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LH 후속대책 쏟아내는 與…이낙연 "공직자 1주택, 언론인·교사도"

정계성 기자 (minjks@dailian.co.kr)
입력 2021.03.16 00:00
수정 2021.03.15 22:35

LH 사태로 궁지에 몰린 與, 후속대책 봇물

李 "김영란법 적용 대상인 언론·교직 확대"

"언론 폭로 전 지방 개발공사 등 조사하자"

4.7 재보선 전략은 '조직표' 동원에 방점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상임선대위원장이 15일 국회에서 열린 화상의원총회에 회상으로 참석,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상임선대위원장이 공직자 1주택 서약운동을 언론인과 교사까지 확대하자는 제안을 내놨다. 공직자는 아니지만 언론인과 교사들도 김영란법 적용 대상자라는 점이 이유다.


15일 민주당 의원총회에 참석한 이 위원장은 "(LH 투기 문제는) 이번에 완전히 뿌리를 뽑겠다는 각오로 임했으면 한다"며 "4.7 재보궐 선거만을 위한다고 생각하지 마시고 선거 이후까지 문재인 정부 안에 뿌리 뽑겠다는 자세로 가는 게 좋겠다"고 당부했다.


이 대표는 "우선 LH 공사 직원들은 사는 집 한 채만 갖겠다는 서약을 하는 방법, 또 신도시 예정지 땅을 사는 사람 중 외지인의 경우 보상가격 기준선을 설정해 투기 유혹을 느끼지 않도록 만드는 방법도 필요하다"며 "공직자가 투기로 돈을 벌려고 했다가는 돈도 잃고 명예도 잃고 자리도 잃는다는 것을 확실히 해줘야 전화위복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공직자가 아니더라도 김영란법의 적용을 받는 사람들이 있다. 교직자와 언론들"이라며 "여기도 차제에 이 운동에 동참하도록 권유하는 게 어떨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물타기라고 봐서는 안 된다"고도 했다.


아울러 언론의 의혹 제기가 있기 전 당 차원의 선제 대응을 주문하기도 했다. 이 위원장은 "앞으로도 언론들이 계속 무언가를 폭로할 가능성이 있다"며 "우리가 그물을 넓게 쳐서 비리의 소지가 있는 곳은 미리미리 들쳐내고 조사하고 짤라내고 하는 노력을 선제적으로 하면 어떨까 생각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지자체, 지방의 개발공사들 여기도 우리가 한번 봐야 하고, 농업경영체로 등록돼 직불금을 받는 사람들을 들여다볼 필요도 있다"며 "과감히 손을 대서 내 살을 도려낸다는 마음으로 도려내는 것이 훗날의 역사를 위해 좋겠다"고 말했다.


4.7 재보선과 관련해서는 "상대가 기회를 잡았다 생각하고 공중전에 치중할 것으로 보인다"며 "우리가 구청장도 시의원도 압도적으로 많은 만큼 골목골목 찾아다니며 우리를 지지해 주셨던 분들부터 다시 투표장에 가도록 유도하는 것에서 시작됐으면 한다"고 설명했다. 재보선의 투표율이 낮은 만큼, 조직표를 적극 독려하겠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이 위원장의 이 같은 발언들은 민주당 내부 전략이 일부 흘러나왔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 대표가 발언 중간 "비공개로 말씀드리자면"이라고 운을 떼자 일부 의원들이 "공개입니다"라며 잠시 말을 끊는 일도 있었다.


김태년 당 대표 직무대행은 이 위원장의 발언이 끝난 뒤 "발언 첫머리에 천기를 누설하셨다"며 "당 대표를 퇴임하고 어깨가 많이 가벼워지신 것 같다. 말씀이 아주 선명해지셨다"고 평하기도 했다.

정계성 기자 (minjk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