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이우환 위작 그린 사람 내용증명서 “40억 달라”

스팟뉴스팀
입력 2016.02.24 10:47
수정 2016.02.24 10:55

최소 5명의 위작범이 얽혀있는 머니게임, 80억 규모 거래 추정

이우환 작가의 위작을 그린 사람이 주문한 사람에게 40억을 내어 놓으라며 내용증명을 보낸 것이 밝혀졌다. (자료사진) ⓒ연합뉴스

지난 1월 이우환 작가의 작품감정서가 위조됐다는 것을 확인한 이후, 확인되지 않던 이우환의 위작을 그린 사람의 존재가 포착됐다.

23일 이우환의 위작을 그린 A 씨가 위작을 주문하고 판 B 씨에게 “소문에 80억 원어치를 팔았으니, 40억 원을 달라”고 보낸 내용증명을 입수했다며 뉴시스가 단독 보도했다.

내용증명은 A 씨가 2013년 5월 21일 B 씨의 아들 C 씨에게 보낸 것으로 “2013년 1월부터 10월까지 작업하여 한 달에 10~14점을 아들인 C 씨가 아버지 B 씨에게 배달도 하고 돈도 관리했다”며 “본인 A는 아버지 B 씨가 40억 원을 갚지 않으면 아들인 C 씨에게 분명히 받을 것”이라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내용증명에 따르면, B 씨는 2011년 4월 초순 서울 답십리에서 A 씨를 만나 “일본에 꼭 팔 데가 있다”며 애걸복걸했다. A 씨는 B 씨가 “일본에는 한국 법과 달라 죄가 안 된다고 강조하며, 만약의 상황에는 자기가 책임진다”고 말했으며 “만날 때마다 중국, 일본, 한국 조폭들 이야기를 강조했다”고 알렸다.

결국, 부탁을 들어주기로 한 A 씨가 “재룟값이라도 부담하라”고 하니 B 씨는 지금은 돈이 없다며 “일에 착수하면 후에 분배과정에서 50대 50으로 정확하게 돈을 나누며, 만약 약속을 이행하지 않으면 배에다 칼을 꽂아도 달게 받겠다”며 강조했다고 한다.

그 이후 화가라 불리는 ‘그림을 그리는 사람’과 일산의 모텔에서 2011년 5월 초순에 작업했으나, 실패했고 이후 연구 끝에 2012년 1월부터 10월까지 1달에 5점~7점을 부산에 보냈다.

그림을 그리던 당시 2월 초에 5000만 원을 받았고, 이후 추적을 피하고자 나눠서 송금해야 한다며 농협에서 4000만 원, 외환은행에서 3000만 원, 하나은행에서 3000만 원을 받았다. 하지만 A 씨는 “문제는 그 뒤부터”라며 “그 이후 물건은 계속 보냈으나 돈을 받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돈을 받지 못한 A 씨는 알고 보니 큰 그림 대부분을 B 씨가 팔았다며 “소문에 의하면 80억 원어치 팔았으니 나는 약속대로 40억 원을 요구하는바”라고 알렸다. 그림에 대해서는 “어떻게 팔았든 상관없고 매매한 그림값 반을 요구할 뿐”이라는 설명이다.

이우환 위작사태의 진상은 그림을 그린 A 씨, 주문하고 판매한 B 씨, 배달한 C 씨, 화가, 부산의 연결책 등 5명이 가담된 위작 범끼리의 머니게임인 것으로 보인다.

생존 작가 중 작품값이 가장 비싼 이우환 작가의 독특한 세계관의 그림은 깊이 있는 철학으로 명성을 얻었으나, 2년 전 시작 된 위작 의혹으로 계속해서 논란이 되고 있다.

지난 1월 1일 서울지방경찰청 지능범죄 수사대가 압수한 이우환 화백의 작품 12점은 모두 위작이라는 전문가의 감정 결과가 있었다. 현재 미술 시장 초미의 관심사가 된 ‘이우환 위작사태’의 결과가 주목된다.

한편, 이 내용증명을 제보한 미술시장 관계자는 "이우환 위작뿐만 아니라 박수근 이중섭 정상화 등 돈 되는 작품은 모두 연루되어 있다"면서 특히 "이우환 위작은 대형화랑에 흘러들어갔다"고 주장했다고 한다.

스팟뉴스팀 기자 (spotnew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