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소비자 10명 중 8명 "자동차 품질인증부품 제도 몰라"

부광우 기자 (boo0731@dailian.co.kr)
입력 2020.12.04 13:30
수정 2020.12.04 09:23

정부와 국회, 시민사회가 자동차 품질인증부품 활성화에 나선다.(자료사진)ⓒ픽사베이

자동차 품질인증부품 제도가 시행된 지 5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대다수 소비자들이 이를 잘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정부와 국회, 시민사회가 머리를 맞대고 자동차 품질인증부품 활성화에 나서기로 했다.


4일 보험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소비자 10명 중 8명은 자동차 품질인증부품에 대해 모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동차 품질인증부품은 부품의 성능과 품질이 완성차 제조사에서 출고된 OEM 부품, 일명 순정부품과 동일함을 정부가 인증한 부품을 말한다.


품질인증부품의 성능과 품질은 OEM 부품과 동일한 수준이지만, 부품가격은 OEM 부품보다 약 35% 저렴해 소비자의 과도한 자동차수리비용 지출을 줄일 수 있고 자동차보험 처리 시에는 부품비의 일부를 환급받을 수 있다.


이에 지난 2월 녹색소비자연대(이하 녹소연)가 서울시와 함께 품질인증부품과 OEM 부품의 성능비교 시험을 진행한 결과, 두 제품의 육안검사, 부품 두께, 내부 부식성, 단차간극 등에서 성능이 거의 동일했으며, 인장강도는 품질인증부품이 더 우수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그런데도 한국자동차부품협회에 따르면 2015년 정부가 품질인증부품 제도를 도입한 이후 약 4년 간 사용된 품질인증부품은 125개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품질인증부품 활성화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국회 정무위원회 김병욱·이정문 의원,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신영대 의원, 국토교통위원회 김윤덕 의원, 한국자동차부품협회, 보험연구원, 녹소연이 공동으로 4일에 서울 여의도 이에스인포매틱스 세미나실에서 품질인증부품 활성화를 위한 정책 개선방안 토론회를 열었다.


토론회에서는 윤영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가 '품질인증부품 도입 및 활성화 방안 연구보고'를, 서아론 녹색소비자연대 부장이 '품질인증부품 활성화를 위한 소비자 인식조사 및 전문가 FGI 결과보고'를 발표했다.


윤 교수는 "소비자가 품질인증부품을 제대로 이해하고 품질인증부품을 찾아보기 쉽게 인프라를 구축하고, 자동차보험에서 품질인증부품 사용기회를 확대하는 법·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며 "부품업계도 OEM 부품과 동등 이상의 품질 향상 및 가격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서 부장은 자동차 품질인증부품에 대해 알고 있는 소비자는 10명 중 2명 수준에 불과한 반면, 소비자의 과반수 이상(62.5%)은 품질인증부품을 사용할 의향이 있다는 조사결과를 전했다. 하지만 소비자의 대부분(84.9%)은 수리업체가 추천한 부품으로 자동차를 수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만큼, 수리업체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고 전했다.


토론자로는 김남주 참여연대 변호사, 정지연 한국소비자연맹 사무총장, 김정희 국토교통부 자동차정책과 과장, 김기훈 금융위원회 사무관, 이근태 한국자동차부품협회 사업위원장, 기승도 보험연구원 수석연구원, 이정권 창원금속 본부장이 참여했다.


토론회를 공동주관한 김 의원은 "자동차부품 시장은 대기업제품인 순정부품이 시장을 독차지해 중소기업들이 만드는 질 좋은 부품이 비순정부품으로 불리며 소비자에게 왜곡된 인식을 갖게 하고 있다"며 "품질인증부품은 중소부품업체에 새로운 성장동력을 부여하는 기회가 될 수 있고, 자동차부품비 상승에 따른 소비자의 자동차보험료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활성화 필요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 좌장을 맡은 윤영미 녹소연 대표는 "품질인증부품이 활성화되면 소비자와 부품업계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아직 품질인증부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부족한 만큼 앞으로 적극적인 홍보활동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부광우 기자 (boo073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