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혁신 비대위? 조기 전당대회?…원내대표 결단이 '열쇠'

정도원 기자 (united97@dailian.co.kr)
입력 2020.04.17 04:30 수정 2020.04.17 05:49

당선자총회 소집해 원내대표 중심 수습 나설듯

혁신비대위 구성하려면 비대위원장 '깜'이 중요

마땅한 인물 없다면 조기전당대회 가는 수밖에

지난 2018년 7월 17일 의원회관에서 열린 자유한국당 전국위원회에서 '김병준 비대위'가 출범하고 있다(자료사진).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지난 2018년 7월 17일 의원회관에서 열린 자유한국당 전국위원회에서 '김병준 비대위'가 출범하고 있다(자료사진).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지도급 인사의 집단 낙선으로 '권력 진공 상태'에 빠진 미래통합당이 혁신 비대위와 조기 전당대회 중 어느 길을 걷게 될지 주목된다. 당선자총회에서 선출될 차기 원내대표의 정치적 결단이 중요하게 작용할 전망이다.


16일 정치권에 따르면, 황교안 전 대표가 전날 총선 결과에 책임을 지고 사퇴하면서 '진공 상태'에 빠진 통합당 내부에서는 당선자총회를 조속히 열어 새 원내대표를 선출해야 한다는 쪽으로 의견이 모이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2016년 총선 패배 직후에도 당선자총회를 소집해 정진석 원내대표를 선출한 뒤, 정진석 원내대표 중심으로 '김희옥 비대위'를 출범해 8·9 전당대회를 준비했기 때문에, 이번에도 이러한 절차를 밟는 게 정석이라는 지적이다.


5선 고지에 오른 주호영 통합당 의원은 이날 CBS라디오 '뉴스쇼'에 출연해 "지도부가 일괄 사퇴하면서 비대위를 구성하는 방법, 조경태 수석최고위원이 남아서 당대표권한대행을 하면서 수습책을 찾는 방법 등이 있다"면서도 "당선자들을 중심으로 조속히 원내대표를 선출해 당대표권한대행을 결정하고 수습책을 마련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내다봤다.


마찬가지로 5선 등정에 성공한 정진석 통합당 의원도 다른 라디오 인터뷰에서 "우선 당선자대회를 빨리 열어야 되겠다"고 거들었다.


당선자총회에서 누가 원내대표가 되든 선택할 수 있는 길은 사실 두 가지 뿐이다. 장기간에 걸쳐 활동하는 혁신형 비대위를 세우거나, 관리형 비대위를 세워 단기간에 조기 전당대회 개최로 가는 양 갈래의 길이다.


혁신형 비대위는 지난 2018년 지방선거 참패 이후 '홍준표 지도부'가 총사퇴하면서 홀로 남은 김성태 원내대표가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을 모셔와 세운 '김병준 비대위'가 대표적이다. '김병준 비대위'는 그해 7월 17일부터 이듬해 2월 27일까지 비교적 장기간인 7개월 동안 활동하면서 여러 활동을 펼쳤다.


혁신형 비대위를 수립하기 위해서는 경륜·무게감과 함께 당 혁신의 비전을 갖췄으면서도, 당내 구성원들이 이견 없이 받아들일 수 있는 인물을 비대위원장으로 모시는 게 관건이다. 그래야 해당 인사에게 충분한 활동 기간 보장과 함께 혁신에 필요한 전권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수가 '폭망'한 현 시점에서 그런 인물을 찾기가 쉽지는 않을 전망이다. 통합당 안팎에서는 김종인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이 받으면 받는 것이고, 아니면 '혁신형 비대위'를 수립할만한 인물은 사실상 없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이와 관련, 주호영 의원은 "그분이 가진 경륜이라든지 정치 흐름을 읽는 안목으로 봤을 때 우리 당을 회생시키는데 도움을 주시면 좋겠다"며 "우리 당이 정비되기까지의 과정에 그분의 역할이 있을 수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반대로 관리형 비대위는 지난 2016년 총선 패배 이후 정진석 원내대표가 김희옥 비상대책위원장을 모셔와 세운 '김희옥 비대위' 사례가 있다. 그해 6월에 수립된 '김희옥 비대위'는 8월 9일까지 짧은 기간 동안만 존속하며 집단지도체제를 규정한 당헌·당규를 단일지도체제로 바꾸는 등 사실상 8·9 전당대회 준비 작업만 했다.


조기 전당대회 치를 경우 당헌당규 손질 필요성
당권·대권 분리 규정 존속·철폐 여부 논란될 듯
집단지도체제로 개편에 대해선 달리 이견 없어


지난 2016년 6월 2일 의원회관에서 열린 새누리당 전국위원회에서 '김희옥 비대위'가 출범하고 있다(자료사진).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지난 2016년 6월 2일 의원회관에서 열린 새누리당 전국위원회에서 '김희옥 비대위'가 출범하고 있다(자료사진).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당헌당규 정비 작업이 없다면 사실 관리형 비대위는 세울 필요조차 없을 수도 있다. 2017년 대선 패배 이후 당권 공백 기간에는 정우택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 없이 직접 당대표권한대행을 맡아 7·3 전당대회를 준비했다. 이 때에는 단일지도체제를 그대로 유지했으며, 이렇다할 당헌당규 정비 필요성이 없었기 때문에 비대위를 따로 세우지 않았다.


다만 이번의 경우에는 조기 전당대회로 가더라도 당헌당규 개정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당선자총회에서 새로 선출될 원내대표가 짧은 기간이나마 관리형 비대위를 세워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온다.


조기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헌당규 개정과 관련해 핵심 쟁점이 되는 사항은 두 가지다. 당권·대권 분리 규정의 철폐 여부와 지도체제 개편이다.


통합당 당헌 제71조 2항은 '대선후보 경선에 출마하고자 하는 자는 대선일 1년 6개월 전에 모든 선출직 당직으로부터 사퇴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른바 당권·대권 분리 규정이다. 대선일은 2022년 3월이기 때문에 1년 6개월 전은 올해 9월이다.


전당대회가 빨라야 7~8월 중에 치러질 것임을 감안하면 현행 당헌당규에서는 대권주자가 당대표로 전면에 나설 수가 없다. 대권을 염두에 두고 있는 유승민 의원이나 홍준표·김태호 당선인, 또는 통합전당대회를 전제로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등이 전당대회에 도전할 수 없는 셈이다.


당내 일각에서는 이러한 당권·대권 분리 규정이 지금 당이 처해 있는 현실에 맞지 않는다고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전국 단위 선거의 4연속 패배로 당이 극도로 침체되고 범보수 진영 전체가 위축된 상황이기 때문에, 잠재적 대권주자들이 전부 지도부로 총출동해서 '당의 얼굴'로 나서서 치열하게 경쟁하는 일종의 '드림팀' 구성이 절실하다는 주장이다.


이를 위해서는 당권·대권 분리 규정 철폐와 함께, 지도체제가 현행 단일지도체제에서 집단지도체제로 개편돼야 한다. 당권·대권 분리 규정만 철폐해서 여러 대권주자들이 전당대회에 도전했다가, 그 중 한 명만 당대표가 되고 다른 모든 잠룡들이 '아웃' 된다면 당연히 대선후보 경선은 당대표에게 유리한 '기울어진 운동장'이 돼버리기 때문이다.


이와는 달리 당권·대권 분리 규정을 철폐하지 말자는 목소리도 존재한다. 대권주자들이 전부 전면에 나서서 집단지도체제를 구성하면, 대여 투쟁에 힘을 합치기보다는 지도부 내에서 서로를 견제하고 자신의 목소리를 부각하기 위한 이른바 '자기정치'에 나설 우려가 크다는 주장이다.


이러한 주장을 하는 당선인들도 지도체제를 현행 단일지도체제에서 집단지도체제로 바꾸자는 점에는 이렇다할 이견이 없는 상황이다. 지난 1년간 '황교안 체제'에서 단일지도체제의 단점이 너무나 많이 부각된 탓이다.


이번 총선에서 생환한 통합당의 한 당선인은 이날 데일리안과 통화에서 "지도체제를 집단지도체제로 바꿔야 하는 등 당헌당규 손질 필요성은 분명히 있다"라며 "원내대표가 직접 당대표권한대행을 맡아 당헌당규를 손질하는 것은 특정 당권주자에 대한 유불리 시비 등을 불러일으켜 리스크가 있기 때문에, 조기 전당대회로 가더라도 단기간의 '관리형 비대위'를 수립하는 게 좋겠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정도원 기자 (united9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