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지는 베이징올림픽 보이콧 가능성…문정부 입장은?

강현태 기자 (trustme@dailian.co.kr)
입력 2021.11.27 06:17
수정 2021.11.27 14:12

美 운 띄우자 동맹 동참 움직임

'인권 중시' 골자로 하는

기존 국제질서 순응 中에 촉구

지난 10월 베이징 동계 올림픽을 위해 점화된 성화가 그리스 아테네의 아크로폴리스 언덕 꼭대기에 있는 고대 파르테논 신전 앞에서 타오르고 있다. ⓒAP/뉴시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내년 2월 개최 예정인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 가능성을 시사한 가운데 미국의 기밀정보 공유 동맹인 '파이브 아이즈(Five eyes)' 국가들도 동참 여부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26일 미국 포브스와 중국 관영 글로벌 타임스 등 외신에 따르면, 바이든 행정부는 파이브 아이즈 회원국인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에 외교적 보이콧 동참을 설득하고 있다.


일본 외교당국도 이날 외교적 보이콧과 관련해 "적절한 시기에 제반 사정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판단하겠다"며 관련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다만 "현시점에 미국 정부의 대응(공식 입장)은 발표되지 않았다"며 일본 정부 입장도 결정된 바가 없다고 강조했다.


외교적 보이콧이란 선수단은 보내되 정부 인사 및 정치인으로 구성된 공식 사절단은 파견하지 않는 것을 뜻한다. 통상 올림픽 기간에는 각국 정상 및 고위급 대표단이 개최국을 찾아 양자 회담 등을 진행한다.


외교적 보이콧 가능성이 불붙은 데는 국제사회가 줄곧 우려해온 신장 위구르 지역의 강제노동 의혹 외에도 최근 불거진 중국의 테니스 스타 펑솨이 실종설이 적잖은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펑솨이는 중국 공산당 서열 7위까지 올랐던 장가오리 전 부총리에게 성폭행을 당했다고 폭로한 뒤 행방이 묘연해져 국제사회 우려를 자아냈다. 최근 펑솨이 신변에 문제가 없다는 사실이 공개됐지만 세계여자테니스협회(WTA), 국제인권단체 등은 의구심을 거두지 않고 있다.


앞서 웬디 셔먼 미 국무부 부장관도 지난 20일 소셜미디어 계정을 통해 "우리는 테니스 선수 펑솨이가 실종된 것으로 보인다는 보고에 깊은 우려를 표한다"며 "중국 공산당이 그녀의 소재에 대한 독립적이고 검증 가능한 증거를 제공해야 한다는 (국제사회) 요구에 동참한다"고 밝힌 바 있다.


韓, 美中 모두에게 '압박' 받나


미국이 외교적 보이콧을 최종 확정한 상황은 아니지만, 관련 이슈를 주도하며 인권 중시를 골자로 하는 기존 국제질서에 중국이 순응해야 한다는 점을 거듭 강조하는 분위기다.


더욱이 미국이 다음달 화상회의 방식으로 전 세계 110개국을 초청해 '민주주의 정상회의'를 개최키로 한 만큼, 중국에 대한 공세 수위는 당분간 잦아들지 않을 전망이다.


이에 따라 미국의 동맹 및 파트너 국가들은 바이든 행정부의 외교적 보이콧 여부에 촉각을 기울이는 모양새다. 우리 외교당국 역시 관련 사안에 대한 구체적 입장 표명을 삼가며 흐름을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외교부 당국자는 "미국으로부터 협의 요청을 받은 것이 없다"며 "베이징올림픽이 동북아와 세계 평화·번영에 기여하고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전기가 되기를 바란다는 기본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중국 외교부가 지난 4월 개최된 한중 외교장관 회담 이후 "한국이 베이징올림픽에 대표단(delegation)을 파견하기로 한 것을 환영한다"고 발표한 바 있어 미중 갈등 한복판에 한국이 끌려들어 갈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당시 외교부 당국자는 중국 측 발표에 대해 '원론적 이야기'라며 확대해석을 경계했지만, 외교적 보이콧 이슈가 부상할 경우 '민주적 가치 수호'를 촉구하는 70년 동맹과 '약속을 지키라'는 전략적 동반자가 동시에 압박을 가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김원식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베이징 동계올림픽 외교적 보이콧 흐름의 배경과 함의'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미국이 어떤 방식으로 이 문제를 동맹국들과 조율해 나갈지 아직은 미지수"라면서도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중국의 인권 사안이 범죄 중의 범죄로 불리는 '제노사이드(인종 학살)'로 규정되고 있다는 점에서 중국과 서방 국가들 모두 양보나 타협이 쉽지 않은 상황인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고 말했다.


강현태 기자 (trustm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