꽉막힌 바닷길·치솟는 운송료…예측 불가 해운시장 [위기의 바다①]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입력 2024.01.03 07:01
수정 2024.01.03 07:01

수에즈 운하 공격에 머스크 운항 중단

마나마 운하 가뭄으로 운항 일부 제한

불경기 기류 속 급등하는 운임지수

탈탄소·친환경 선박도 해운시장 영향

수에즈 운하에 대기 중인 선박들. ⓒ연합뉴스

새해부터 바닷길 상황이 심상치 않다. 지중해와 홍해, 인도양을 연결하는 수에즈 운하가 반군(反軍)에 발이 묶이고, 이 같은 영향으로 해상 운송료 또한 치솟고 있다. 무역 중심 국가 한국으로서는 수출 전선에 빨간불이 동시에 켜진 셈이다.


최근 예멘 반군 후티의 공격에 수에즈 운하를 오가던 컨테이너선이 운항을 중단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세계 2위 해운업체인 머스크사(社)는 15일에 이어 약 2주 만에 홍해 운항을 전면 중단했다. 전날 오후 홍해를 향하던 머스크 소유 컨테이너선 ‘머스크 항저우호’가 후티 반군의 미사일 공역을 받았다는 보고가 미군 중부사령부에 접수됐기 때문이다.


후티 반군은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공격에 대응해 팔레스타인을 지지한다는 명분으로 지난해 11월 19일 이스라엘 관련 화물선 1척을 나포한 것을 시작으로 공격 대상을 확대하며 수에즈 운하를 오가는 선박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해운업계에 따르면 지난달부터 시작한 수에즈 운하 물류 대란은 한 달째 이어진다. 직접적인 피해를 본 머스크 측은 “대부분 선박은 계속 아프리카 희망봉 우회로를 이용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태평양과 대서양을 연결하는 파나마운하 역시 선박 통행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최근 극심한 가뭄으로 통행 가능한 선박 수가 줄었다. 파나마운하는 세계 컨테이너 물동량의 32%가 거치는 주요 항로다.


양대 운하가 각각 이유로 선박 통행이 제한되자 국내 수출 기업 피해가 가시화하고 있다. 특히 중소기업일수록 피해가 크다. 중소기업중앙회 관계자는 “보통 우리나라에서 동유럽까지 배로 45일 정도 걸리는 데 홍해 물류 대란으로 기간이 60~70일로 늘었다”며 “당연히 운임도 20~30% 오른 상황”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해운·항공화물 운임 분석기관인 ‘제네타’에 따르면 이번 사태로 해운 운임이 최대 2배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불경기 속 운임만 오를라…수출기업 ‘비상’


실제 상하이컨테이너 운임지수(SCFI)를 보면 12월 들어 지속 상승 중이다. 특히 시간이 지날수록 오름세가 급격히 커지는 모습이다.


12월 1일 전주 대비 1.77% 올라 1010.81을 기록한 SCFI는 12월 8일 2.12%, 12월 15일 5.94% 오르더니 12월 22일에는 14.77% 높아졌다. 급기야 12월 29일에는 전주 대비 40.21% 늘어나면서 1759.58을 기록했다. 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엔데믹 이후 최고 수준이다.


세계 해운시장은 운하 문제가 해결되더라도 시황은 부정적이다. 해운업계에 대한 친환경 규제 강화 때문이다.


국제해사기구(IMO)는 지난 7월 오는 2050년까지 선박 탄소배출량을 기존 50%에서 100% 감축하는 내용의 ‘넷제로(Net-zero)’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친환경 선박 건조나 저탄소 전환에 드는 비용은 고스란히 운임에 반영될 수밖에 없다.


정태순 해운협회장은 지난달 26일 신년사를 통해 “지난해 IMO 온실가스 감축 목표가 상향되며 친환경 선박 전환에 대한 선사들의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며 “파나마·수에즈 운하 통항료 인상 및 통항량 제한으로 글로벌 공급망이 심화하는 등 경영 여건이 녹록지 않다”고 현실을 진단했다.


그는 “국내 경제도 낮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며 “다량의 신조선 인도와 맞물려 해운 시황 악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김양수 한국해양진흥공사 사장 역시 신년사를 통해 “지금 우리 해운·항만산업은 커다란 변화와 도전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며 “주요국의 자국 우선주의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고금리·고물가로 인한 세계 경제 침체와 국제정세의 지정학적 리스크(위험) 증대는 해운·물류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불러오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 사장은 “올해부터 적용하는 IMO 선박탄소집약도지수(CII) 규제와 유럽연합(EU) 배출권거래제(ETS) 등 나날이 강화하는 국제 해양환경 규제는 해운기업의 미래에 큰 도전을 드리우고 있다”며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선사별 경쟁력 편차가 커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막가는 일본, 바다가 쓰레기 투기장? 오염수 이어 화산재까지 [위기의 바다②]에서 계속됩니다.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