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실물경제·금융시장 괴리…“유동성 축소 정책 고려해야”

이건엄 기자 (lku@dailian.co.kr)
입력 2020.06.30 06:00 수정 2020.06.29 17:34

주가 빠른 회복세에도 기업 신용위험 확대…상반된 흐름 이례적

한국 “국채거래 비중 압도적”…채권시장 안정대책 효과 전무

대기업 건물들이 빼곡히 들어선 서울 도심의 모습.(자료사진)ⓒ연합뉴스 대기업 건물들이 빼곡히 들어선 서울 도심의 모습.(자료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경제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유동성 확대 처방을 내렸지만 주가와 기업신용위험도 동반 상승하는 부작용만 낳고 있다.


실물과 금융 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선 장기적인 관점에서 유동성을 축소할 수 있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태규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 연구원은 30일 ‘코로나19 위기에 따른 금융시장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위기 시 단기적 금융시장 안정화 정책은 필요하지만 장기적으로 실물과 금융의 괴리가 확대되는 것을 방치해서는 안 된다”며 “이를 위한 전략적 정책추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경연에 따르면 코로나19 감염 확산으로 주가가 폭락했던 3월 중순 이후 주가는 빠른 회복세를 보였다. 반면 기업의 신용위험은 지속적으로 확대됐는데 이같은 상반된 흐름은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기업에 대한 긍정적 전망으로 주가가 상승하면 기업의 신용위험은 축소되는 것이 이론적으로 타당하다는 주장이다.


이 연구위원은 “글로벌 금융위기 등 과거 사례를 보면 특히 위기 시에 주가와 신용스프레드 간의 역의 관계는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고 주장했다.


한경연은 현재 국내 주식시장의 호조에 대해 해외 주요 주식시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유동성 장세로 보고 있다. 문제는 해외의 경우 정부에 의한 유동성 확대가 주식시장은 물론 채권시장까지 확산되지만 우리나라는 아니라는 점이다.


실제 우리나라 채권시장의 경우 국채거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 이 때문에 유동성 확대의 혜택이 국채 금리의 하락으로만 나타나고 회사채는 수요부족으로 오히려 금리가 상승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한경연은 이것이 신용스프레드의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 연구위원은 “정부가 채권안정펀드를 확대하는 등 채권시장 안정대책을 이미 내놓았지만 아직 본격적으로 시장에서 작동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기업의 원활한 자금조달을 위해서는 기업신용위험도의 축소가 바람직하다”라고 말했다.


한경연은 우리나라의 경우 주식시장에서 강한 순매수 포지션을 유지하고 있는 개인투자자들이 리스크를 훨씬 더 많이 부담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경고했다.


이 연구원은 “우리나라의 경우 기관투자자들은 주식시장에서 순매도 포지션, 채권시장에서 순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반면 개인투자자들은 주식시장에서 순매수, 채권시장에서는 순매도 포지션을 취하고 있다”며 “개인투자자들이 위기상황에서 훨씬 공격적 투자성향을 보이고 있으며 실물과 금융의 괴리가 커질수록 결국 개인들이 짊어져야 할 잠재적 위험도 커진다”고 설명했다.


한경연은 위기 국면에서 유동성 확대는 불가피하지만 자원배분의 비효율성, 과도한 위험추구 등 그 부작용을 충분히 인식해 경제체질개선과 규제개혁도 동시에 추진해야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지속성장이 가능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이건엄 기자 (lku@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