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차기 통일장관, 이인영‧설훈‧임종석 등 유력…"미국 패싱 우려 커진다"

강현태 기자 (trustme@dailian.co.kr)
입력 2020.06.19 04:00 수정 2020.06.19 05:55

통일부 권한 강화 필요성도 제기돼

전문가 "차기 통일장관, 한미워킹그룹 해체 우려"

서울 종로구 주한미국대사관에 성조기와 태극기가 걸려 있는 모습(자료사진). ⓒ뉴시스 서울 종로구 주한미국대사관에 성조기와 태극기가 걸려 있는 모습(자료사진). ⓒ뉴시스

차기 통일부 장관 하마평에 여당 중진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다. 문재인 정부 1~2기 통일부 장관이 관료, 학자 출신이었던 데다 사실상 제로베이스로 추락한 남북관계를 감안하면 '정치력'에 방점을 찍을 수밖에 없다는 평가다.


유력설이 제기되는 인물은 4선 중진 이인영 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다. 그는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 회장 출신으로 '586(50대‧80년대 학번‧60년대생) 맏형'으로 불린다. 그는 원내대표 당시 선거법‧공수처법 등 여야 쟁점법안들을 강하게 밀어붙인 끝에 모두 통과시켜 여권에서 정치력을 인정받았다. 그는 20대 국회 전후반기 외교통일위원회에서 활동했고 지난 2018년 남북경제협력 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5선 중진 설훈 민주당 의원도 후보로 거론된다. 여당 내에서도 '급진 대화파'로 분류되는 그는 지난 20대 국회 여당 최고위원으로 활동하며 남북 독자사업 추진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해왔다.


일각에선 통일 사업에 매진하겠다며 자리에서 물러난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의 입각설을 제기하고 있지만 일신상의 이유로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관측이다.


범여권에선 통일부 장관을 '실세 장관'으로 만들기 위해 부처 개편이 필요하다는 주장까지 나온다. 통일부가 대북사업의 확실한 주도권을 쥐려면 위상 강화가 우선돼야 한다는 평가다.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은 18일 'YTN 출발 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통일부를 중심으로 NSC(국가안전보장회의)를 이끌어가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며 "NSC 체제를 근본적으로 개편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현재 NSC는 청와대 안보실장 주재 하에 외교부 장관, 국방부 장관, 통일부 장관, 국정원장이 참여하는 구조다.


전문가들은 정치인 통일부 장관 입각설과 맞물려 통일부 위상 제고 필요성이 제기되는 데 우려를 표했다. 북한 비핵화와 별개로 남북관계 개선을 추진할 경우 한미 공조에 균열이 생길 수 있다는 지적이다.


박휘락 국민대 정치대학원 교수는 통화에서 정치인 출신 실세 장관이 입각할 경우 "미국 패싱(젖혀두기) 우려가 가장 높다"며 "나라를 위험에 빠뜨리는 엉뚱한 판단이 나올 수 있다. 특히 눈엣가시로 여겨온 한미워킹그룹을 해체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최근 여권에선 한미워킹그룹에 대한 볼멘소리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현 정부 대북정책 대외 스피커 역할을 맡아온 정세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전 통일부 장관)은 이날 한 포럼 기조연설에서 "한미워킹그룹이 남북관계의 족쇄가 됐다"고 말했다. 앞서 여권 내 대표적 북한통으로 꼽히는 홍익표 민주당 의원도 워킹그룹을 '옥상옥'에 비유하며 "워킹그룹 중지 등의 조치가 나와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한미워킹그룹은 북한 비핵화와 대북 제재, 남북 협력사업 등을 수시 조율하는 한미 협의체로 지난 2018년 11월 20일 공식 출범했다. 북한 비핵화 진전과 맞물린 남북 협력을 강조해온 미국은 워킹그룹을 통해 한국의 대북사업 과속에 대해 지속적인 우려를 표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스티브 비건 미국 국무부 신임 대북정책 특별대표 등이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회담을 진행하는 모습(자료사진).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스티브 비건 미국 국무부 신임 대북정책 특별대표 등이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회담을 진행하는 모습(자료사진).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한편 청와대는 18일 오후 김연철 통일부 장관의 사표 수리를 보류했다는 입장을 밝혔다.


남북관계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주무 부처 장관이 공석일 경우, 긴급 상황 대응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일각에선 후임 인선이 확정되기 전까지 김 장관 체제가 유지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김 장관은 이날 정상 출근해 부내에서 업무를 봤다.


앞서 청와대는 김 장관의 사의 수용 여부를 이날까지 결정해 발표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강현태 기자 (trustm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