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현, '홍준표 복당' 문제로 첫 리더십 시험대 섰다
입력 2021.05.11 00:40
수정 2021.05.10 23:17
홍준표 복당에…초선·청년 비대위원 '반대'
3선 이상 중진들은 '찬성' 기류 강해
복당 시 '尹 영입' 등 대선 국면에도 영향
당대표 도전을 선언한 국민의힘 초선 김웅 의원은 10일, 공식 복당 신청을 계기로 홍준표 무소속 의원과 설전을 벌였다.
홍 의원은 자신의 복당을 반대하는 김 의원을 향해 "염량세태가 되다 보니 선후배도 없고 위아래도 없는 막가는 정치가 되어간다"고 했고, 김 의원은 "제가 세게 이야기하는 것을 누구에게 배웠겠느냐. 제가 '막가는 정치'를 하더라도 선배님의 모습이려니하고 혜량 바라겠다"고 맞받았다.
두 사람의 설전은 홍 의원의 국민의힘 복당을 둘러싼 당내 상황을 그대로 보여준다. 홍 의원의 '막말 이미지'가 복당에 걸림돌이 되며 갈등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복수의 당 관계자들에 따르면, 당내 과반에 달하는 다수의 초선 의원들과 개혁 성향의 정치 신인들은 홍 의원의 복당을 걱정스러운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
김재섭 비상대책위원은 홍 의원의 기자회견 직후 자신의 페이스북에 "홍 의원님의 당을 향한 충심을 지키는 유일한 길이 복당하지 않는 것이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병민 비대위원도 이날 비대위 회의에서 "정치인의 책임과 반성의 문제, 남의 집 향해 손가락질 할 문제만은 아닌 것 같다"며 "아직도 틈만 나면 비집고 올라와 해악을 끼치는 연탄가스 같은 정치인이 극히 소수 남아 있다"고 원색적으로 비난했다.
반면 홍 의원과 의정 생활을 함께 한 3선 이상의 중진들 사이에선 그가 당연히 당으로 돌아와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이날 당권 도전을 선언한 주호영 전 원내대표는 "대선에 승리하려면 대통합이 필요하다는 원칙만 말씀드리겠다"며 사실상 홍 의원의 복당을 지지했다.
3선의 장제원 의원도 자신의 페이스북에 "일반 국민 47%, 국민의힘 지지층의 65%가 홍 의원 복당에 찬성했다. 홍준표 복당불가론이 실체가 없다는 사실이 극명하게 드러났다"고 했다.
그러면서 "차기 대선 후보 지지율 7%대를 기록하고 있는 홍 의원의 복당을 가로막는 것은 자신들의 정치적 입지와 이익을 위한 치졸한 편가르기이자, 자신들의 개혁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위해 홍 의원을 재물 삼아 조롱하고 돌을 던지며 이지메(집단 괴롭힘)하는 몰인간적 선동정치"라고 지적했다.
'홍준표 복당' 둘러싼 공방에…김기현이 시험대 올랐다
'고차방정식' 된 홍준표 복당…김기현, 정면돌파 선택할까
당사자를 제외하면, 이같은 날선 공방을 가장 걱정스럽게 지켜보는 사람은 바로 김기현 당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다.
홍 의원의 복당 문제가 '초선 대 중진' 갈등의 도화선이 된 데다, 당원들의 의견까지 고려해야 하는 '고차방정식'이 됐기 때문이다. 김 권한대행으로서는 원내대표 당선 이후 첫 리더십 시험대에 오른 셈이다.
게다가 홍 의원의 복당 문제는 차기 대선 경선 구도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예민한 사안으로 꼽힌다. 현재 국민의힘 최대 관심사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 영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김기현 권한대행으로서는, 당대표도 아닌 '대행'으로서 이같은 문제를 받아들게 되어 부담이 커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홍 의원이 공식적으로 복당 의사를 밝힌 만큼, 김 권한대행은 이 문제를 피해 갈지, 정면돌파할지를 두고 고심할 것으로 보인다.
그가 '정면돌파'를 선택할 경우 '당대표 권한대행'이 처리할 문제가 아니라는 식의 월권 문제가 제기될 수 있는 한편, 차기 당대표가 져야 할 부담을 줄이고 당내 갈등 요소를 제거했다는 점에서 리더십을 높이 평가받을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반면 그의 복당 문제를 시도당에 넘기고, 차기 당대표가 선출될 때까지 지연시키는 방법도 있다. 전임 주호영 원내대표의 경우엔, 자신의 임기 내에 홍 의원의 복당 문제를 다루지 않았다.
이 경우 김 권한대행이 특별히 얻는 것도 잃는 것도 없을 수 있지만, 당으로서는 그의 복당 문제를 대선 국면까지 끌고가야 하는 부담이 생기게 된다.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이날 데일리안과 통화에서 "홍 의원의 복당은 결국 시간 문제다. 다만 시점이 관건"이라며 "당내 갈등을 최소화하는 방식과 시점을 골라 홍 의원의 복당을 처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