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안 여론조사] 공수처 통신조회, 20대 57% '민간인·언론 사찰'

정계성 기자 (minjks@dailian.co.kr)
입력 2021.12.28 07:00
수정 2021.12.28 04:35

여론조사공정㈜ '국민들은 지금’

'민간인 사찰 46.7% vs 수사 과정 36.3%'

40대·호남 제외 '사찰' 응답이 대다수

지지정당, 정파별로 확연한 인식차

김진욱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출석해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데일리안 류영주 기자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야당의원과 언론인 등을 대상으로 광범위하게 통신기록을 조회했다는 사실이 밝혀진 가운데, 다수 국민이 ’언론·민간인 사찰‘이라고 응답한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20대의 경우, 57.6%가 '사찰'이라고 응답하며 공수처의 행보에 반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데일리안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여론조사공정㈜에 의뢰해 실시한 정례조사에 따르면, '공수처가 야당 인사들과 다수의 언론사 기자에 대해 통신자료 조회를 한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46.7%가 '언론·민간인 사찰'이라고 답했다. '수사 과정상 필요한 일'이라는 응답은 36.3%였으며,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17.0%로 집계됐다.


대부분의 지역과 연령층에서 '사찰'이라는 응답이 높았다. 지역별로 '사찰'이라는 응답은 대전·세종·충남·충북(52.8%)에서 가장 높았고, 대구·경북(50.2%), 서울(48.7%), 부산·울산·경남(48.4%), 경기·인천(46.6%), 강원·제주(44.9%) 순이었다. 반면 민주당 지지세가 높은 광주·전남·전북의 경우 '사찰'(31.3%)보다 '수사 과정'(46.6%)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연령별로는 20대(57.3%)에서 '사찰'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고, 이어 60대 이상(50.4%), 30대(46.1%), 50대(42.1%) 순이었다. 40대에서는 '수사 과정'(52.5%)이라는 응답이 과반을 기록하며 20대와 인식에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지정당별로 분류했을 경우 진영별로 상당한 인식차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은 '수사 과정'(65.0%)이라는 응답 비율이 '사찰'(18.6%)보다 압도적으로 높았다. 범여권인 열린민주당(사찰 20.2%, 수사 과정 66.6%)도 비슷했다. 정의당 지지층에서는 수사 과정(48.9%)이 사찰(32.2%)보다 소폭 높았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은 '사찰'(74.4%)이라는 응답이 절대다수를 차지했다. 국민의당 지지층(사찰 61.0%, 수사 과정 16.0%) 역시 사찰이라는 시각이 다수였다. 아울러 '지지정당이 없다'고 답한 무당층에서도 '사찰'(56.0%)이 절반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지하는 대선 후보별로 살펴보면,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 지지층(사찰 79.1%, 수사 과정 8.0%)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지지층(사찰 13.8%, 수사 과정 68.1%)이 확연하게 엇갈렸다. '제3지대'로 분류되는 안철수 후보 지지층(사찰 55.2%, 수사 과정 28.0%)은 윤 후보 측과 가까웠던 반면, 김동연 후보 지지층(사찰 20.6%, 수사 과정 66.5%)은 이 후보 측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심상정 후보 지지층(사찰 43.8%, 수사 과정 46.2%)의 경우 각각의 응답이 팽팽했다.


서요한 여론조사공정㈜ 대표는 "지지정당별로 보면, 국민의힘 지지층은 '사찰', 민주당 지지층은 '수사 과정'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오는 등 정파적 측면에서 접근하는 흐름이 나타났다"며 "20대의 경우 '사찰'이라는 답이 전 세대를 통틀어 가장 높았는데, 문재인 정부에 대한 부정평가가 높고 개인정보보호에 민감한 세대라는 점이 반영된 것으로 본다"고 분석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24~25일 이틀간 전국 남녀 유권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 RDD ARS(100%)로 진행했다. 전체 응답률은 6.9%로 최종 1000명이 응답했다. 표본은 올해 10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기준에 따른 성·연령·권역별 가중값 부여(림가중)로 추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정계성 기자 (minjk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정계성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