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우 "국정원 해킹 프로그램? 사이버 전쟁위해"
조소영 기자
입력 2015.07.15 12:03
수정 2015.07.15 12:13
입력 2015.07.15 12:03
수정 2015.07.15 12:13
"시대 변했다…국민 신뢰 잃어선 정보기관 역할할 수 없어"
이 의원은 이날 YTN라디오에 출연해 "국민들이 어렵게 생각하는데 사이버 전쟁이다. 전쟁을 하는데 상대가 어떤 무기를 개발해 어떻게 (활용)하는지 (보는 것)"이라며 "스마트폰이 활성화된 게 2010년쯤 된다. 스마트폰이 나오니 이에 대해 상대들이 어떻게 공격해오는지, 그럼 우리는 어떻게 막아야 하는지 연구를 해야 하는데 이를 이탈리아 해킹사에서 해킹 프로그램을 제일 먼저 개발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미국, 그 큰 나라도 (프로그램을) 60개 정도 구입한 것 같고 우리는 20개 했다"며 "20개 정도 들여왔다는 것은 (프로그램을) 완전히 연구해 상대가 쳐들어오면 어떻게 막을지, 우리는 어떻게 공격할 수 있는지 연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의원은 그러면서 "이걸 국민을 대상으로 (활용하지) 않았다는 건 국정원에서 어제 (정보위에 참석해) 명백하게 밝혔고, 국민들은 과거 국정원 도청 사건 등이 있어 '자라 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다'고 또 그런 것 아니냐(고 보는 듯하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이어 "시대도 많이 변했고 국정원이 다시 그런 일을 하면 일어설 수가 없다"며 "국민의 신뢰를 잃어서는 정보기관의 역할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저는 (민간인 사찰 등을 했다는 의혹에 대해) 단연코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또 전날 정보위에서 국정원이 해당 프로그램의 활용 대상이 국내가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말했다. 그는 "(국정원이) 해외에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했고, 국내에서는 단지 2개 회선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까지 밝혔다"며 "국내에 있는, 활동하는 대북 용의자와 같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게 아니라 순수하게 해외에서만 한다고 했다"고 거듭 말했다.
이 의원은 그러면서 프로그램 구입 시기가 2012년 1월과 7월로 총·대선 직전이 아니냐는 야당의 주장에 대해서는 "스마트폰이 2010년부터 상용화되기 시작했고 해킹 프로그램은 조금 후에 개발되지 않느냐.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난 다음 국정원에서 구입 시도를 한 것"이라며 "2012년 1월에 구입이 된 게 아니고 그 전부터 구입하려고 노력하다가 2012년 1월에 구입이 된 것이다. 그리고 7월에 10개 회선을 더 (구입)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 작업이 물건 사듯이 당장 되는 게 아니라 절차가 복잡하더라"고도 덧붙였다.
한편 정보위 소속 문병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이 의원의 이 같은 주장에 반박의 목소리를 냈다. 이 의원에 뒤이어 출연한 문 의원은 "국정원이 감청 설비를 도입하면 국회 정보위에 통보하도록 돼있다"며 "만약 이것(프로그램 구입)이 정보 수집을 위한 것이었다면 국정원은 (왜) 떳떳하게 국회에 통보를 안했느냐"고 말했다.
문 의원은 이어 "(언론에) 보도된 바에 따르면 국내정치나 민간인 사찰을 했다는 의혹이 짙어 상당히 중대한 문제"라며 "국가기관이 법을 지키고 정보기관이 본연의 정보수집 업무를 해야지 정치에 개입하고 민간인을 사찰하면 안된다"고 쏘아붙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조소영 기자
(cho1175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