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상경 투쟁에 가격인상 까지…택배 논란 ‘점입가경’

임유정 기자 (irene@dailian.co.kr)
입력 2021.06.15 15:13 수정 2021.06.15 17:04

오늘부터 5500명 1박 2일 여의도 상경 투쟁 예고

일부 택배사 냉동·냉장 등 신선식품 접수 중단

일부 편의점은 이미 택배비 인상…소비자 불만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 소속 우체국택배 노동자들이 14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포스트타워 로비에서 점거 농성을 벌이고 있다.ⓒ뉴시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 소속 우체국택배 노동자들이 14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포스트타워 로비에서 점거 농성을 벌이고 있다.ⓒ뉴시스

택배 노사 간 갈등이 갈수록 격화되고 있다. 분류 인력 투입과 택배 노동자 과로사 방지 대책 등을 놓고 노사간 접점을 쉽사리 찾지 못하고 있어서다.


지난 9일부터 무기한 총파업 중인 노조는 이번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또 한 번 강도 높은 투쟁을 이어 나간다는 방침이다. 사태가 장기화 되면서 소비자 피해와 불만도 점점 커지고 있다.


1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이날부터 택배노조는 전국 노조원 5500여명이 서울 상경 집회에 참여한다고 예고했다. 택배노조는 이번 집회를 통해 분류 작업을 택배사가 맡기로 한 1차 사회적 합의의 완전한 이행을 요구할 방침이다.


하지만 사측은 분류 작업 인력을 투입하려면 시간이 필요하다면서 1년 유예기간을 요구해 갈등이 깊어졌다. 노동시간 단축 문제도 평행선이다. 노조는 정부가 제시한 주 평균 60시간을 근무하게 될 경우 수익이 감소할것으로 보고, 수수료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택배노조 파업이 일주일째 접어든 15일 오전 서울 한 택배 물류센터에서 직원들이 택배 분류 작업을 하고 있다.ⓒ뉴시스 택배노조 파업이 일주일째 접어든 15일 오전 서울 한 택배 물류센터에서 직원들이 택배 분류 작업을 하고 있다.ⓒ뉴시스

택배노조 파업이 일주일째로 접어들면서 일부 지역에서 배송이 지연되고 택배 접수가 거부되는 등 소비자 피해가 급증 하고 있다. 우체국은 전체 소포의 배달 지연 가능성을 안내한 데 이어 이미 지난 11일부터 모바일 인터넷과 콜센터 등을 통한 방문 택배(국내 택배·EMS) 접수를 중단했다.


민간 택배사들은 파업에 참여한 노조원이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송장 출력 제한, 집화 중단 등 조치에 나섰다. 또 관리직 직원과 직고용 택배 기사를 투입해 배송을 지원하고 처리가 안 된 물량은 발송처로 반송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한진택배는 울산과 경기 성남·광주, 경남 거제, 전북 군산과 정읍 등지에서, 롯데택배는 울산과 경남 창원, 서울 은평구, 경기 이천시 등지에서 배송이 지연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창원과 울산, 경기 성남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파업 영향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더구나 택배 파업이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는 점도 불만을 키우는 요인이다. 올 들어서도 개별 택배 노조의 파업과 철회가 반복되면서 소비자들의 피로감이 높아졌다.


서울 서대문구에 사는 직장인 김모(30대)씨는 “파업으로 일부 지역은 배송 차질이 일고 있다고 하는데 택배는 이미 삶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서비스로 자리잡았다. 파업이 길어지면 소비자 불편도 커지는 만큼 택배업체와 배달원이 머리를 맞대고 조속히 해결 방안을 찾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일부 편의점은 택배비 인상을 결단했다. 택배사의 원가와 인건비 등 택배비 현실화에 따라 오늘 부터 편의점 택배 서비스 가격을 올렸다. 이에 이날부터 GS25와 CU가 운영하는 편의점 택배 서비스 가격이 기존보다 300원에서 최대 1000원까지 인상한다.


다만 편의점 자체 배송 시스템을 통한 GS25의 ‘반값 택배’와 CU의 ‘CU끼리 택배’는 가격 변동이 없이 그대로 운영된다. 이들 택배는 택배사가 아닌 각 점포를 오가는 배송차량과 자사 허브센터를 이용하기 때문에 최근의 택배비 인상이나 파업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한 택배업계 관계자는 “택배 기사들 중 노조에 가입한 인원이 10% 안팎이기 때문에 파업과 동시에 즉각적으로 전국에서 물류가 마비되는 건 아니다”면서도 “파업이 장기화할 경우 터미널에 물건이 쌓이면서 배송 지연 현상이 다른 지역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임유정 기자 (iren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