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이 많지 않다"…전쟁영웅 백선엽 장군 서울현충원 안장 호소 목소리
입력 2020.07.13 13:47
수정 2020.07.13 14:25
정부, 15일 영결식 앞두고 대전현충원 안장 입장 유지
서울현충원에 자리 없다는데…만장 후에도 자리 만든 사례 있어
백 장군과 함께 싸운 전우들 영면한 서울현충원 안장 호소 이어져
육군협회 "전우들 곁에 묻히고 싶다던 백 장군 유지 받들어야 해"
6·25 전쟁 영웅 백선엽 장군의 영결식이 이틀 앞으로 다가왔다. 북한의 남침에 맞서 낙동강 전선을 지키고 대한민국을 구했던 백 장군을 당시 함께 싸웠던 전우들이 묻혀 있는 서울현충원에 안장해야 한다는 호소가 쏟아지고 있지만, 정부는 서울현충원에 자리가 없다는 이유로 대전현충원에 안장하겠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
국방부는 13일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국립서울현충원이 만장된 상황으로 알고 있고, 이에 따라 국가보훈처 등 관계기관이 유가족과의 협의를 통해 국립대전현충원 안장을 결정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언급했다. 실제 백 장군 유가족들은 정부의 대전현충원 안장 입장에 동의하고, 관련 절차를 국가보훈처와 함께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비역 단체와 미래통합당에서는 백 장군의 서울현충원 안장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서울현충원의 본래 설립 목적 자체가 6·25 전쟁 전사자들을 모시기 위함이며 서울현충원은 만장 후에도 김영삼·김대중 전 대통령의 최근 서거 당시 새롭게 자리를 내 묘역을 조성한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독 백 장군의 경우만 땅이 없어 안장이 어렵다는 보훈처의 변명이 납득이 가지 않는다는 주장이 나온다.
권혁신 대한민국 육군협회 사무총장은 이날 CBS라디오 '뉴스쇼'에 출연해 "무엇보다도 백 장군이 평소 '전쟁 중에 함께 싸운 전우들 곁에 묻히고 싶다'라는 유지를 갖고 계셨다. 유지를 받드는 차원에서 백 장군의 장지는 참전용사들이 잠들어 계신 서울현충원이 적절할 것"이라며 "서울이 갖는 정치적 상징성과 접근성, 국가 안보교육의 현장으로서 서울현충원이 적합하다는 데 많은 분들이 뜻을 같이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주호영 "백 장군, 전우 12만명 있는 서울현충원에 모셔야
文대통령이 결단해 서울에 모실 수 있다. 결단 촉구한다"
서울현충원 국가유공자 묘역·전사자 묘역 안장 대안도 제시
"15일 영결식…시간이 많지 않다. 부끄러운 후손 되고 싶지 않아"
정치권의 호소도 이어졌다. 주호영 미래통합당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대한민국을 구한 전쟁 영웅 백 장군을 6·25 전우 12만명이 있는 동작동 서울현충원에 모시는 게 마땅하나 정부가 대전 현충원으로 장지를 결정한 듯 하다"며 "김영삼·김대중 전 대통령의 경우 서울현충원으로 모신 전례도 있고, 이 문제는 문재인 대통령이 결단해 서울로 모실 수 있다고 본다. 문 대통령의 결단을 촉구한다"고 언급했다.
육군 장성 출신 신원식 통합당 의원도 "백척간두의 위기에서 조국을 구한 백 장군을 그 곳에 모시지 않는다면 대체 서울현충원은 누구를 위한 곳인가"라며 "백 장군을 전우들이 영면해 있는 서울현충원에 모시는 것이 오늘날 자유와 민주주의를 누리며 사는 우리가 해야 할 당연한 도리"라고 성토했다.
일각에서는 '자리가 없다'는 정부의 입장에 맞서 여러 가지 대안책도 제시되고 있다. 백 장군을 서울현충원의 장군묘역이 아닌 국가유공자 묘역 혹은 일반 사병 등이 묻혀 있는 전사자묘역에 안장하자는 주장이다. 실제 2013년 별세했던 전쟁영웅 채명신 장군은 "전우들과 함께하고 싶다"는 유언에 따라 사병묘역에 안장된 바 있다.
15일로 예정된 영결식이 지나면 돌이킬 수 없는 만큼, 정부의 조속한 입장 변화를 촉구하는 목소리는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김은혜 통합당 대변인은 논평에서 "역사를 잊은 민족에겐 미래가 없고, 나라를 지킨 영웅이 이제야 편히 쉴 곳도 빼앗아가는 부끄러운 후손으로 남고 싶지 않다"며 "시간이 많지 않다. 그를 전우들 곁에서 쉬게 해달라, 정부의 판단을 기다리겠다"고 거듭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