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업무보고]스마트농업 생산 비중 확대…동물복지 제도 현장 안착도 노력
입력 2025.01.13 16:00
수정 2025.01.13 16:00
스마트농업 생산 비중 16%서 20% 확대
스마트농업 육성지구 4곳 신규 조성 계획
스마트농업 생산 비중을 16%에서 20% 수준까지 확대하고, 농업용 인공지능(AI)·로봇 등 첨단기술과 전후방산업 연계를 통해 외연을 확장한다.
연구·생산·실증 등 기능을 집적화한 스마트농업 육성지구 4곳을 신규 조성한다. 또 건물형 수직농장, 컨테이너 스마트팜 등 새로운 형태의 스마트농업이 현장에 착근하고 확산될 수 있도록 개발제한구역 등 입지규제 완화, 표준화, 연구개발(R&D)·실증 등도 지원해 나간다.
푸드테크·그린바이오 등 전후방 新산업 성장을 가속화하기 위해 생산·연구 인프라에 1212억 원을 투자한다.
푸드테크·그린바이오 시장이 다양한 분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연구·생산 거점을 확대하고, 민·관 협업을 통해 식품 제조 분야 스마트공장도 30개사에서 70개까지 지원을 확대한다. 이와 함께 400억 원 규모의 미래혁신성장펀드를 활용해 新산업 분야 민간투자도 확대해 나간다.
미래 산업 분야(2025년 1088억 원), 중장기 현안 해결, 현장 수요가 많은 과제 등에 대규모 R&D를 집중 투자한다.
K-Food+ 수출 140억 달러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중동·남아공 등 新시장 및 미중일 중소도시 중심으로 시장을 개척해 나가기 위해 코트라 해외무역관 연계, 해외 바이어 협의체 등 가용자원을 최대한 활용한다. 특히 10대 농식품 수출전략 품목을 중심으로 프리미엄화(포도·딸기), 제품개발(쌀가공식품), 대규모 마케팅(라면) 등을 지원한다.
동물복지·환경 등 지속 가능한 농업·농촌 성장모델 구현에도 힘쓴다.
그간 도입된 동물복지 제도들을 현장에서 안착시키면서, 동물복지 인프라, 반려동물 연관산업 등을 체계적으로 뒷받침한다.
동물 유기·유실 방지를 위해 등록 의무 대상 동물을 올해 특수목적견 등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지자체 보호센터, 보호인력 등도 확충해 나간다. 시장규모가 큰 동물의료·펫푸드를 중심으로 산업을 뒷받침해 나간다. 수의전문의 및 상급병원체계 도입, 의료인력 수급 균형방안 등을 담은 동물의료 발전 종합계획을 마련(6월)하고 펫푸드는 별도 분류·표시·영양기준 마련, 서비스업 영업범위 확대 등을 추진해 나간다.
저탄소·환경 분야를 선도하기 위해 정책의 틀을 전환하고, 선제적 가축방역 시스템을 고도화한다.
친환경농업 확산 속도를 높이기 위해 목표, 인증방식 등 정책의 틀을 재설계하는 등 개편 방안을 마련한다. 또한, 저탄소 농업 프로그램 대상 확대, 민간에서 온실가스 감축 실적을 거래할 수 있는 농업분야 ‘탄소 크레딧’ 거래체계 도입, 지자체의 농촌 에너지 전환 로드맵 마련 등을 추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