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APEC 정상회의, 글로벌 리더십 발휘할 기회

임은석 기자 (fedor01@dailian.co.kr)
입력 2024.10.09 07:00 수정 2024.10.09 07:00

APEC, 아태지역 경제협력의 핵심 플랫폼

성공적인 개최로 글로벌 위상 제고

포용적인 통상 리더 국가로 발돋움


이철우(왼쪽) 경북도지사와 주낙영 경주시장이 지난 6월 27일 경북도청에서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경주 개최 확정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뉴시스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우리나라에서 열린다. 우리나라가 APEC 정상회의를 개최하는 것은 2005년 부산 정상회의 이후 20년 만이다. 글로벌 통상환경이 급변하는 시기에 한국에서 열리는 2025 APEC에 전 세계인의 눈과 귀가 모이고 있다.


이런 시기에 APEC 개최국으로서 글로벌 어젠다를 형성하는 데 주도적인 기회를 갖게 된 점은 더할 나위 없이 좋은 기회다. 이번 회의는 우리나라의 글로벌 위상을 확인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며, 그만큼 성공적인 개최에 대한 국민적 열망이 높다.


APEC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지속가능한 경제성장과 번영을 목표로 하는 최고의 경제 협력체다. APEC 21개 회원국의 인구는 약 30억 명으로 세계 인구의 약 40%를 차지하며, 세계 무역의 절반과 GDP의 약 62%를 담당한다. 그리고 2023년 기준 우리나라 수출의 약 80%가 APEC 회원국으로 향하고 있으며, 우리 무역파트너 상위 10개 국가 중 9개가 APEC 회원국이다.


내년 APEC 정상회의는 천년의 고도인 경주시에서 열리고, 장관급 및 실무그룹 회의 등 수많은 회의가 서울, 인천, 제주도 등에서 개최된다. 일반적으로 APEC이 개최되면 정상 및 장관급 회의를 포함해 300개 정도의 국제회의가 열린다. 여기에 더해 30개 이상의 각종 부대행사가 함께 열린다. 그리고 약 3,000명 이상의 고위 정부 관료와 글로벌 비즈니스 리더들이 참석한다.


이 회의에서 각국의 정부 대표들은 무역과 투자, 경제성장, 공급망과 기후문제 등 글로벌 현안을 논의하고 조정한다. APEC 정상회의 주간에는 APEC CEO 서밋, APEC 기업인 자문위원회 등이 열린다. 이들 회의를 통해 광범위하고 실질적인 공공-민간 협력이 이루어진다. APEC은 이렇게 지난 30여 년 동안 아태지역의 경제 협력을 촉진하는 핵심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다.


의장국으로서 우리나라는 2025 APEC의 목표를 반영한 주제와 중점과제를 제시한다. 여기에는 2020년 말레이시아 회의에서 채택한 푸트라자야 비전 2040을 지원하기 위한 의제로 무역과 투자 자유화, 경제안보와 공급망, 디지털 경제, 지속가능성과 포용성 등이 포함될 것이다. 이러한 의제를 통해 2025 APEC은 자유롭고 개방적인 무역과 투자를 장려하고, 경제안보와 공급망을 강화하며, 우호적이고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2025 APEC 정상회의는 1년 이상이 시간이 소요되는 마라톤 같은 프로젝트다. 의장국으로서 우리나라는 APEC 회의에서 아태지역을 위한 광범위한 경제 협력을 촉진하는 기회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 성공적인 회의를 위해 정부, 기업, 학계 등의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APEC에서 직접 소통할 수 있는 많은 대화 창구가 필요하다.


여기에는 회원국 정부 간 대화에 참여하는 것뿐만 아니라 기업인들이 직접 참여하는 다양한 행사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이번 APEC 정상회의 개최를 최대한 활용하여 주요 지역 파트너와의 경제 협력을 한층 강화하고, 디지털 공동체로 연결되며, 포용적인 통상 리더 국가로 한 걸음 더 나아가야 한다.


여기에 더해 아태지역 국가들과 의미있고 지속가능한 협력을 바탕으로 한국의 통상 리더십에 대한 세계의 확고한 지지를 얻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2025 APEC의 성공적인 개최를 넘어 회원국들과 더 폭넓고 깊은 유대관계를 발전시켜야 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미래 세대의 번영을 위해 개방적이고 역동적이며 회복력 있고 평화로운 아태지역 경제공동체를 만드는 데 기여할 것이다.


글/ 김수동 산업연구원 통상전략실장

임은석 기자 (fedor0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