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군 투입' 방첩·수방·특전사령관 이어 정보사령관도 직무정지

강현태 기자 (trustme@dailian.co.kr)
입력 2024.12.10 10:08
수정 2024.12.10 11:11

"조사 여건 고려해 수도권 부대로 대기 조치"

문상호 정보사령관 ⓒ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지시에 따라 후속조치에 관여한 것으로 알려진 국군방첩사령관, 수도방위사령관, 특수전사령관에 이어 정보사령관도 직무정지 리스트에 올랐다.


국방부는 10일 "현 상황과 관련 있는 것으로 확인된 정보사령관 육군 소장 문상호에 대해 직무정지를 위한 분리파견을 이날부로 단행했다"며 "조사 여건 등을 고려해 수도권에 위치한 부대로 대기 조치했다"고 밝혔다.


앞서 국방부는 지난 6일 △수도방위사령관 육군 중장 이진우 △특수전사령관 육군 중장 곽종근 △국군방첩사령관 육군 중장 여인형 등에 대한 직무정지 및 분리파견 조치를 시행했다고 전한 바 있다.


당시 문상호 정보사령관은 관련 명단에 포함되지 않았다. 야당 의원들이 문 사령관 관련 제보를 공개하자 사실 확인을 거쳐 추가 직무정지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김병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전날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정보사 인원들이 계엄 당일 동원됐다는 제보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해당 인원들은 북파 공작 관련 정예요원으로 문 사령관이 '비선'을 꾸려 부대별 차출 등을 지시했다는 설명이다.


김 의원은 "정보사령관 밑에 비상계엄에 대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한 것으로 보인다"며 "정상적 지휘계통이 아니라 비정상적인 점조직에 의해 이런 것들이 구성됐다고 본다. TF에서 이러한 인원을 통제했고, 핵심 대령급 두 명이 여기 관여해서 통제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제보에 따르면, 문 사령관은 △10월 말경 '북파 공작원 차출' △11월 초 '관련 인원 휴가 제한' △11월 중순 '지시 취소' 등의 조치를 취했다.


계엄 당일에도 "(오후) 5시경 소집명령이 내려졌다고 한다"는 게 김 의원의 설명이다. 다만 김 의원은 해당 인원들이 "(계엄) 다음날인 12월 4일 새벽 5시까지 대기하다가 해산했다고 한다"며 "6시간 만에 비상계엄이 실패로 돌아가며 '체포조'는 투입되지 않은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 인원들이 '국회의원 체포조'에 해당한다는 주장이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임무와 연관이 있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실제 작전 현장에 투입되지 않고 대기 후 해산한 만큼, 해당 인원들도 자신들의 임무를 인지하지 못했을 수 있다는 관측이다.

강현태 기자 (trustm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