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과 포털, 뉴스 생태계 건전 발전 첫 단추 꿰다
이한철 기자
입력 2015.09.24 12:28
수정 2015.09.24 12:28
입력 2015.09.24 12:28
수정 2015.09.24 12:28
네이버-카카오 '뉴스제휴평가위원회' 10월 공식 출범
24일 15개 단체 참여 '뉴스제휴평가위원회 규정합의안'
언론과 포털, 뉴스 생태계 건전 발전을 위한 토대가 마침내 마련됐다.
포털 사이트 네이버와 카카오, 그리고 언론계·학계·시민단체가 머리를 맞대고 마련한 '뉴스제휴평가위원회규정합의안'은 주류 언론과 포털의 오랜 기득권 동맹을 과감히 깨고 공정한 경쟁을 촉발하는 촉매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선정적인 보도와 반복 송고, 기사 형식의 광고 등으로 신뢰를 잃은 채 추락을 거듭해온 온라인 뉴스 시장이 객관성과 공정성, 다양성 되살리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한 셈이다.
네이버-카카오 뉴스 제휴평가위원회 설립을 위한 준비위원회(이하 준비위원회)는 24일 한국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뉴스제휴평가위원회 설립규정 설명회'를 개최하고 '뉴스제휴평가위원회규정합의안'을 발표했다.
준비위원회는 지난 7월 네이버와 카카오의 새로운 뉴스제휴 정책인 공개형 뉴스제휴 평가위원회 준비를 위해 출범한 예비모임으로 2개월간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한 끝에 포털 뉴스 개혁을 위해 칼을 빼들었다.
이날 발표는 한국방송협회, 한국신문협회,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학회, 한국온라인신문협회, 한국인터넷신문협회,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등 7개 단체가 네이버와 카카오가 요청한 '공정하고 실효성 있는 뉴스제휴평가위원회 구성'과 관련해 합의한 내용으로 향후 양사의 뉴스 제휴 심사를 책임질 뉴스제휴평가위원회에 대한 세부사항이 포함됐다.
준비위원회 심재철 위원장(한국언론학회장)은 "언론 관련 단체 7개 단체와 포털 사이트 네이버와 카카오가 국내 인터넷 뉴스생태계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지난 7월부터 논의한 끝에 합의에 이르렀다"며 "양 측이 모여 의미 있는 합의를 이룬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를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냈다고 믿고 있다"고 자평했다.
특히 심 위원장은 "지나치게 선정적인 기사, 기사로 둔갑한 광고, 기사 반복 전송 등이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라며 "이를 위해 뉴스제휴평가위원회 구성에 합의했다. 해당 위원회가 가급적 올해 안에 평가 업무를 진행해 줄 것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이날 준비위원회 발표에 따르면, 뉴스제휴평가위원회는 대표적인 언론 유관단체 및 이용자 단체가 참여하며, 평가 및 심의를 전담하는 평가위원회(상설기구)와 정책과 제도를 전담하는 운영위원회(비상설기구)로 구성된다. 평가위원회는 제휴 심사와 관련된 기준과 절차를 제정하고, 그 기준에 따라 평가를 진행한다.
뉴스제휴평가위원회는 한국방송협회, 한국신문협회,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학회, 한국온라인신문협회, 한국인터넷신문협회,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이상 준비위원회 참여 단체),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대한변호사협회, 한국기자협회, 언론인권센터, 인터넷신문위원회, 한국소비자연맹, 한국신문윤리위원회, 한국 YMCA 연합회 등 15개 단체가 추천하는 인사로 구성되며 각 기관별로 2명씩, 최대 30명의 위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뉴스제휴평가위원회의 통상적 회의 및 평가 업무는 15명씩(각 단체별 1인)으로 구성해 운영하며, 각 회의별 참가자는 해당 추천 기관에서 결정한다.
심재철 위원장은 "출발은 15개 단체, 30명의 위원들이 뉴스를 평가하게 되지만, 뉴스제휴평가위원회는 공개형이고 오픈돼 있다. 앞으로 다른 단체들도 앞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는 열려 있다"고 참여단체에 변동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평가위원은 온라인 뉴스 관련 전문성을 갖추고 평가자로 심각한 결격 사유가 없어야 하며 평가 독립성을 위해 위원 신원은 공개하지 않는다. 단, 추천한 기관 및 단체명은 공개할 수 있으며 임기는 1년으로 연임 가능하다.
특히 한 사안에 대해 15명이 함께 심의하도록 함으로써 공정성도 확보했다. 허승호 위원(한국신문협회)은 "평가위원 가운데 한 명이 왜곡된 발언을 하더라도 나머지 14명에게 영향력을 행사하긴 어렵다"고 전했다.
평가위원을 비공개로 한데 대해 준비위원회 측은 "뉴스제휴평가위원회가 포털의 뉴스를 올리는 매체의 진입 및 중단을 정할 수 있는 중대한 권한을 갖고 있다. 누가 특정 사에 대해서 의사결정을 행사한 것인지 원천적으로 불투명하게 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뉴스제휴평가위원회는 이번 합의안을 토대로 10월 중 공식 출범해 세부 평가 기준을 마련한 뒤 연말께부터 평가 활동에 들어갈 예정이다. 뉴스제휴평가위원회가 악화일로를 걷기만 하던 인터넷 뉴스시장의 폐해를 극복하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한철 기자
(qur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