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류업 역행하는 지주사들...만년 저평가주 꼬리표 ‘여전’
입력 2024.10.31 07:00
수정 2024.10.31 07:00
삼성물산·LG·SK·롯데지주 등 신고가 경신 후 20%대 하락
지원 방안 발표에 반짝 급등...정책 가동 이전으로 주가 회귀
공시 참여 미진·부실에 불공정 합병 논란까지...반등 기대감↓
밸류업의 수혜주로 꼽혀온 대기업 지주사들이 관련 정책이 본격 가동된 이후에도 ‘만년 저평가’를 탈출하지 못하고 있다. 지주사들의 미진한 밸류업 공시 참여와 합병·분할 논란 등이 정부가 그룹사들에 주문하고 있는 밸류업에 역행한다는 지적을 받으면서 반등 기대감이 낮아진 분위기다.
3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삼성물산과 LG, SK, 롯데지주, 한화 등 주요 지주사는 정부가 밸류업 지원 방안을 공개한 지난 2월 기대감에 주가가 반짝 급등한 뒤 다시 하락해 지지부진한 가격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삼성물산은 전날(29일) 종가 기준 주가가 12만9900원으로 금융당국이 밸류업 계획의 세부 내용을 발표한 직전 거래일인 지난 2월23일 16만원 대비 19.75% 하락한 상태다. 삼성물산은 사실상 삼성그룹의 지주사 역할을 하는 회사다.
다른 주요 지주사들도 상황은 별반 다르지 않다. 같은 기간 LG는 23.15%(10만1500원→7만8000원), SK는 26.76%(20만4000원→14만9400원)의 하락률을 보였다. 롯데지주(3만500원→2만3850원)와 한화(2만9400원→2만8050원) 주가도 각각 21.80%, 4.59% 떨어져 있다.
앞서 삼성물산은 밸류업 바람이 본격화한 시기인 지난 2월 20일 장중 17만1700원까지 오르며 52주 최고가를 경신한 바 있다. SK(2월23일·21만2000원)와 LG(2월19일·10만3600원), 롯데지주(2월13일·3만3750원), 한화(2월2일·3만2200원)도 모두 같은 달에 52주 신고가를 기록했다.
그러나 밸류업이 첫발을 뗀 뒤 기대감이 점차 줄어들면서 지주사들은 다시 약세를 나타내고 있다. 비상장사 및 신사업 이슈로 주목받은 두산과 CJ, 한화 등을 제외하면 지난해 연말과 비교해 주가가 낮거나 비슷한 가격대에 머물면서 오히려 밸류업 정책 가동 이전으로 후퇴했다.
한국거래소의 밸류업 공시 가이드라인 발표(5월)과 밸류업 지수(9월) 공개 때도 지주사들은 단기적인 반등을 보이는 데 그쳤다. 대표적인 저평가주로 꼽히는 지주사들이 밸류업 기대감에 주가가 올랐지만 대부분 지수 편입에 실패한 데다 실질적인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를 내놓지 않고 있어서다.
살제 금융권을 제외한 지주회사 중 밸류업 본 공시를 한 지주사는 아직 SK 1곳에 불과하다. LG와 포스코홀딩스, 신세계가 밸류업 예고 공시를 내긴 했으나 기업가치 제고계획 등 세부 방향을 밝힌 본 공시를 내놓은 곳은 현재까지 SK가 유일한 상황이다.
더 큰 문제는 이 마저도 투자자들의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SK는 지난 28일 장 마감 후 밸류업 본 공시를 냈지만 다음날인 29일 상승폭(0.89%)이 미미한 수준을 보였고 이어 30일에는 오히려 1.45% 하락했다.
기업거버넌스포럼이 SK의 밸류업 계획을 ‘D등급’이라고 지적하는 등 공시 내용이 미흡하다는 시장의 평가가 나왔기 때문이다. 거버넌스포럼은 SK가 확실한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25%에 이르는 자사주 소각을 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여기에 두산그룹이 두산로보틱스와 두산밥캣을 합병하겠다는 지배 구조 개편안을 발표했다가 불공정 논란에 휩싸인 것도 지주사 전반에 대한 투자심리를 악화시키고 있다.
두산그룹은 지난 7~8월 두산에너빌리티에서 두산밥캣을 인적 분할한 뒤 이를 두산로보틱스가 흡수합병하는 구조 개편을 시도했다. 하지만 알짜 회사인 두산밥캣과 적자기업 두산로보틱스를 불공정한 비율로 합병하려고 한다는 논란이 거세지면서 이를 철회한 바 있다.
최근 두산그룹은 두산에너빌리티를 두산밥캣 지분을 소유한 신설 법인으로 인적 분할한 뒤 이 법인을 두산로보틱스의 자회사로 두는 방안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이와 함께 두산에너빌리티-두산로보틱스의 분할합병 비율도 재산정했지만 주주들의 반발은 여전한 상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지주사들은 오너들의 지분가치가 상승하면 세금 부담이 늘어나 주가 부양에 인색한 경우가 많다”며 “대주주 또는 지주사만 이익을 보는 구조의 사업 재편도 밸류업을 역행하는 이슈인데 관련 제도 개선이 늦어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