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대책] 2025년까지 중형임대 6만3천가구 공급...소셜믹스도 확대
입력 2020.11.19 09:03
수정 2020.11.19 09:04
정부가 수도권 전세대란을 해소하기 위해 오는 2022년까지 수도권에 공공임대 11만4100가구를 공급한다는 방안을 내놨다.
중산층이 선호하는 중형 임대주택을 신규로 도입하고 총 6만3000가구 공급한다. 또한 2022년 공공임대 200만가구 시대를 맞아 다양한 계층이 오랫동안 안심하고 거주하는 소셜믹스를 학대한다는 방침이다.
국토교통부는 19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이같은 내용을 담은 ‘서민·중산층 주거안정 지원방안’을 발표했다.
3~4인 가구가 선호하는 중형주택(전용 60~85㎡)을 도입해 비중을 점차 확대하고 2025년부터는 연 2만가구를 공급한다.
가구원수별 입주 가능 면적을 설정하되, 적은 가구원수가 넓은 면적에 입주를 희망하는 경우 일정 수준의 임대료 할증을 통해 입주를 허용한다.
또한 소셜믹스를 확대해 신혼희망타운에만 적용 중인 공공분양+공공임대 혼합을 일반 공공분양에도 점차 적용한다.
민간분양용지 공급 시 공공임대를 혼합하는 경우 토지를 우선 공급하는 등 민간부문 소셜믹스도 확산 추진한다.
기존 주택을 입주자 퇴거 등으로 재공급하는 경우에도 점진적으로 유형통합을 적용해 다양한 계층의 혼합을 유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