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통합당, 치열한 진로 모색…비대위 전환 여부 시간 걸릴듯

정도원 기자 (united97@dailian.co.kr)
입력 2020.04.20 05:00 수정 2020.04.20 05:12

"당선자총회 이전에 중요결정 이뤄질 수 없어"

새 원내대표 선출 뒤로 결정 밀릴 가능성 높아

일각의 '자중지란' 프레임에는 불쾌감 '역력'

"번갯불에 콩 구워먹듯이 결정할 일이 아니다"

지난 2월 18일 국회에서 열린 미래통합당 첫 번째 의원총회(자료사진).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지난 2월 18일 국회에서 열린 미래통합당 첫 번째 의원총회(자료사진).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4·15 총선에서 참패한 미래통합당이 위기 수습 방안 및 향후 당의 진로를 놓고 치열한 내부 의견 수렴 과정을 거치고 있다.


2022년 3월에 치러질 대선까지 채 2년도 남겨두지 않고 있어 낭비할 시간이 없다는 점에서 21대 국회의원 당선인들의 신중한 의사결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비상대책위원회의 성격과 전환 여부 결정은 당선자총회에서 새 원내대표가 선출된 뒤로 밀릴 것으로 전망된다.


통합당은 휴일인 19일에도 당의 향후 진로를 놓고 당선인들 사이에서의 물밑 의견 수렴이 계속됐다. 한 당선인은 이날 데일리안과의 통화에서 "원내대표에 출마하려는 듯한 분들을 중심으로 전화 연락이 계속됐다"며 "동료 의원(당선인)들 사이에서도 당의 진로를 놓고 서로 의견을 교환했다"고 전했다.


현재 통합당 내부에서는 최소 연말에서 내년초까지 중장기적으로 활동할 '혁신형 비대위'를 구성해서 김종인 위원장을 추대해 당 체질 개선의 역할을 맡기자는 의견과, 당헌당규를 손질하고 전당대회를 준비할 '관리형 비대위'를 구성해 최대한 빨리 조기 전당대회를 열어 당원과 국민으로부터 선출된 새 지도부가 쇄신 작업에 나서자는 의견이 맞서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21대 당선인들은 황교안 전 대표가 사퇴하고 조경태 수석최고위원을 제외한 구성원 전원이 불출마하거나 낙선한 현 최고위가 비대위의 성격이나 전환 여부를 결정할 수 없다는 점에서는 의견 일치를 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다른 통합당 당선인은 "당선자총회를 열기 전에 비대위의 성격이 결정되거나 전환 여부, 비대위원장 추대 등이 이뤄질 수 없다는 점에서는 다들 의견을 같이 했다"며 "지금 20대 의원총회에서 결정할 일이 아니라, 21대 당선자총회에서 결정해야할 일이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지난 17일 비공개 최고위를 거쳐 심재철 당대표권한대행이 김종인 전 총괄선거대책위원장에게 비대위원장 수락을 권유했던 행위는 정치적 효력을 잃을 것으로 보인다.


추대의 대상인 김종인 전 위원장의 메시지도 한결 같다. 비대위원장을 맡기 위해서는 충분한 권한과 활동기간의 보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른바 '혁신형 비대위'를 요구하는 것인데, 당으로부터 정식으로 요청이 와야 수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는 말도 빼놓지 않고 있다.


지금은 당선인들의 의견을 수렴해 정식으로 비대위원장 수락을 요청할 주체가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결국 통합당의 비대위 전환 여부 결정 시점은 당선자총회에서 새 원내대표를 선출한 뒤로 밀릴 가능성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통합당 관계자는 "당장 이번 주중에 권유하고 승낙해서 추대하고 비대위가 출범한다는 '시나리오'는 난망해진 것 같다"며 "20일 의원총회도 기본적으로는 20대 의원들의 총회이니만큼 비대위 문제를 깊게 논의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 당선인은 "원내대표 선출 과정에서 후보별로 당의 로드맵에 관한 의견을 내지 않겠느냐"며 "'혁신형 비대위' 전환을 내건 후보가 선출되면 그 원내대표가 선출된 것 자체가 당선인들의 총의니까 그분이 김종인 위원장에게 총의를 모아 권유하면 되며, 조기 전당대회를 내건 분이 선출된다면 그분이 책임지고 조기 전대를 준비하면 될 일"이라고 정리했다.


이에 따라 '지도부 공백 상태'를 메우기 위한 차기 원내대표 선출이 빨라질 가능성도 점쳐진다.


통합당은 범보수 185석을 차지했던 지난 2008년 총선 때에는 5월 23일에 당선자총회를 열어 홍준표 원내대표·임태희 정책위의장을 선출했다. 152석으로 과반을 가까스로 넘겼던 2012년 총선 때에는 5월 10일 당선자총회를 열어 이한구 원내대표·진영 정책위의장을 선출했다.


122석을 얻어 원내 1당을 내주는 참화를 겪었던 2016년 총선 때엔 5월 3일에 당선자총회를 열어 정진석 원내대표·김광림 정책위의장을 선출했다. 선거에 이길수록 당선자총회가 늦어지고, 질수록 빨라지는 점이 눈에 띈다. 따라서 올해 원내대표 선출을 위한 당선자총회는 어느 때보다 빨라질 가능성이 엿보인다는 분석이다.


한편 정치권 일각에서 비대위 성격과 전환 여부를 둘러싼 통합당 내부의 논쟁을 '자중지란' 등으로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것과 관련해, 통합당 당선인들과 관계자들은 강하게 반박했다.


통합당 핵심관계자는 이날 데일리안과 통화에서 "비대위의 성격과 전환 여부, 또는 조기 전당대회 개최 여부는 사안의 중대성에 비춰볼 때, 쉬쉬 하며 번갯불에 콩 구워먹듯 결정할 일이 아니다"라며 "결정 여부에 따라 2022년 대선 전까지 우리 당의 혁신 방향이 정해지는만큼 당선인들의 의견을 널리 수렴해 신중히 결정할 필요가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도원 기자 (united9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