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건설 400억 달러 달성 전략은?…“투자개발사업으로 눈 돌린다”

임정희 기자 (1jh@dailian.co.kr)
입력 2024.06.04 06:24
수정 2024.06.04 06:24

투자개발사업 수주액 6.3억 달러, 1년 새 1642% 급증

단순 도급형, 저가 수주 경쟁 심화…발주 트렌드도 전환

“장기간 수익 실현 어려워…정부 차원 투자개발 리스크 분담 필요”

올해 건설업계가 해외실적 400억 달러를 목표로 영업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투자개발형 사업의 비중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뉴시스

올해 건설업계가 해외실적 400억 달러를 목표로 영업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투자개발형 사업의 비중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4일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올해 1~4월 132억615만 달러(202건)로 지난해 1~4월 77억6855만 달러(193건) 대비 70.0%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 평균 수주액이 93억6000만 달러(194건)인 점을 고려해도 크게 개선된 실적이다.


눈에 띄는 점은 도급형 사업이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아직까지는 미미한 수준이지만 투자개발형 사업도 차근히 존재감을 키워나가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 4월까지 올해 누적 기준 도급형 수주액이 125억7274만 달러(95.2%)를 차지하며 1년 전 77억3219만 달러(99.5%) 대비 62.6% 증가했다.


같은 기간 투자개발형 수주액은 지난해 1~4월 3636만 달러(0.5%)에서 올해 6억3341만 달러(4.8%)로 1642.1% 크게 급증했다. 이는 최근 5년 평균 대비 가장 높은 금액으로, 필리핀 NAIA 공항 민관합작투자사업(인천국제공항, 약 3억1000만 달러), 오만 마나1 태양광 개발사업(서부발전, 약1억3000만 달러), 영국 위두우힐 에너지 저장시스템(LS일렉트릭, 약 1억 달러) 등 수주에 따른 것이다.


투자개발형 사업은 단순 설계·조달·시공에서 벗어나 기획과 자금조달, 운영까지 전 단계를 아우르는 형태로 최근 단순 도급형 사업의 저가 수주 경쟁이 심화되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려는 움직임이 확산되면서 투자개발형 사업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때라는 관점이 나오고 있다.


특히 선진국의 경우 신규 사업 및 노후화된 인프라 개선, 중·저소득국의 경우 신규 인프라 개발 수요 등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해외건설 시장에서의 발주 트렌드도 단순 도급형에서 투자개발형 사업으로 옮겨가고 있는 추세다.


다만 건설업계에서는 투자개발형 사업의 장벽이 높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어 정부에서도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밀착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할 것으로 보인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최근 도급형 사업의 경우 중국이나 인도와 경쟁에서 밀리는 경우가 많은 것도 사실”이라며 “다만 투자개발형 사업은 처음부터 가져가야 할 리스크가 너무 크다. 자칫하면 장기간 수익을 가져갈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건설사 경영진 입장에서는 선뜻 도전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해외에서 개발사업을 하려고 하더라도 토지 및 건물 등 권리관계가 복잡하거나 현지의 법과 제도가 미비해 실제 사업 착수가 어려운 경우가 다수”라며 “정부가 리스크를 분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간다면 국내 기업들도 적극적으로 도전해볼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서진형 광운대 부동산법무학과 교수(한국부동산경영학회장)는 “해외개발 및 투자 관련한 리스크는 주로 정부의 정치적인 영향력이 상당히 크다고 볼 수 있다”며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와의 경제협력 기조를 강화하고 전략적인 관계를 구축하는 노력이 선행돼야 국내 기업이 해당 국가에서 투자개발사업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이 일단 마련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임정희 기자 (1j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