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기준금리로 가계부채 문제 연착륙...금융당국과 논의”
입력 2022.04.01 10:23
수정 2022.04.01 12:28
상반기 물가 3.1% 웃돌아, 하반기 불확실성↑
“매파도 비둘기도 아냐”...성장・물가 모두 고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후보자가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 기조를 바탕으로 가계부채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통화정책운용 방향은 성장과 물가에 미치는 영향 등을 모두 고려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창용 후보자는 1일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 마련된 국회 인사청문회 태스크포스(TF) 사무실 출근길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이 후보자는 “지난 8월부터 금리를 선제적으로 올릴게 돼서 가계부채를 조율할 수 있는 밑바탕을 마련했다”며 “금리를 통해서 가계부채 문제가 소프트랜딩 될 수 있도록, 가계부채의 증가속도를 잡을 수 있는 정책적 노력에 대해 한은이 시그널을 주고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가계부채 문제는 총재에 임명하면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과 함께 전반적인 정책 방향에 대해 논의하겠다고 예고했다. 이어 “금리가 균형금리보다 낮으면 가계부채가 너무 늘어나서 자산가격에 영향을 주고 국가경제 안정화에 영향을 준다”며 “고령화로 나이 많은 분들이 은퇴 후 생활자금을 위해 가계대출을 받기 시작하면 가계대출의 퀄리티(질)도 나빠질 수 있기 때문에 중장기적으로 해결해야한다”고 강조했다.
향후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낮출것이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최근 저의 발언을 두고 언론에서 비둘기파라는 보도가 나왔다”며 “IMF 보고서 말씀하신 부분은 그런 하방리스크가 실현됐을 때, 경기에 주는 영향이 물가보다 훨씬 더 예상 밖으로 커졌을 때 한국은 재정도 건전한 편이고 금리를 미리 올렸기 때문에 부양정책을 할 여력이 있다라는 뜻”이라고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앞서 이 후보자는 전날 공항 출국길에서 IMF 보고서에서 하방위험으로 ▲미국 통화정책의 정상화 속도 ▲우크라이나 사태 ▲코로나19로 인한 슬로우다운(경기둔화) 등 세 가지를 제기했는데, 3대 리스크가 실현됐다며 우려한 바 있다. 기존 스탠스보다 금리 정상화 속도를 늦추지 않겠냐는 관측이 일자 이같이 발언한 것이다.
이 후보자는 “3대 하방리스크가 실현됐으니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금통위원들과 이런 부분을 더 분석해서 방향을 마련해야 한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한미간 금리 역전 가능성에 대해서는 “금리가 역전된다고 해서 자본유출 가능성은 금리 뿐 아니라 환율 변화 기대심리, 펀더멘탈 변화 등 여러 변수에 달려있어 금방 일어난다고 볼 수 없다”면서도 "미국이 펀더멘털이 좋고 성장률과 물가가 높아 금리 인상 속도가 빠를 것이기 때문에 격차가 줄어들거나 역전될 가능성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다만 “아시아 경제 전체를 보면 우크라 사태가 일어나도 유럽이나 라팉아메리카에 비해 전반적으로 좋은 상황이고, 한국이 펀더멘탈을 보면 금리격차가 자본유출에 주는 영향은 적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오히려 환율절하에 따른 물가 우려를 봐야 한다는 지적이다.
물가 상승에 따른 전망치 상향도 예고했다. 그는 “상반기는 부득이하게 (한은 전망치)3.1%보다 높아질 것 같고, 하반기는 우크라 사태와 오미크론 등의 변수로 정말 모르겠다”며 “불확실성이 클 때는 예측보다 거시경제 리스크 관리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치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28일 국고채 금리가 급등함에도 한은이 시장 개입을 하지 않았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한은의 판단이 올바르다고 보았다. 그는 “보고받은바에 의하면 그날 국고채 금리가 20bp 가량 뛰게 된 것은 파월 연준 의장이 빅스템 언급을 하면서, 시장에 기대가 형성됐다”며 “한국뿐 아니라 전반적으로 금리가 뛰어 펀더멘탈을 벗어나서 시장이 불안한 상황이 아니라고 판단한 것 같다”고 했다.
그는 또 “예전 중앙은행은 물가를 중시했지만 그 문구 하나만을 지키기 위한 프레임은 벗어났다”며 “중앙은행도 큰 틀에서 물가, 성장, 금융안정, 거시경제 전반적인 면을 종합저긍로 보고 정부정책과의 일치성, 일관성을 위해 서로 협조해야 한다는 틀로 바뀌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