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정부, 다섯 달째 ‘내수 회복 조짐’ 진단…“경기 회복 흐름 지속·속도차 존재”(종합)

세종=데일리안 맹찬호 기자 (maengho@dailian.co.kr)
입력 2024.09.13 10:45 수정 2024.09.13 11:01

기재부, 최근경제동향(그린북) 9월호 발간

KDI 등 ‘내수 부진 진단’과 온도차 극심해

부문별 속도차 존재…완만한 내수 회복 조짐

30일 서울의 한 전통시장에 상품들이 진열되어 있다. 완연한 수출 회복세에 상반기 재정 집중 집행까지 힘을 보탰지만 내수는 여전히 그늘을 면치 못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다섯 달째 ‘내수 회복 조짐’ 흐름 강조하며 경기가 회복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물가 안정세에 대해선 긍정적인 평가를 내놨지만, 내수와 관련해선 외부 평가 온도차가 여전했다.


기획재정부는 13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9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물가 안정세가 확대되는 가운데 견조한 수출·제조업 중심 경기회복 흐름이 지속되고 있으며, 설비투자·서비스업 중심 완만한 내수 회복 조짐 속에 부문별 속도 차가 존재한다”고 밝혔다.


지난달에 이어 ‘수출·제조업 중심의 경기 회복’과 그에 따른 ‘완만한 내수 회복 조짐’ 평가를 유지했다.


다만 ‘부문별 속도차’를 언급했다. 이는 수출 호조에 따른 경기 선순환 효과가 아직 충분치 않다는 뜻이다.


정부의 ‘내수 회복 조짐’ 진단은 5개월 연속 계속되고 있지만 한국개발연구원(KDI) 등 외부의 평가와는 여전히 온도 차를 보였다.


KDI는 지난 9일 발표한 ‘경제동향’ 9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높은 수출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고금리 기조로 내수 회복이 지연되면서 경기 개선이 제약되는 모습”이라고 밝혔다.


특히 KDI는 수출 호조에도 소매판매와 건설 투자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며 내수 회복세는 가시화되지 못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내수 부진 진단은 지난해 12월부터 10개월째 이어졌다.


최근 주요 내수 지표를 보면 7월 설비투자는 전달과 비교해 10.1% 증가했다.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하면 18.5% 늘었다.


반면 소매판매와 건설투자는 지난달보다 각각 1.9%, 1.7% 감소했다. 전년 동월과 비교해도 각각 2.1% 5.3% 줄었다.


내구재(-2.3%), 준내구재(-2.1%), 비내구재(-1.6%) 등 모두 감소했다.


다만 서비스 소비로 해석되는 서비스업 생산은 전월비(0.7%)·전년동월비(2.2%) 모두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김귀범 기획재정부 경제분석과장이 1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4년 9월 최근 경제동향을 발표하고 있다. ⓒ뉴시스

김귀범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인구가 고령화되면 사람들이 소비성향이 떨어지는 경향도 있고, 저출산·고령화로 사람 자체가 줄어들면 또 소비성향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결혼이 좀 늦어지면 소비성향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며 “그 부분이 일시적인지 항구적인지와 구조적인 요인에 대해서도 들여다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백화점·마트 등 카드 승인액 및 자동차 내수 판매량 증가는 긍정적 요인으로 꼽았다. 다만, 소비자 심리지수 하락은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또 건설수주 증가는 중장기 건설투자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나 낮은 수준의 아파트 분양물량은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봤다.


7월 광공업 생산은 통신·방송장비(48.8%) 등이 늘었지만 자동차(-14.4%), 반도체(-8.0%) 등에서 줄어 전달보다 3.65 감소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5.5% 증가했다.


현재 경기를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보다 0.6p(포인트) 낮아져 5개월 연속 하락세다.


8월 소비자물가는 햇과일 출시, 국제유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상승 폭(2.0%)이 전달(2.6%)보다 둔화했다.


다만 추세적 흐름을 보여주는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 상승 폭은 전달(2.2%)보다 소폭 하향한 2.1%로 나타났다.


세계 경제는 교역 개선, 주요국 통화정책 기조 전환 등으로 전반적 회복세를 보이나 지역별로 회복 속도에 차이가 있다고 봤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중동 지역분쟁 확산 우려 등 지정학적 리스크와 주요국 경기둔화 우려 등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김 과장은 “물가안정 기조를 안착하고, 소상공인 등 맞춤형 선별지원과 내수 보강 등 민생안정을 위한 추석 민생안정대책의 주요 정책 과제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맹찬호 기자 (maengh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