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춘 "검찰조사 당당히 협조…성완종 원망스러워"
입력 2015.04.13 10:18
수정 2015.04.13 10:28
"왜 신문기사 날짜를 적나…작문이라고 생각"
이른바 '성완종 리스트'에 이름이 오른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은 13일 "특검이든 검찰이든 당당하게 협조해 누명을 벗기 위해 최선을 다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김기춘 전 실장은 이날 오전 MBC 라디오에 출연해 "어떤 수사든 진상 확인을 위한 당국의 노력이 있으면 당당하게 협조하겠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고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은 자살 직전인 지난 9일 오전 경향신문과 인터뷰를 통해 2006년 9월, 미화 10만달러를 김 전 실장에게 건넸다고 주장했다. 또 성 전 회장이 자살한 뒤 호주머니에서 '10만 달러, 2006.9.27日 독일 벨기에 조선일보'라고 적힌 메모가 김 전 실장 이름 옆에 적혀 있었다.
김 전 실장은 특히 메모에 9월 26일이라고 적힌 것과 관련해 “9월 26일이 돈 준 날짜가 아니고 신문기사 날짜라는데 상식적으로 돈을 준 날짜를 적어야지 왜 신문기사 날짜를 적습니까”라며 “작문이라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김 전 실장은 또 "지금 생존해 계시다면 당당하게 대면해서 자초지종의 진실을 밝히겠는데 이렇게 하고 떠나버리셨기 때문에 망자와 깊은 얘기를 할 수도 없고 곤혹스러울 뿐만 아니라 원망스럽기도 하다"고 밝혔다.
김 전 실장은 2006년 9월에 벨기에·독일 출장은 사실이라고 밝힌 뒤 "그 때 초청한 것은 독일의 어느 유수한 재단이다. 거기에서 전부 항공료라든가 숙박비 등을 부담을 했고, 초청을 받아 간 입장에서 개인적으로 약간의 노자를 갖고 제가 제 개인 돈으로 환전해 갔기 때문에 이 얘기를 듣는 제3자들은 그럴듯해 보이지만 그것이 제가 참 곤혹스러운 점"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는 공안검사 경력이 있고,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 때 법사위원장으로서 소추위원 역할을 했기 때문에 노무현 정부 하에서 아무 영향력이 없는 야당위원이었고 사실 성 회장이 이용할만한 가치도 없었는데 무엇 때문에 저에게 거금의 여비를 줬겠습니까"라며 "저는 출국 직전인 9월 23일에 출국했기 때문에 9월 21일에 제 통장에서 5000유로를 바꿔 가지고 노자로 가져간 환전기록이 그 묵은 서류 뭉치 속에 있는 걸 발견했다. 10만불이나 받았다면 제가 제 돈으로 환전할 필요가 있었겠습니까"라고 되물었다.
아울러 성 전 회장이 죽음을 결심하면서 거짓을 기록했겠냐는 질문에는 "고인과 상대해서 진실게임을 벌이는 것이 곤혹스럽기 짝이 없습니다만 그러나 진실은 하나님이 알 것"이라며 "이 문제에 관한 한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러움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배달사고' 가능성에 대해서는 "그런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일축했다.
김 전 실장은 또 성 전 회장의 구명 요청이 있었느냐는 질문에는 "성 전 회장으로부터 직접 어떤 도움이나 전화 요청을 받은 바는 없다"면서도 "그러나 성 회장을 아는 국회의원으로부터 검찰에 이 문제에 대해 관심을 좀 표명해달라는 간접적인 연락은 있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러나 밖에 나와 있는 저로서 할 수 있는 역할은 없었고 제가 이 사건에 개입할 만한 위치에 있지 않아서 아무런 도움도 드리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깊은 인간관계가 없어도 그런 막다른 어려운 처지에 처하면 평소에 안면 있고 하니까 뭔가 또 (비서)실장도 했기 때문에 또 제가 검찰 출신이기 때문에 뭔가 도움을 받을 수 있지 않겠느냐, 검찰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지 않겠는가, 이런 차원에서 백방으로 노력한 일환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