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김기현, '홍준표 복당' 문제로 첫 리더십 시험대 섰다

이슬기 기자 (seulkee@dailian.co.kr)
입력 2021.05.11 00:40
수정 2021.05.10 23:17

홍준표 복당에…초선·청년 비대위원 '반대'

3선 이상 중진들은 '찬성' 기류 강해

복당 시 '尹 영입' 등 대선 국면에도 영향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가 10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당대표 도전을 선언한 국민의힘 초선 김웅 의원은 10일, 공식 복당 신청을 계기로 홍준표 무소속 의원과 설전을 벌였다.


홍 의원은 자신의 복당을 반대하는 김 의원을 향해 "염량세태가 되다 보니 선후배도 없고 위아래도 없는 막가는 정치가 되어간다"고 했고, 김 의원은 "제가 세게 이야기하는 것을 누구에게 배웠겠느냐. 제가 '막가는 정치'를 하더라도 선배님의 모습이려니하고 혜량 바라겠다"고 맞받았다.


두 사람의 설전은 홍 의원의 국민의힘 복당을 둘러싼 당내 상황을 그대로 보여준다. 홍 의원의 '막말 이미지'가 복당에 걸림돌이 되며 갈등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복수의 당 관계자들에 따르면, 당내 과반에 달하는 다수의 초선 의원들과 개혁 성향의 정치 신인들은 홍 의원의 복당을 걱정스러운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


김재섭 비상대책위원은 홍 의원의 기자회견 직후 자신의 페이스북에 "홍 의원님의 당을 향한 충심을 지키는 유일한 길이 복당하지 않는 것이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병민 비대위원도 이날 비대위 회의에서 "정치인의 책임과 반성의 문제, 남의 집 향해 손가락질 할 문제만은 아닌 것 같다"며 "아직도 틈만 나면 비집고 올라와 해악을 끼치는 연탄가스 같은 정치인이 극히 소수 남아 있다"고 원색적으로 비난했다.


반면 홍 의원과 의정 생활을 함께 한 3선 이상의 중진들 사이에선 그가 당연히 당으로 돌아와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이날 당권 도전을 선언한 주호영 전 원내대표는 "대선에 승리하려면 대통합이 필요하다는 원칙만 말씀드리겠다"며 사실상 홍 의원의 복당을 지지했다.


3선의 장제원 의원도 자신의 페이스북에 "일반 국민 47%, 국민의힘 지지층의 65%가 홍 의원 복당에 찬성했다. 홍준표 복당불가론이 실체가 없다는 사실이 극명하게 드러났다"고 했다.


그러면서 "차기 대선 후보 지지율 7%대를 기록하고 있는 홍 의원의 복당을 가로막는 것은 자신들의 정치적 입지와 이익을 위한 치졸한 편가르기이자, 자신들의 개혁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위해 홍 의원을 재물 삼아 조롱하고 돌을 던지며 이지메(집단 괴롭힘)하는 몰인간적 선동정치"라고 지적했다.


'홍준표 복당' 둘러싼 공방에…김기현이 시험대 올랐다
'고차방정식' 된 홍준표 복당…김기현, 정면돌파 선택할까


홍준표 무소속 의원이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국민의힘 복당 의사를 밝히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당사자를 제외하면, 이같은 날선 공방을 가장 걱정스럽게 지켜보는 사람은 바로 김기현 당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다.


홍 의원의 복당 문제가 '초선 대 중진' 갈등의 도화선이 된 데다, 당원들의 의견까지 고려해야 하는 '고차방정식'이 됐기 때문이다. 김 권한대행으로서는 원내대표 당선 이후 첫 리더십 시험대에 오른 셈이다.


게다가 홍 의원의 복당 문제는 차기 대선 경선 구도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예민한 사안으로 꼽힌다. 현재 국민의힘 최대 관심사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 영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김기현 권한대행으로서는, 당대표도 아닌 '대행'으로서 이같은 문제를 받아들게 되어 부담이 커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홍 의원이 공식적으로 복당 의사를 밝힌 만큼, 김 권한대행은 이 문제를 피해 갈지, 정면돌파할지를 두고 고심할 것으로 보인다.


그가 '정면돌파'를 선택할 경우 '당대표 권한대행'이 처리할 문제가 아니라는 식의 월권 문제가 제기될 수 있는 한편, 차기 당대표가 져야 할 부담을 줄이고 당내 갈등 요소를 제거했다는 점에서 리더십을 높이 평가받을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반면 그의 복당 문제를 시도당에 넘기고, 차기 당대표가 선출될 때까지 지연시키는 방법도 있다. 전임 주호영 원내대표의 경우엔, 자신의 임기 내에 홍 의원의 복당 문제를 다루지 않았다.


이 경우 김 권한대행이 특별히 얻는 것도 잃는 것도 없을 수 있지만, 당으로서는 그의 복당 문제를 대선 국면까지 끌고가야 하는 부담이 생기게 된다.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이날 데일리안과 통화에서 "홍 의원의 복당은 결국 시간 문제다. 다만 시점이 관건"이라며 "당내 갈등을 최소화하는 방식과 시점을 골라 홍 의원의 복당을 처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슬기 기자 (seulk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