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미세먼지 복합적인 요인 작용…여러 부처가 협의할 것"
입력 2018.11.08 09:01
수정 2018.11.08 09:02
장관들 향해 "중국, 인근 국가와의 연구·협력도 한층 강화해 달라" 주문
장관들 향해 "중국, 인근 국가와의 연구·협력도 한층 강화해 달라" 주문

이낙연 국무총리는 8일 “국민들이 미세먼지 감소를 더 실감하도록 환경부와 관계 부처가 생활주변 미세먼지 저감을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총리는 이날 오전 제56회 국정 현안점검조정회의가 열린 정부서울청사에서 “겨울이 오니 미세먼지가 다시 많아지고 어제는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됐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 총리는 “정부는 작년 9월에 발표한 ‘미세먼지 관리 종합 대책’에 따라 30년 이상 된 석탄발전소 5기를 올봄에 가동중지했고, 2005년 이전에 등록한 경유차를 조기폐차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올해 3월부터는 미세먼지 농도가 이틀 연속으로 평균 50㎍/㎥을 넘을 때 수도권에서만 시행하던 비상저감조치를 13개 시도로 확대했다”라면서 “그 결과 1월부터 9월까지의 평균 미세먼지 농도는 지난해 25.1㎍/㎥에서 올해 22.7㎍/㎥으로 10% 가까이 줄었다"라고 설명했다.
이 총리는 나아가 “미세먼지에는 전력, 산업, 교통, 건축 같은 국내 요인과 주변국의 배출가스 등 국외 요인, 그리고 대기 정체 같은 기상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라면서 “미세먼지 대책은 여러 부처와 관련될 수밖에 없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앞으로 국무조정실이 범정부 합동 기획단을 조속히 구성해서 더 체계적이고 대담한 정책을 마련하기 바란다”라면서 “또한 그런 대책이 현실에서 제대로 이행되는지 점검해 국민의 실감을 높이고 특히 중국 등 인근 국가와의 연구와 협력도 한층 강화해 달라"라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