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시민사회, 북한 무력도발 강력 규탄…단호한 대응 촉구

하윤아 기자
입력 2015.08.21 18:03
수정 2015.08.21 18:03

"김정은의 남한흔들기 도를 넘었다" 목함지뢰·포격 도발 비난

정부에는 "흔들림 없는 대응 통해 무력도발 재발 방지하라" 촉구

시민단체가 북한의 무력도발 행위를 강하게 규탄하면서 우리 정부의 단호한 대응을 주문하고 나섰다.

시대정신(대표 이재교)은 20일 ‘북한 김정은 정권의 무력도발을 규탄한다’는 제목의 논평을 통해 “정부의 대북확성기 방송 재개 결정은 최근 북한의 지뢰도발에 대한 비군사적인 대응으로 적절하다고 볼 때 북한의 대남 무력도발은 명분 없는 군사주의적 행동으로 규탄 받아 마땅하다”며 북한의 포격 도발을 규탄했다.

이어 “북한정권이 대화제의에 지뢰와 포탄으로 답한다는 것은 그들이 남북한의 군사적 긴장을 택하겠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밖에 없다”며 “김정은 정권은 시대의 흐름을 깨닫고 무력에 의존하려는 망상에서 하루속히 벗어나기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시대정신은 20일 오후 발생한 북한의 포격 도발에 대해 우리 측이 155mm 포로 대응 사격한 것에 대해 ‘적절한 대응’이라며 “이번 사태가 어떻게 전개될지 알 수 없지만, 정부는 북한이 무력도발의 유혹을 다시는 느끼지 못하도록 단호한 대응을 하여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북방송협회(회장 강신삼, 이하 협회)도 20일 성명서를 통해 “북한이 지뢰도발로 심각한 인명피해를 입힌 데 이어 포탄까지 발사한 것은 정전협정과 남북기본합의서의 불가침협정을 위반한 명백한 불법행위”라며 최근 발생한 북한군의 무력도발에 대해 강력 규탄했다.

협회는 “이번 포격으로 발생되는 모든 책임이 북한에 있다”며 “북한의 거듭된 도발은 김정은의 치기어린 행동의 양태로서 향후 남북관계는 더욱 악화될 수밖에 없고, 국제사회에서 김정은 정권의 고립은 갈수록 심화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향후 정부와 우리 군은 북한군의 연이은 도발을 경계하는 한편, 도발의도를 파악해 신중히 대응해야 할 것”이라면서 향후 협회 차원에서도 김정은 정권의 행태를 고발하는 여론을 확산하고, 북한 사회가 개혁개방과 민주화로 나아가도록 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파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바른사회시민회의(이하 바른사회)는 ‘북한의 지속적인 무력도발 단호하고 철저하게 대응하라’라는 제목의 논평에서 “이번 도발은 명백한 정전협정 위반이자 침략행위”라며 “우리의 분열과 불안을 획책하지만 한반도 긴장 고조를 통해 북한은 얻고자 하는 것은 단 하나도 얻을 수 없음을 깨달아야 한다”고 규탄했다.

그러면서 바른사회는 정부를 향해 “국민의 불안을 잠재우고 안보를 공고히 할 수 있는 실효적이고 구체적인 강력한 대응 방안을 강구해 북한의 무력도발이 재발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청년단체인 청년이여는미래(대표 신보라, 이하 청미래)도 21일 ‘북 포격도발, 청년들도 뿔났다’라는 제목의 성명서를 통해 “김정은의 남한 흔들기가 또 시작되었다”며 북한의 도발을 강하게 규탄했다. 이어 정부에 “그것이 원점타격이든, 확성기 방송이든 북한의 도발에 머뭇거리는 태도를 보여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특히 청미래는 이번 도발과 관련, “김정은이 가장 무서워하는 것은 ‘국가’와 ‘안보’의 가치를 굳건히 믿는 대한민국의 청년들”이라며 청년 세대의 역할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밖에 자유교육연합·교육과학교를위한학부모연합 등 20여개 단체도 공동 성명서를 통해 “대북전단 풍선을 향한 고사포 사격에 이어 DMZ 아군통로에 지뢰매설, 이젠 대북 확성기를 겨냥한 포탄 사격까지 감행하고 있다”며 “북한의 도발이 도를 넘는다”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이들 단체는 “정부는 이 도발이 전쟁으로 확전될 것을 우려하여 또다시 북한을 달래는 전략을 구사해서는 안 된다”며 “국민을 믿고 북의 도발에 대한 확고한 원칙을 세우고 좌고우면하지 않기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하윤아 기자 (yuna1112@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