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김정은 신변이상설에 묻힌 판문점 선언 2주년

정계성 기자 (minjks@dailian.co.kr)
입력 2020.04.27 05:30
수정 2020.04.27 05:20

빛바랜 판문점 선언 2주년 맞이

하노이 협상 결렬 이후 사실상 중단상태

코로나19로 국제사회 '평화여론' 조성도 난망

사망설·위독설 등 김정은 신변에 관심

판문점 정상회담에서 만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자료사진) ⓒ청와대 제공

27일 판문점 선언 2주년을 맞았지만 해외는 물론이고 국내에서도 관심을 크게 받지 못하고 있다. ‘평화시대’가 열린 것이라는 기대감과 달리 지난해 2월 하노이 북미협상 결렬 뒤 사실상 선언이행이 중단됐기 때문이다. 앞으로도 이행이 불확실한 가운데, 김정은 위원장을 둘러싼 각종 신변이상설이 불거지면서 더욱 관심에서 멀어진 형국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올해 초 남북관계를 더 이상 놔둘 수 없다는 판단 아래 남북협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치들을 시행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북미협상과 별개로 독자추진 가능성도 열어놨다. 철도연결과 북한 관광 등 판문점 선언에서 합의한 내용을 이행한다는 것이 골자였다. 정부가 27일 판문점 선언 2주년에 맞춰 동해북부선 연결 사업 추진 기념식을 여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하지만 북한의 반응은 전혀 없다. ‘대북제재의 틀 안에서 교류협력을 추진한다’는 우리 측 입장에 수차례 불만을 표출해왔고, 일부 인사들은 문재인 대통령에 대해 ‘웃기는 사람’이라는 모욕적인 언사도 서슴지 않았다. 북한의 협상창구가 대남라인에서 대미관계를 중시하는 외무성으로 전환된 뒤에는 ‘통미봉남’ 전략이 더욱 노골화되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적지 않다.


국제사회의 여론 조성을 통해 ‘한반도 평화체제’를 구축하겠다는 문 대통령의 구상도 어려움에 봉착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한반도 상황에 관심을 기울일 여력이 거의 남아있기 않기 때문이다. 제3국을 통한 북한관광사업을 재개하겠다는 정부의 계획도 코로나19로 인해 언제 추진될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오히려 세계적인 관심사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신변에 쏠리고 있다. 김 위원장은 지난 11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회의 이후 15일 째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다. 특히 지난 15일 김일성 주석의 생일을 기념하는 이른바 ‘태양절’에도 나타나지 않으면서 이상 징후가 감지됐다. 김 위원장이 태양절에 불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처음 제기된 의혹은 ‘건강이상설’이었다. 지난 20일 데일리NK는 김 위원장이 심혈관 시술을 받았다고 보도했으며, 다음날 CNN이 미국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김 위원장이 큰 수술을 받았으며 이후 ‘중대한 위험’에 처해 있다”고 밝히면서 증폭됐다. 24일에는 일본의 한 주간지에서 김 위원장이 심장 스탠트 삽입 시술 중 잘못돼 식물인간이 됐다는 보도도 나왔다.


김 위원장 일가가 심혈관계 질환에 시달려 왔다는 점에서 이 같은 추정은 설득력을 얻었다. 조부 김일성 주석과 부친 김정일 국방위원장 모두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 김 위원장 역시 잦은 흠연과 음주, 고도비만으로 심혈관계 질환 발생요인이 적지 않아 건강이상설이 자주 불거진 바 있다.


코로나19 감염을 피해 원산에서 잠행 중이라는 분석도 있다. 23일 일본 도쿄신문은 김 위원장의 경호요인 중에서 코로나 감염자가 나왔다고 전했다. 이에 김 위원장이 평양을 빠져나와 원산으로 이동했다는 것이다. 26일 38노스가 원산역에 김 위원장 전용으로 추정되는 열차가 정차돼 있다고 보도하면서 힘을 보탰다.


또한 로이터 통신과 일본 아사히 신문 보도를 종합하면, 중국 대외연락부 수장 쑹타오 국장이 지난 23일 50여 명으로 구성된 의료팀을 인솔해 북한을 방문했다. 김 위원장의 개인건강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아사히는 “김 위원장 건강 대응이라고 보기엔 규모가 너무 크다”며 코로나 대응 지원일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온갖 설이 난무하는 가운데 북한은 여전히 묵묵부답이다. 이날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김정은 동지께서 삼지연꾸리기를 지원한 일꾼과 근로자들에게 감사를 보내셨다”고만 전했을 뿐, 대외활동 모습이나 신변 관련 언급은 하지 않았다. 우리 정부와 국정원은 “특이 동향은 없는 상태”라고만 했다.

정계성 기자 (minjk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