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 이재명, '통합·민생' 고리로 對정부 공세…'총선모드' 시동
입력 2023.10.23 13:22
수정 2023.10.23 19:45
내부결속·민생경제·무능정부 '삼박자' 강조
이재명 "윤석열 정권 '내각총사퇴'" 강공
의대 정원 확대 추진엔 '칭찬·질타' 동시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대내적으로는 자신의 체포동의안 가결 사태를 불식시키고, 대외적으론 정부·여당의 무능을 꼬집으며 민생경제 회복을 강조했다. 당의 단합을 초석으로 지지층을 달래는 한편 '내각 총사퇴' 주문이란 강공을 통해 대정부 투쟁 수위를 끌어올려 총선을 대비하려는 포석으로 보인다.
장기 단식 농성 중 응급실에 실려갔다가 35일 만에 국회로 돌아온 이 대표는 23일 오전 최고위원회의를 주재하며 당무에 전격 복귀했다. 복귀 첫 일성은 △체포동의안 가결로 분열된 당의 내부 결속 △윤석열 정권이 망친 민생경제 회복 △무능과 무책임 일관의 정부 내각총사퇴 등이다.
이 대표는 최고위원회의 모두발언에서 "(단식을 통해) 국민의 삶이 어렵고 또 국가적인 여러 위기 상황들 때문에 국민의 불안함과 불편함에 대해 조금이나마 더 인식하는 계기가 됐다"면서도 "안타깝게도 정부와 여당의 무능과 무책임으로 국민의 삶이, 또 이 나라 경제와 안보가 위협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당무 복귀 전 정부를 향해 늘상 비판해오던 평이한 수준을 넘어, 이날 모두발언에서는 윤석열 정부 '내각 총사퇴' 요구를 꺼내들기도 했다.
이 대표는 "민주당이 계속 말했던 것처럼 윤석열 대통령께서는 국정기조를 전면 쇄신해야한다"며 "무능과 폭력적 행태의 표상이 되어버린 내각을 총사퇴 시켜야 한다. 그것이 정부의 진정성을 국민에게 확인시켜주는 모습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민생 경제 회복과 관련해서는 '재정지출의 확대'와 '의대 정원 확대'를 꼽았다.
이 대표는 "경제를 살리기 위해 시장에만 맡길 게 아니라, 언젠가 좋아지겠지 막연하게 기대할 게 아니라, 정부가 할 수 있는 최대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며 "재정 지출을 확대하고, 기술 발전에 힘쓰고,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을 위한 국가 투자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근 정부가 의대 정원 확대를 추진하겠다는 소식에 대해선 '칭찬'과 '질타'를 가미했다.
이 대표는 "민주당도 (과거) 필수의료 확충과 공공의료 확충을 중요 과제로 삼고 노력했지만 하지 못했던 일인데 윤 대통령께서 이를 추진하겠다고 한 부분은 칭찬하고 싶다"며 "우리도 협력하고 함께 노력해서 반드시 이 중차대한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한 가지 지적하고 싶은 건 의대 정원을 몇 명으로 확충하겠다는 정부의 설명은 없다. 알맹이가 빠졌다는 것"이라며 "국정은 장난이 아니다. 엄중히 인식하고 신중히 기획하고, 한 번 말했으면 그대로 끝날 게 아니라 반드시 실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달 21일 단식으로 인한 건강 악화로 병상에 있던 중 자신의 체포동의안이 국회에서 가결되고, 특히 당내에서 40표 안팎의 '이탈표'가 발생해 당내 갈등이 극한으로 치달은 사안에 대해서 자제보다 강한 '중단'을 선언했다.
이 대표는 "체포동의안 처리 일로 더 이상 왈가왈부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통합을 주문한 뒤 "국민의 삶이 절박한데 그런 문제로 우리의 역량을 소진하고 시간을 보낼 만큼 현실이 녹록치 않다"고 말했다.
체포동의안 가결 이후 친명(친이재명)계는 이른바 가결파에 대한 '숙청'을 예고했고, 비명(비이재명)계와의 갈등이 불거졌다. 설상가상 강성 당원들도 가결파에 대한 지도부의 징계를 촉구하고 나섰다. 비명계로 분류되는 박광온 원내대표가 자진 사퇴했고, 이 대표가 탕평의 일환으로 지명직 최고위원에 임명한 송갑석 의원도 사퇴했다. 모두 이 대표의 당무 복귀 전, 단식 중, 단식 후 회복 과정에서 발생한 일이다.
당대표실 핵심 관계자는 "이 대표의 말은 이미 체포동의안 표결에 관한 어떤 것도 묻지 않겠다는 것"이라며 "아예 체포동의안 표결에 대해 콕 짚어 얘기한 것(이므로) 앞으로 과거에 대해서는 묻고 거론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여준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표의 이같은 당무 복귀 일성은 총선을 불과 6개월 앞둔 상황에서 내부 결속으로 당을 안정시킨 뒤, 민생을 통해 지지층을 결집시키고, 정부의 무능을 강조해 분산된 중도층을 끌어 오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결국 '민생 파탄' 스탠스를 기조로 대정부 공세 수위를 끌어올려, 현 정부와 민주당과의 온도차를 부각시키려는 셈이다.
이 대표는 "국민이 먹고 사는 문제를 (민주당이) 해결하고, 특히 정부의 폭압으로 인해 대한민국의 시스템이 붕괴되고, 과거로 퇴행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며 "이를 위해 반드시 내년 총선에서 정부의 잘못된 점을 엄히 꾸짖는 심판이 이뤄져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단결과 단합 이외에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충분한 혁신을 통해 국민의 기대에 맞춰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기자들과의 질의응답과 관련, 이 대표의 시종일관 '무응답'은 당무 복귀 전후에도 똑같았다.
최고위원회의 직후 당대표실을 나온 이 대표는 '단식 이후 어떤 점이 가장 바뀌었다고 보는지' '당무 지장 없을 만큼 건강상태는 호전됐는지' '통합을 강조했는데 관련한 당무 계획은 무엇인지' 등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일절 답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