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학회, 면적 70%↓·경제성 30%↑ 사용후핵연료 처분 솔루션 제안

임은석 기자 (fedor01@dailian.co.kr)
입력 2024.07.29 16:43
수정 2024.07.29 16:43

이중 처분용기 담아 지하 500m 깊이 시설에 처분

처분 용기 두께·담을 사용후핵연료 다발 등 효율화

한국원자력학회는 29일 세종시에서 '한국형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 솔루션'을 공개했다. 왼쪽부터 문주현 단국대학교 교수, 조동건 한국원자력연구원 사용후핵연료저장처분기술개발단장, 정범진 경희대학교 교수(원자력학회장), 윤종일 KAIST 교수, 박홍준 사용후핵연료관리핵심기술개발사업단 본부장.ⓒ데일리안 임은석 기자

한국형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을 통해 핀란드 등이 도입한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 기술 대비 사용 면적은 70% 이상 줄이고 경제성은 30% 이상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원자력학회는 29일 세종시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한국형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 솔루션'을 공개했다.


학회가 제안한 대책은 사용후핵연료를 구리와 주철로 만든 이중 처분용기에 담아 지하 500m 깊이의 화강암반 시설에 처분하는 방식이다.


이는 핀란드, 스웨덴이 도입한 방식과 일치한다. 다만 처분 용기의 두께, 담을 사용후핵연료 다발 수, 처분공 이격거리 등을 우리나라 현실에 맞게 효율화한 것이다.


고준위방폐물을 처분하는 지하 500m 환경에선 용기 부식이 사실상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해외가 준용하는 용기 두께 기준(5㎝)이 과도하다는 게 학회 측 설명이다. 이를 감안해 두께를 1㎝로 현실화할 수 있다고 했다.


이와 함께 장기 냉각한 고준위방폐물은 처분 용기 처분 다발수를 최적화하고 처분공 이격을 줄여도 안정성에 문제가 없다고 덧붙였다.


학회는 이 방안을 적용하면, 원자력안전위원회 고시 제2021-21호의 안전목표치를 만족하는 것은 물론 경제성까지 확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동일 물량을 처분한다고 가정했을 때 핀란드의 심층 처분 개념을 그대로 적용했을 때보다 처분장 면적은 70% 이상 줄고 경제성은 30% 이상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학회 측은 지하연구시설(URL)을 건설하고 안전성 평가 결과를 확보하면 고준위방폐장 사업 기간을 정부 계획 대비 10년 가량 단축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학회가 제시한 로드맵에 따르면 처분장 운영 허가 승인 예상일은 2050년이다.


정범진 학회장은 "5명의 원자력 전문가로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약 6개월간 국내외 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학회 내·외부 의견수렴을 거쳤다"며 "연구 결과를 토대로 큰 방향을 정했고 우리나라에 적합한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사업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논의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임은석 기자 (fedor0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