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수소 시대 개막…해결해야 할 과제는?

정진주 기자 (correctpearl@dailian.co.kr)
입력 2024.02.28 14:40
수정 2024.02.28 14:41

한국, 올해 세계 최초로 청정수소 발전 입찰 시장 개설

시장 규모, 2027년 20만t서 2030년 80만t 증가 전망

높은 운송·생산 비용 등에 따른 공급 부족 심화 우려

수소산업 관련 이미지. ⓒ국무조정실 블로그 캡처

국내 청정수소 시장의 활성화에 수소 유통 인프라 부족, 높은 생산 단가 등이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부터 정부·기업들은 기후 위기 해결, 에너지 안보, 경제성 등 이점을 얻기 위해 수소 사업에 투자를 하고 있다. 시장 초기 단계인 만큼 전반적인 해결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은 올해 세계 최초로 청정수소 발전 입찰 시장 개설을 앞두고 있어 글로벌 수소 시장에서 선두로 치고 나갈 예정이다. 올해 청정수소 인증제, 청정수소 발전시장 등이 시행되면서 국내 수소 생태계는 기존 그레이수소(화석연료로부터 생산되는 수소)에서 청정수소 중심으로 변화할 전망이다.


청정수소는 수소 생산 과정에서 온실가스 배출이 없거나 적은 수소를 말한다. 국내에서는 수소 1kg 생산 시 온실가스 배출량이 4kgCO2e 이하면 청정수소로 분류하고 있다.


한국이 가장 발 빠르게 움직인 것은 글로벌 핵심 경쟁력으로 자리 잡은 재생에너지의 부족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라서다. 국내에서는 수소 모빌리티 관련 제조업들이 시장에 적극 진출하고 있다는 강점도 추진력이 됐다. 수 년 간 수소차 사업에 진척이 없던 현대차도 올해부터 수소 밸류체인 사업 구축에 속도를 올린다.


이에 따라 청정수소의 시장 규모도 급격히 커지지만 수요 전망치보다 공급 능력은 모자랄 것으로 보인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의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청정수소는 2027년부터 수요가 발생하면서 20만t으로 시작한 뒤 2030년에는 80만t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이런 전망 아래 청정수소 확보가 시급한 가운데 현재는 그레이수소 위주로 생산되고 있어 청정수소의 국내 공급량은 전혀 없는 실정이다. 국내는 청정수소를 생산하기 어려운 지리적 조건이기에 해외로부터의 수입이 불가피하다. 특히 청정수소의 90% 이상 차지할 것으로 예측되는 발전용은 대규모로 필요하기에 해외에서 조달할 방침이다.


국내 청정수소 수요 및 수소 발전 비중 전망. ⓒ하나금융경영연구소 보고서 캡처

여기서 난관들이 발생하고 있다. 공격적으로 수소 생산·확보에 나서기에는 수소의 장거리 운송 비용과 생산 비용이 만만치 않아서다.


에너지 밀도가 낮은 수소는 저장·운송을 할 때 부피를 줄이는 것이 중요한데 이 기술력이 아직 고도화되지 않았다. 현재로서는 수소를 암모니아로 변환시켜 저장·운송하는 것을 주요 방안으로 보고 있다.


국내는 생산 비용 단가도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로 꼽힌다. 수소의 생산단가는 재생에너지 발전단가와 수전해 장치 비용에 따라 결정된다. 지난해 한국의 그린수소(청정수소의 일종) 생산단가는 1kg당 10달러 내외로 유럽과 미국보다 2배 이상 비쌌다. 블루수소(청정수소의 일종)도 LNG의 높은 해외 의존도로 가격이 높은 편이다.


이밖에도 열분해 방식의 수소 생산 설비에 대한 안전기준이 없어 현장에서 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충전 인프라도 접근성이 떨어져 이용에 불편함이 크다는 점도 진입 장벽을 높였다. 현재 수소 충전소는 폭발 위험성 때문에 주거지와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 설치돼야 한다.


이에 정부도 청정수소 생태계 구축에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정부는 2030년까지 국내 수소 수요의 50%는 수입으로 메꾸고 나머지는 수소 생산기지 조성 등으로 자체 생산 기반을 만든다.


기업들이 요구해왔던 액체 수소 유통 활성화를 돕기 위한 규제 완화도 이뤄진다. 올해 하반기 ‘액화수소 전주기 안전 기준’이 법제화되면 LPG 충전소 인프라를 활용해 액화수소 충전소를 함께 운영할 수 있게 된다. 현재는 업자가 한 장소에서 액화석유가스(LPG) 충전소와 액화수소 충전소를 같이 운영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열분해 방식의 수소 생산 설비도 법령상 수소추출 설비에 포함하고 필요 안전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수소 충전소 분야에서는 현행 규정을 완화해 도심 지역에 충전소가 쉽게 들어올 수 있도록 하며 충전 인프라도 확충시킨다. 여기에 수소 충전소의 수도 지난해 192개에서 2030년까지 458개로 늘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앞으로도 ▲수전해 ▲수소충전소 ▲액화수소 ▲청정수소발전 ▲수소모빌리티 등 핵심 분야에서 현장 규제를 발굴·개선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빠르게 갖추어 나가고, 2027년 본격 가동 예정인 청정수소 발전을 위한 인프라 등을 적기에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정진주 기자 (correctpearl@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