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고 있는 서울시 '고독사', 복지영역 들어온 지 몇 년 안 돼…인력 충원과 인식 개선 시급"

박상우 기자 (sangwoo@dailian.co.kr)
입력 2023.11.11 06:03
수정 2023.11.11 06:03

2021년~2023년 8월까지 서울시 고독사 205건 발생…10대와 20대 제외 전 연령서 발생

고독사 위험군 1인 가구 총 5만2718명…조사 못한 인원만 6만 명, 재조사시 더 늘어날 듯

자치구 관계자 "공무원 1명만으로 고독사 예방되는 것 아냐…시민들 인식 개선 절실"

전문가 "지자체, 더욱 관심갖고 적극 개입해야…소외계층 삶의 질 개선이 우리 사회의 과제"

최근 고독사 위기 속 독거노인 가구가 늘어나고 있다. ⓒ데일리안

최근 몇 년 동안 주변과 단절된 채 홀로 살다가 쓸쓸히 죽음을 맞이하는 고독사 사례가 서울에서 속출하고 있다. 서울시와 자치구들은 고독사 예방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인력 부족 등 이유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복지 예산을 늘리고 지자체가 좀 더 적극적으로 1인 가구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며 무엇보다 시민들의 인식 개선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11일 서울시가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3년(2021년~2023년 8월 기준)간 서울시 내 고독사는 총 205건으로 집계됐다. 해당 통계는 홀로 사는 사람이면서 사망 3일 후 발견, 추정된 사례로 동향보고를 통해 집계된 수치다.


연도별로 보면 2021년 76건, 2022년 82건, 2023년 8월 47건이다. 아직 겨울이 되지 않았고 겨울에는 한파 등으로 독거노인 사망률이 높다는 점을 감안하면 올해도 예년과 비슷하거나 더 많은 고독사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연령대별로 보면 ▲20대 0명 ▲30대 7명 ▲40대 22명 ▲50대 65명 ▲60대 55명 ▲70대 42명 ▲80대 14명 등으로 10대·20대를 제외한 전 연령에서 발생했다. 성별로 분석하면, 지난 3년간 고독사 인구 중 남성이 81%인 166명을 차지해 남성이 여성(39명)보다 사회적 고립에 더 취약한 경향을 보였다.


서울시 고독사 현황.ⓒ데일리안DB(자료=서울시 제공)

고독사 위험군 또한 늘고 있다. 서울시가 2021년, 2022년 두 번의 실태조사를 통해 집계한 '고독사 위험군' 1인 가구는 총 5만2718명에 달한다. 대상에 포함되지만 거부, 부재 등으로 조사하지 못한 인원만 약 6만명으로 재조사를 진행할 시 '고독사 위험군' 수치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주위 이웃 및 자녀들과 평소 연락을 주고받는 경향이 강한 노년여성에 비해, 노년남성들은 말 그대로 주위와 '단절'된 삶을 사는 경우가 많아 고독사 위험이 더 높다.


서울시와 각 자치구들은 고독사를 예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서울 중랑구 관계자는 "1인가구 실체조사를 통해 고독사 위험군을 발굴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연계하고 있다"며 "고위험군에 대해서는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안부 확인 서비스를 연계하고 있고 주 1회 방문해 안부 확인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사실 고독사가 복지 영역에 들어온 게 몇 년 되지 않았다. 고독사 사업 영역은 점차 확대되고 있지만 담당자는 우리 구에 단 한 명뿐인 상황"이라며 "고독사를 방지하려면 공무원 한 사람이 해서 되는 게 아닌 일반 주민들도 내 이웃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또 고독사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 개선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울시 고독사 현황(성별)ⓒ데일리안DB(자료=서울시 제공)

전문가들은 1인 가구의 사회적 고립 예방을 위한 정기적인 접촉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송재룡 경희대 사회학과 교수는 "고독사가 늘어난 배경을 보면 2000년대에 들어오면서 개인주의적인 성향이 강해졌졌고 상호소통 및 상호작용관계가 쇠락해졌기 때문"이라며 "고독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1인가구, 노인들에게 지금보다 더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예를 들어 정보화 기술을 활용해 1인 가구 집에 정보기기를 설치해 (자치구가)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는 등 적극적으로 개입할 필요가 있다"며 "과거 10~20년 전과 비교하면 복지 차원에서의 관련 예산이 많이 확장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점차 더 늘려나가야 한다. 소외계층의 삶의질을 개선하는 것이 우리 사회의 가장 큰 과제"라고 덧붙였다.

박상우 기자 (sangwo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