봉투나 종이봉투를 권유해야 하는데, 종량제 봉투의 경우 가격이 기존 봉투보다 더 비싸 일부 손님들의 반발이 불가피할 것이란 설명이다.


실제로 앞서 비닐봉지 무상제공 금지 시행초기에도 소비자들의 불평, 불만이 이어졌다. 사정을 설명해도 ‘왜 안 되느냐’고 항의하는 경우가 많아 현장의 어려움이 컸다는 게 관계자의 전언이다. 당시 대안없는 규제만 이어간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만만치 않았다.


업계 관계자는 “비닐봉지 무상제공 금지 시행초기에 가맹점주와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혼란와 불만이 만만치 않았는데, 이번 역시 항의가 많을 것으로 보인다”며 “이달 말부터 본격적으로 안내, 홍보 등을 강화할 계획이지만 제도가 자리잡을 때까지 적지 않은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유정 기자 (iren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