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코로나19 설 전후 정점…식품업계, 현지 공장 멈출까 촉각

임유정 기자 (irene@dailian.co.kr)
입력 2023.01.03 07:29
수정 2023.01.03 07:29

중국 ‘제로 코로나’ 해제로 확진자 급증

“춘제 연휴 3년 만의 대이동 관건”

장기화될 경우 타격 불가피

중국 상하이 공장 사진ⓒ농심

완만한 안정세로 접어들 것 같았던 코로나19 7차 대유행이 ‘중국발 리스크’란 복병을 만났다. 중국의 영향 등으로 해외 유입 신규 확진자는 석 달 만에 100명을 넘어섰다. 코로나 4년 차 실내 마스크 의무 해제 등 일상회복 여부가 중국발 유입 관리에 달린 상황이다.


이처럼 최악을 향해 달려가는 중국의 코로나19 창궐 국면이 오는 22일 춘제(春節·설날) 연휴를 전후해 정점에 이를 것으로 분석되고 있어 국내 식품 기업들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중국에 진출해 있는 국내 기업들은 현지 공장이 멈출까 촉각을 기울이는 모양새다.


현재 오리온과 CJ제일제당, 풀무원 등 다수의 국내 기업들은 중국에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 중국에선 코로나19 확진자가 크게 늘면서 일부 제조업체가 공장 가동을 멈추거나 생산을 줄이고 있다. 지난해 우리 기업들은 코로나로 인한 봉쇄조치 등으로 상당한 타격을 받았다.


최근 중국발 코로나는 심각한 상황이다. 중국 당국이 공식적인 통계를 내놓지 않는 상황에서 상하이 시민 1000만명 이상이 감염됐다는 추정까지 나왔다. 확진자 중 0.5%가 병원에 입원했다고 가정하면 최근 몇 주 동안 5만명이 병원에 입원한 수준이다.


더 큰 문제는 연휴다. 새해 연휴는 중국이 지난해 12월 7일 방역 조치를 완화한 뒤 처음 맞는 연휴여서 대규모 인구 이동과 함께 코로나19 확산에 대한 우려가 크다. 중국 정부는 의료 체계가 취약한 지방으로 감염이 확산하는 것을 대비해 의료진 등을 지방으로 보내고 있다.


중국 방역 전문가들은 다가올 춘제 연휴에 주목하고 있다. 지역 간 이동을 막는 ‘제로 코로나’ 정책 때문에 3년간 고향을 방문하지 못한 중국인들이 공식 연휴(21∼27일) 기간 동안 대거 이동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중국 당국은 이미 관련 부서에 “인기 지역·노선·시간대에 대한 여객 운송을 강화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춘제를 앞두고 고향에 돌아가지 않는 근로자에게 장려금을 주거나 고향 방문을 자제하라고 발표하던 것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


오리온 중국 랑팡 공장 ⓒ오리온

국내 식품 기업들은 일제히 긴장하고 있다. 또 다시 중국발 코로나가 확산될 경우 공장 가동을 중단해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중국은 국내 식품 기업들의 전략 매출처로, 최근 중국 내 매출은 증가세를 보이는 중이었다.


이미 테슬라 등 주요 제조업체들은 중국의 코로나 확산세에 ‘셀프 셧다운’을 감행하고 있다. 뉴욕타임스(NYT)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는 지난달 24일부터 중국 상하이의 공장 가동을 멈췄다. 다른 기업들도 공장 가동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식품기업의 경우 먹는 제품을 취급하고 있기 때문에 원활한 물류 이동은 필수 요건이다. 창고에 쌓인 식품은 수일만 방치해도 부패하므로 고스란히 기업 피해로 연결된다.


오리온만 하더라도 중국 상하이 외에도 베이징, 광저우, 선양 등에 제과류 생산시설 4곳이 더 있다. 장기화될 경우 피해가 불가피하다. 오리온 중국 법인은 국내외 법인 중 가장 큰 매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지난해 중국 전력난으로 선양 공장의 가동이 중단되는 등 최근 잇달아 중국발 위기를 겪은 바 있다.


당장은 중국 현지의 한국 식품사들이 최근 코로나19 확진자수 급증에 따른 악영향을 크게 받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앞으로가 문제다. 벌써부터 세계 각국은 빗장을 걸어잠그고 있다. 연휴를 기점으로 확산 파동이 더 번져, 전 세계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우리 기업들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여기에 중국이 고집하는 제로 코로나 정책이 애꿎은 우리 기업들의 발목을 반복해서 잡는 모양새인 만큼 우리 정부가 외교적으로 더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중국 코로나 장기화로 향후 또 다시 봉쇄 정책으로 돌아설 경우 물자 이동이 중단돼 원재료 수급 및 생산물량 이동이 차단되는 점이 가장 큰 문제”라며 “향후 중국 당국의 방역정책에 맞춰 대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임유정 기자 (iren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