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정부, 올해 5G 실내기지국 2천개 구축…28㎓ 대역망도

김은경 기자 (ek@dailian.co.kr)
입력 2020.04.08 16:58 수정 2020.04.08 16:58

5G 장비 점유율 20% 이상 목표

상용화 1년, 가입자 577만명 넘어

국내 이동통신사들이 세계 최초 일반용 5세대 이동통신(5G) 서비스를 조기 개통한 지 하루만인 지난해 4월 4일 서울 강남구 SM타운 ‘케이팝 스퀘어’ 외벽에 설치된 디지털 사이니지에 5G 단말기 광고가 나오고 있다.ⓒ연합뉴스 국내 이동통신사들이 세계 최초 일반용 5세대 이동통신(5G) 서비스를 조기 개통한 지 하루만인 지난해 4월 4일 서울 강남구 SM타운 ‘케이팝 스퀘어’ 외벽에 설치된 디지털 사이니지에 5G 단말기 광고가 나오고 있다.ⓒ연합뉴스

정부가 올해 안에 5세대 이동통신(5G)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2000여개 시설에 실내 기지국을 설치하기로 했다. 5G 서비스를 위한 28기가헤르츠(㎓) 대역망을 구축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기업의 5G 네트워크 장비 점유율을 20% 이상 유지하겠다는 목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8일 ‘제3차 범부처 민·관 합동 5G+ 전략위원회’를 영상회의로 열어 이같이 결정했다.


5G 상용화 1년이 지난 현시점, 가입자는 577만명이고, 구축된 기지국은 11만5000국이다. 이동통신사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상반기에 망 투자규모를 4조원으로 50%가량 확대하고, 영세사업자·소상공인에게 4200억원의 지원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지하철, 공항, 백화점, 중소형 건물 등 2000여개 시설에 5G 실내 기지국을 설치해 커버리지를 확충하기로 했다. 온라인 예배 등 종교활동을 위해 요청할 경우 협의 하에 인빌딩 망 구축을 지원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연내 5G 단독모드(SA) 상용화를 마친다는 계획이다. 이통 3사는 현재 롱텀에볼루션(LTE)과 5G 장비를 일부 공유하는 5G 비단독모드(NSA)를 사용하고 있다.


정부는 28㎓ 대역망 구축을 통해 초고속·초저지연·초연결의 5G 특성을 온전히 구현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통신업계는 5G 주파수 대역으로 3.5㎓ 대역을 사용하고 있다. 3.5㎓ 대역은 LTE보다 속도가 3∼4배 정도 빠르지만, 28㎓ 대역 기지국이 구축되면 네트워크 속도는 최대 20배까지 빨라질 수 있다.


또 정부는 ‘5G+ 전략산업 분야별 2020년 추진목표와 주요 계획’을 마련하고 전략산업 육성을 위해 65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다. 추진계획은 ▲시장선도 추진분야 ▲기반조성 ▲기술개발 등으로 구분된다.


먼저 시장선도 추진분야에서 우리나라의 이동통신 네트워크 장비가 세계시장 점유율 20% 이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5G 스마트폰 핵심부품 개발과 28㎓ 단말기 테스트베드 구축을 추진하기로 했다.


국내 기업이 만든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 15%를 달성하도록 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국내 5G 연관 정보보안 생산액을 전년도보다 211.5% 증가한 679억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위해 기술 개발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올해 우리나라에서 제작한 실감콘텐츠가 국내시장 20% 이상 점유할 수 있도록 하고, 5G 스마트공장 200개를 구축해 글로벌 시장 선도를 추진한다.


기반조성 분야를 보면 미래형 드론을 개발하기 위해 5G 통신모듈 개발 등 인프라 구축과 실증을 추진하고, 2027년 이후 완전자율주행 상용화를 목표로 핵심기술을 확보할 방침이다.


올해 3개 스마트시티 서비스 실증을 완료하고, 5G·인공지능(AI) 응급의료시스템 기반 조성을 위해 시범사업을 할 계획이다.


이밖에 5G 기반 지능형 폐쇄회로(CC)TV를 개발하고, 커넥티드 로봇을 물류·제조·공공 등의 분야에 시범적으로 도입하며, 에지컴퓨팅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술을 개발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날 5G 정책 성과 창출을 위해 ‘5G+ 이노베이션 프로젝트 추진계획’도 확정했다.


정부는 고혈압, 당뇨, 발열, 복통 등 주요 감염병 증상과 질환을 빠르게 진단·분석할 수 있는 ‘닥터앤서 2.0’ 개발과 자율주행 데이터 수집·처리와 통신·보안 등 완전자율주행 핵심 기술개발 사업 등을 기획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각 부처 전문기관과 민간기관이 참여하는 점검반을 구성해 전략 이행 상황을 점검할 방침이다.

김은경 기자 (e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