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선교통 후입주’ 약속 지켜질 수 있나…신도시 ‘교통 공백’ 진통

임정희 기자 (1jh@dailian.co.kr)
입력 2025.04.22 07:00
수정 2025.04.22 07:00

하남 교산·남양주 왕숙 등 3기 신도시 본 청약 본격화

송파 하남선·GTX 등 철도 사업 착공 줄줄이 지연

입주 후에도 철도망 구축 공회전…위례 악몽 재현되나

3기 신도시 고양 창릉 지구 전경. 3기 신도시 조성 사업 및 본 청약 일정이 올해를 기점으로 본격화되지만 입주 일정과 함께 추진돼야 하는 철도 사업들이 줄줄이 지연되고 있다.ⓒ뉴시스

3기 신도시 조성 사업 및 본 청약 일정이 올해를 기점으로 본격화되지만 입주 일정과 함께 추진돼야 하는 철도 사업들이 줄줄이 지연되고 있다.


이에 수도권에서 조성 및 입주가 완료됐으나 수년 째 교통망 확충이 공회전 중인 위례신도시의 사례가 3기 신도시에서도 반복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2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하남 교산과 남양주 왕숙 등 3기 신도시를 지나는 철도 사업이 곳곳에서 지연되면서 입주시기에 맞춰 교통망 구축이 어렵다는 관측이 나온다.


지난해 9월 인천 계양 A2·A3 블록을 시작으로 올해 2월 고양 창릉 A4·S5·S6 블록의 본 청약이 진행된 바 있다.


이달에는 하남 교산 A-2블록에서 1115가구 공급이 예정돼 있다. 사전 청약 물량 866가구를 제외하면 249가구가 공급된다.


이어 내달 부천 대장 5·6블록과 하반기 남양주 왕숙 B-1·2블록 등 올해 3기 신도시에서만 총 8000가구 규모의 공급이 이뤄질 전망이다.


그러나 3기 신도시 사업이 착착 진행되고 있는 것과 반대로 철도망 구축 등 교통정책은 답보 상태다.


하남 교산에서는 서울 지하철 3호선 오금역에서 하남시 감일·교산지구를 거쳐 5호선 하남시청역을 잇는 11.7km 규모의 송파하남선 사업이 추진되고 있지만 올해 1차 행정안전부 중앙투자심사에서 반려됐다.


이는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위원회에서 지난해 12월 경기도가 제출한 기본 계획 승인이 지연된 데 따른 것으로 하남 교산 첫 입주 예정 시기인 2029년을 넘겨 오는 2032년 개통이 예상되는 상황 속 추가 사업 지연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수도권을 가로지르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B·C 노선의 착공이 상당 기간 미뤄진 점도 교통 공백의 우려를 키운다.


특히 인천대입구~마석을 잇는 GTX-B는 남양주 왕숙을 관통하며 콤팩트시티를 건설하는 핵심 노선이지만 착공이 1년여 간 지연되며 목표 개통 시점인 오는 2030년을 맞추기 어려워졌다.


재정 구간인 용산~상봉 구간은 지난해 공사에 착수했지만 민자 구간인 인천대입구~용산, 상봉~마석 구간은 지난해 3월 착공식 후에도 1년 넘게 금융 조달 논의가 완료되지 않아 사업 진척이 더뎠다.


다만 지난달에야 대우건설 컨소시엄이 민자구간 착공보고서를 내고 현재 지장물 이설과 펜스 설치 등 공사에 착수했으며 내달 말까지 재무적투자자와 금융조달에 대한 논의를 마무리 짓고 본격적인 공사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강경우 한양대 교통물류학과 교수는 “선교통 후입주는 굉장히 좋은 아이디어지만 노선을 어떻게 연결할지 지자체 간 협의가 굉장히 어렵다”며 “당초 도시 계획과 교통 체계에 대한 논의를 함께 추진해 나가면서 결정해야 하는데 그동안 신도시가 먼저 결정되고 그 후에 교통 대책이 수립되다 보니 이 같은 지난한 문제가 반복됐다”고 주장했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사업지연으로 3기 신도시에서도 위례신도시와 같은 악몽이 재현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지난 2013년 말부터 입주를 시작한 위례신도시는 지하철 3호선 신사역까지 이어지는 위례신사선 사업이 17년 째 표류 중이다.


민간투자사업으로 지난 2008년 시작됐던 위례신사선은 공사비 폭등 등으로 사업성 악화에 직면해 2016년 삼성물산 건설부문에 이어 지난해 6월 GS건설 컨소시엄 등 우선협상대상자들이 차례로 발을 뺀 이후 재정투자사업으로 전환된 채 원점으로 돌아갔다.


강 교수는 “위례신사선과 같은 사례도 앞으로 계속 나올 수 있다”며 “과거 교통 체증이 심하고 인프라가 갖춰지기 전에는 수익성이 좋았지만 최근 교통 인프라가 어느 정도 갖춰진 수도권에선 민자 추진 시 사업성 확보가 쉽지 않아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공사비도 30%가량 오른 상황에서 민자 사업이 어려워져 정부 재정 투입이 불가피하지만 정부도 여력이 없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임정희 기자 (1j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