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인사는 '애드벌룬' 방식?…미리 '명단' 흘려 여론 살피나
입력 2017.05.11 12:10
수정 2017.05.11 15:08
새정부 주요인선 명단, SNS 통해 나돌아…대부분 '일치'
역대정부 '밀실인사''사고 빈발' 교훈삼아 여론 사전수렴
10일부터 임기가 시작된 문재인 대통령이 새 정부 각료와 청와대 비서진에 어떤 인사를 발탁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문 대통령은 10일 초대 국무총리 후보자로 이낙연 전남지사를, 대통령 비서실장으로 임종석 전 의원, 국가정보원장에 서훈 전 국정원 3차장 등을 지명하거나 임명했다.
역대 정부에선 대통령직 인수위를 운영하면서 철저한 인사 검증 등을 통해 청와대 비서진과 장차관을 임명할 수 있었던 데 비해 새 정부는 그럴 시간적 여유가 없다. 국정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핵심 인사를 서두르고 있다.
새 정부 주요인선 명단, SNS 등 통해 '입소문'…적중되는 경우 많아
이에 따라 임기 이틀째인 11일에는 청와대 민정수석 비서관에 조국 서울대 법학전문대학 교수, 인사수석 비서관에 조현옥 이화여대 초빙교수, 홍보수석비서관에 윤영창 전 네이버 부사장, 총무비서관에 이정도 기획재정부 행정안전예산심의관, 춘추관장에 권혁기 선대위 수석부대변인을 임명했다.
현재까지 나타난 문재인 대통령의 인사 스타일은 '애드벌룬' 방식으로 볼 수 있다는 게 정치권의 반응이다. 사전에 인사 명단을 흘려 시중의 반응을 살펴본 뒤 이를 감안해 최종 명단을 발표하는 식이다. 일종의 여론 탐색과정을 거치는 셈이다.
실제로 문 대통령 취임 전부터 시중에는 새 정부 장관직 등 주요직책에 누가 임명될 것인지 '하마평'이 끊이지 않았다. 심지어 취임 직후에는 출처를 알 수 없는 '문재인 대통령 내각 1기'라는 문서가 SNS 등을 통해 유포되기도 했다.
청와대가 이틀간 발표한 인사내용은 이 명단과 상당부분 일치하고 있다. 명단에는 국무총리에 이낙연 전남지사와 진영 의원이 경합하는 것으로 돼 있는데 이 지사가 최종적으로 지명됐다. 대통령 비서실장, 국정원장, 홍보수석, 춘추관장 등의 유포된 명단 그대로 인선이 이뤄졌다.
다만 민정수석에는 신현수 변호사가 명단에 이름을 올렸지만 최종 발표는 조국 교수로 바뀌었다. 총무비서관 자리에도 당초 양정철 선대위 비서실 부실장이 거명됐지만 이정도 기획재정부 행정안전예산심의관이 임명됐다. 명단 유포 뒤에 여론의 반향에 따라 최종 결정이 바뀌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 밖에 외교부장관에는 국가정보원 1차장을 지낸 이수혁 단국대 석좌교수, 국가안보실장에는 백군기 전 육군 대장, 국방부장관에는 송영무 전 해군참모총장, 경제부총리에 이용섭 전 의원, 교육부총리에 김상곤 전 경기도교육감, 통일부장관에 우상호 민주당 원내대표, 노동부장관에 홍영표 의원 등이 '내각 1기'로 유포된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최종 인선과 얼마나 일치할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김영삼·박근혜 정부 '사전공개' 되면 바로 교체…선행학습 효과 따르나
이런 '애드벌룬' 방식은 과거 김영삼 전 대통령의 집권시기이던 '문민정부' 시절이나 박근혜 전 대통령의 인사 스타일과는 뚜렷하게 대비된다. 당시에는 인선 과정에서 대상자의 이름이 사전 유출되거나 언론에 보도되면 당초 안을 백지화하고 다른 인선을 발표했다.
그러다 보니 박근혜 정부 시절에는 인사 대상자들이 '하마평'에 자신의 이름이 나오지 않도록 언론 등에 "내 이름을 올리지 말아달라"고 사정하는 해프닝도 적잖았다는 후문이다.
특히 박 전 대통령은 어떤 대상자가 거론되는지를 아예 가늠 못하도록 이른바 '밀실인사' 스타일을 고수했는데, 그로 인해 인사 사고도 빈발했다.
'인사가 만사'라는 말이 있듯이 이러한 시행착오를 막기 위한 차원으로 새 정부는 인선 과정에서 여론을 경청하고 수렴하는 방식을 구사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열린 인사가 협치의 시작이자 완성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