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코로나19] 기업 자금 불안 가시화…신용공급 위험 우려 확산

부광우 기자 (boo0731@dailian.co.kr)
입력 2020.04.16 06:00
수정 2020.04.15 17:26

기업 체감 자금사정 급속 악화…금융위기 후 최악

수요 몰리며 위험 가중 우려…적극적 지원 나서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여파로 국내 기업들이 체감하는 자금 불안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나쁜 수준까지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뉴시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이하 코로나19) 여파로 국내 기업들이 체감하는 자금 불안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나쁜 수준까지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자금을 조달하려는 수요가 금융권에 한꺼번에 몰리면서 신용위험이 가중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로 인해 기업들이 신용경색에 빠지지 않도록 적극적인 금융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된 이후인 지난 달 자금사정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68로 전월(78) 대비 10포인트 급락하며, 2008년 12월(65)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자금사정에 대해 기업이 인식하고 있는 전망을 지수화한 것으로, 기준치인 100보다 낮을수록 이를 비관적으로 여기고 있는 기업이 낙관하는 곳보다 많아졌다는 뜻이다. 업종별로 보면 비제조업의 자금사정 BSI(66)가 더 크게 떨어졌고, 제조업(71)에서는 중소기업(58)의 악화가 두드러졌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국내 기업들은 자금 조달난에 직면했던 경험을 갖고 있다. 당시 은행들이 경기하강 국면에서 기업에 대한 자금 공급을 크게 축소하면서, 기업들은 자금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해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실제로 2007년과 2008년 국내 은행들의 기업대출 증가폭은 각각 79조3000억원과 78조3000억원으로 80조원에 육박했지만, 금융위기의 후폭풍이 밀려온 2009년에는 14조5000억원, 2010년에는 10조9000원으로 급격히 감소한 바 있다.


특히 취약 중소기업과 경기 영향이 큰 산업에 대한 자금공급이 먼저 축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금융위기 직후인 2008년중 총 기업대출 규모는 전년과 유사한 수준이었지만, 상대적으로 취약한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이 같은 기간 66조8000억원에서 48조원으로 28% 급감한 바 있다. 산업별로는 도·소매업과 음식·숙박업, 건설업, 부동산업이 제조업보다 타격이 컸다는 분석이다.


문제는 코로나19 사태 이전 기업들이 은행 대출을 한껏 늘려 놨다는 점이다. 뒤늦게 은행 문을 두드리는 기업들로서는 돈을 구하기가 더욱 어려울 수 있다는 얘기다. 코로나19 영향이 아직 크지 않았던 올해 1~2월 은행의 기업대출 증가액 규모는 13조6000억원으로 전년 동기(12조원) 대비 13.3%(1조6000억원)나 증가했다.


이 때문에 금융권에서는 코로나19 사태 장기화 될수록 기업의 대출수요는 대폭 확대되는 반면, 민간 금융기관을 중심으로 신용공급이 위축되면서 기업의 자금난이 가중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우선 민간소비 위축과 수출 감소 등에 따른 기업의 매출 감소와 실적 악화로 생존을 위한 운영자금 수요가 급증할 것이란 전망이다. 상대적으로 신용등급이 높은 대기업도 회사채 시장 경색으로 인해 대출을 통한 자금조달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경기순응적 대출 행태를 보이는 민간 금융기관은 신용공급을 축소하고 우량 차주 중심으로 자금을 공급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민간금융기관의 대출 만기연장 등의 조치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신용등급이 낮은 중소기업과 개인사업자, 소상공인을 중심으로 자금난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금융권에서는 정책 금융기관의 지원과 함께 일반 금융사의 적극적 참여가 중요하다는 조언이 제기된다. 적절한 신용공급이 제 때 이뤄지지 않아 기업의 유동성 부족이 확대될 경우 정상 기업들까지 연쇄적으로 위기를 맞는 등 실물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이 클 것이란 염려에서다.


KDB미래전략연구소 관계자는 "정책 금융기관의 경기 대응적 자금공급과 함께 민간 금융기관의 위험 분담 참여가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신용경색에 따른 유동성 위기로 기업들이 도산하지 않도록 돕는 금융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부광우 기자 (boo073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