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결제·원스토어…구글 인앱결제에 소비자 대안 마련 '분주'

최은수 기자 (sinpausa@dailian.co.kr)
입력 2022.06.06 07:00
수정 2022.06.03 20:44

1일 인앱결제 적용으로 줄줄이 소비자 요금 인상

웹 결제, 자동충전 등 요금 인상 우회 움직임

지난 1일 구글 인앱결제 정책 시행으로 미디어콘텐츠 서비스 가격 인상이 현실화 됐다. 수수료 부담을 떠안은 소비자들은 앱 마켓 수수료를 내지 않는 웹 결제와 토종 앱 마켓 ‘원스토어’를 이용하는 등 일종의 우회로 찾기에 분주해졌다.


6일 IT업계에 따르면 구글이 인앱결제 정책을 따르지 않는 앱을 이달 1일부터 자사 앱 마켓에서 퇴출하겠다고 밝히면서 다수 앱 개발사들이 인앱결제를 적용하고 있다.


구글 인앱결제 적용 시 미디어·콘텐츠 앱 개발사들은 최대 30% 수수료(연간 매출 12억원까지는 15%, 12억원을 초과하는 경우 30%)를 내야한다. 이에 다수 업체들이 수수료 비용 증가에 따른 부담을 덜기 위해 서비스 이용료를 인상했다.


실제 지난달 네이버웹툰,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등 웹툰 및 웹소설 앱과 플로, 바이브 등 음원 서비스, 웨이브, 티빙 등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서비스는 안드로이드 앱 이용권 및 캐시 충전 시 이용가격을 15~20% 가량 올렸다.


구글 인앱결제 적용으로 가격 인상 뿐만 아니라 소비자 불편도 발생하고 있다. 일부 출판사가 구글 인앱결제 적용에 대비하기 위해 앱 내 전자책 구매를 일시 중단해서다.


앞서 교보문고는 안드로이드 앱 내 전자책 구매를 일시 중단했다가 앱을 통한 캐시 충전 시 구글 인앱결제를 의무 적용했다. 알라딘도 구글 인앱결제 대응을 위해 안드로이드 앱을 통한 전자책 구매를 일시 중단했다.


인앱결제 의무화로 이용 가격을 인상한 앱 개발사들은 이용자 이탈을 우려하고 있다. 이에 일부 업체들은 앱이 아닌 웹에서 결제하면 기존 요금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고 안내하고, 추가 혜택을 제공하는 등 웹 결제를 독려하고 있다. 그러나 구글이 앱에서 웹 결제를 홍보하거나 유도하는 표현도 제한하겠다고 엄포를 놓으면서 이 마저도 어려워진 상황이다.


결국 가격 인상 부담을 떠안은 소비자들이 직접 대안을 모색하고 나섰다. 웹으로 앱 콘텐츠를 구매하는 방법이 커뮤니티 등에서 자세히 공유되고 있다. 정기구독 등 자동결제를 이용하면 기존 가격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도 대안으로 거론된다.


토종 앱마켓 ‘원스토어’도 대안으로 부상했다. 원스토어는 최근 미디어콘텐츠 앱에 기본 수수료 10%를 적용하기 시작했다. 이는 기존 원스토어 수수료 20% 대비 절반 낮춘 것이다. 또한 거래액 규모와 구독 비중에 따라 단계적으로 최저 6%까지 추가 할인을 적용한다.


저렴한 수수료 덕에 원스토어 입점 앱은 늘어나는 추세다. 음원 앱 '멜론'은 지난달 30일부터 원스토어에 입점했다. 게임사들도 원스토어 입점을 확대하고 있다. 지난 3일 출시된 블리자드 신작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디아블로 이모탈'은 원스토어에서 다운로드 가능하다. 컴투스도 최근 신작 '서머너즈 워: 크로니클'의 원스토어 입점을 확정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이 구글 인앱결제 강제를 막을 수 있는 근본 대책은 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언제까지 웹으로 결제할 수 없는 노릇인데다가 원스토어 역시 아직 입점하지 않은 앱이 대다수다. 소비자 뿐만 아니라 웹툰, 웹소설 작가 등 콘텐츠 창작자들에게 수수료 부담이 전가되고 있다는 점도 문제다.


주무부처인 방송통신위원회는 구글의 위법행위를 확인하고 규제에 나선다는 방침이지만, 이미 구글의 인앱결제 강제를 막기에는 늦었다는 업계 불만이 나오고 있다.


소비자들은 직접 구글의 인앱결제 강제를 규탄하고 나섰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지난 3일 구글의 인앱결제 강제행위가 국내 법규(전기통신사업법)를 위반했다며,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 낸시 메이블 워커 구글코리아 대표, 스콧 버몬트 구글 아시아태평양 총괄사장을 형사 고발한다고 밝혔다.


전성민 가천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는 "플랫폼의 플랫폼 격인 구글은 독과점적 지위를 갖고 있고 전세계 앱을 상대로 게이트키퍼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규제가 필요하다"며"국내에서도 법이 제정됐지만 플랫폼 독점에 맞서기 위한 인사적 혁신이나 충분한 데이터에 기초한 논리 등이 부족했고, 결국 현재와 같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은수 기자 (sinpausa@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최은수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