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합의 파기 北, 후속조치 '착착'…軍 상호주의 카드 '만지작'
입력 2023.11.28 06:00
수정 2023.11.28 00:09
GP '복원' 움직임 포착돼
해안포문 개방도 늘어
軍 "상응 조치 안하면 바보"
9·19 남북 군사합의 파기를 선언한 북한이 후속조치를 진행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군사합의에 따라 철거했던 감시초소(GP) '복원'은 물론 해안포 개방 확대 등 "중지했던 모든 군사적 조치들을 즉시 회복할 것"이라던 북한 국방성 성명 내용을 하나둘 이행하는 분위기다.
특히 국방성이 "군사분계선 지역에 보다 강력한 무력과 신형 군사 장비들을 전진 배치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는 만큼, 추가 조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평가다.
27일 군 당국에 따르면, 북한군은 지난 24일부터 군사합의에 따라 파괴한 비무장지대(DMZ) 내 GP에 병력과 장비를 다시 투입하고 감시소를 설치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3일 국방성이 합의 파기를 선언하며 군사조치 복원을 선언한 지 하루 만에 구체적 행동에 나선 셈이다.
군 관계자는 북한이 "군사합의 파기를 발표했으니 그 일환으로 기존 GP 시설물을 복원하는 것으로 본다"고 평가했다.
군 당국이 감시 장비로 촬영한 사진을 살펴보면 △북한군 추정 인원이 감시소를 설치하는 장면 △진지에 무반동총으로 추정되는 중화기를 배치하는 장면 △병력이 야간 경계근무를 서는 장면 등이 담겼다.
군 관계자는 "GP를 파괴하기 전에 경계초소(감시소)가 있었다"며 "그것을 (다시) 만드는 것으로 추정된다. 하얀 목재를 만들고 얼룩무늬로 도색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감시소는 필수 경계시설이어서 (철거했던 GP) 11곳 모두에 만들 것으로 본다"고 부연했다.
남북은 군사합의에 따라 DMZ 내에서 각각 운영 중이던 GP 11개 중 10개를 완전히 파괴한 바 있다. 나머지 1개 GP에 대해선 병력 및 장비는 철수하되 원형은 보존했다.
다만 북한군 GP 개수가 우리 군의 약 3배에 달해 동수(同數) 철거는 '비례성 원칙'에 위배된다는 지적을 받았다.
군 관계자는 "GP 파괴 후 병력과 장비가 모두 철수했다"면서도 "(최근) 북한군이 장비를 들고 가는 모습이 보인다. 원래 GP 내 무반동총, 고사총 등 중화기가 있었는데, 북한 용어로 '비반동총(무반동총)'을 들고 가는 장면이 식별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야간에 열상장비로 찍어보니 (진지에서) 북한군 병력이 경계근무를 서는 장면도 식별됐다"고 덧붙였다.
북한군은 최근 해안포 개방도 확대한 것으로 확인됐다. 군사합의 1조 2항에는 '해안포와 함포의 포구 포신 덮개 설치 및 포문폐쇄 조치를 취한다'는 내용이 적시돼 있다.
또 다른 군 관계자는 GP 복원 외 북한군 동향과 관련해 "해안포 개방이 많이 늘었다"며 "기존에는 평균 1개소에 2문 정도였는데, 장소도 문수도 많이 늘었다"고 밝혔다.
우리 군은 북한군 동향을 주시하는 한편, 상호주의 대응 가능성을 시사했다. 북한군 GP 복원에 따라 우리 군 GP도 다시 제 모습을 찾을 수 있다는 관측이다.
실제로 국방부는 이날 발표한 '북한의 군사합의 파기 선언 관련 입장'에서 "우리 군은 북한의 복원 조치에 대한 대응조치를 즉각적으로 이행할 만반의 준비를 갖춰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명수 합동참모본부 의장은 구체적 대응조치와 관련해 "적의 행동에 달렸다"면서도 "상응하는 조치를 할 것이다. 안 하는 게 바보 같은 것"이라고 말했다.
신원식 국방부 장관도 이날 경기도 평택 한미연합군사령부를 방문해 대북 경고 메시지를 발신했다.
북한이 위성 도발을 감행하고 국방성 성명을 통해 군사합의 전면 파기를 선언한 이후, 접경지역 일대에서 군사적 복원 조치를 감행하는 데 대해 엄중한 경고를 표했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