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늘어난 귀농·귀촌, 지속될까

이소희 기자 (aswith@dailian.co.kr)
입력 2021.10.06 19:45
수정 2021.10.06 19:46

주택가격 급등·사회경제적 충격으로 귀농·귀촌 늘어

농경연 “귀농·귀촌 넘어 관계인구까지 고려해야”

맞춤형 지원정책 강화, 전략적 시책 필요

코로나19 팬데믹과 수도권 및 광역시의 주택가격 급등 등 사회·경제적 충격, 농촌생활에 관한 관심과 선호 증가로 농촌지역의 순유입자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에 따르면, 작년 기준 귀농 가구원은 1만7447명으로 전년보다 1266명(7.8%), 귀촌 가구원은 47만7122명으로 전년보다 3만2658명(7.3%) 증가한 가운데, 특히 1인 귀농·귀촌 가구가 늘어난 것이 특징이다.


귀농·귀촌인의 증가는 베이비부머 세대 은퇴가 본격화되면서 귀농·귀촌을 선택한 60대와 청년농업인의 영농정착 지원사업 등의 영향으로 30대의 귀농 가구가 증가했으며, 지역 거점도시나 혁신도시, 신도시 개발지역 주변으로의 귀농인 수가 늘었다.


농경연은 이들의 코로나19 이후 귀농·귀촌 의향이 증가했고, 2019년 말부터 급등하기 시작한 주택가격이 도시지역의 압출 요인으로 작용해 농촌으로의 이주를 가속한 것으로 판단했다.


특히 2020년 1~2월, 5~7월에는 읍 지역으로의 귀촌보다 면 지역으로의 귀촌이 더 많은 특이 현상이 발생했으며, 최근 귀촌 사유를 보면 주택·가족과 관련된 비율이 낮아진 반면 직업·건강·교육 등의 비율이 지속해서 상승하고 있고, 귀촌 목적지에 주목할 때 정주 여건의 편리성 외에도 쾌적한 환경 등을 갖춘 곳을 중심으로 귀촌 증가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는 분석이다.

농경연은 ‘귀농·귀촌 동향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농촌 유입 증가에 따른 지속적인 귀농·귀촌 기반 유지가 관건이라며, 앞으로는 귀농·귀촌을 넘어서 ‘관계인구’ 등까지 고려해야 할 필요

가 있다고 제언했다.


귀농·귀촌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으로, 청년 영농정착 지원사업 등의 지속과 더불어 농업 일자리, 농촌생활 체험프로그램 확대, 귀농 현장학습과 멘토링 체계화, 농지와 영농자금 이용의 편의성 촉진, 살아보기 체험 주택확대와 빈집과 연계 혹은 신축을 통한 임대형 주택의 제공 등 폭넓은 대응이 요구된다고 했다.


일례로, 교육복지 시책을 통해 학령인구 증가 성과가 나타난 화천군, 청년층 주거와 창업 지원을 추진한 완주군, 의성군 등에서는 불리한 도시 접근성을 극복하고 귀농·귀촌 유입이 증가하는 성과를 거뒀다며, 비록 대도시권에 속하지 않는 일반 농촌 및 원격 농촌 시·군들이라도 인적 자원 유치를 위해 지역 단위에서 전략적인 시책을 수립·추진할 경우 성과를 얻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농촌 지자체의 전략적인 유인시책 마련과 농촌다운 공간을 유지하고 귀농·귀촌 목적지로서의 매력 증진, 귀농·귀촌 플랫폼 구축 및 정책 홍보 강화 등이 농촌생활 유지의 필요요소들로 꼽았다.

이소희 기자 (aswit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이소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