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희상 vs 박지원, 문재인 놓고 설전벌이는 속내는
입력 2014.11.19 09:35
수정 2014.11.19 09:40
전대 출마 놓고 특정인물 유리하지 않게 하려는 문 고립될까 걱정하는 박
새정치민주연합 차기 전국대의원대회가 3개월도 채 남지 않은 가운데, 문재인 비상대책위원의 전당대회 출마 여부를 둘러싼 문희상 비대위원장과 박지원 비대위원간 장외 공방이 가열되고 있다.
우선 당대표 경선 출마가 유력한 박 위원은 대권·당권 분리론을 내세워 공개적으로 문 위원의 전당대회 불출마를 압박하고 있다. 종전까지 박 위원은 구체적인 대상 없이 ‘대권 후보’의 전당대회 불출마를 요구해왔으나, 지난 12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전당대회 출마가 부적절한 인물을 문 위원으로 특정했다.
박 위원은 페이스북에 남긴 글에서 “친노(친노무현)와 반노(반노무현)의 문제도, 문재인과 박지원의 대결도 아니다”라며 “당과 집권을 위해서 당권과 대권은 분리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위원은 “우리의 두 번, 대선과 총선 실패로 대한민국은 민주주의, 서민경제, 남북관계가 파탄 났다. 국가부채, 가계부채, 청년실업, 비정규직 문제 등 단 한 가지도 어렵지 않은 게 없다”면서 “(그러나) 우리는 야당답지도, 할 말도 못했으며 감동적인 협상도 못해 국민 속에서 존재감도 상실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최근에도 우리만 사정당하고, 간첩은 조작됐다. 국정원과 군 사이버사령부의 정치개입은 어떻게 돼 가느냐”며 “당대표는 싸울 때에는 싸우고 협상할 때에는 감동적으로 해야 한다. 상처 입는 것을 마다하지 않아야 한다. 우리는 대중정당이기에 가치관이 목표가 아니고 집권이 목표이다”라고 강조했다.
특히 박 위원은 “만약 대권 후보가 당권에 도전한다면 다른 대권 후보들은 뒷짐만 지고 있을까”라면서 “DJ(김대중), YS(김영삼), JP(김종필), 박근혜 같은 리더십은 시대도 바뀌고 이젠 없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도, 문재인 위원도 전라도 사람을 부산에 공천해 당선시키겠느냐”고 반문했다.
박 위원은 지난 9월 ‘모바일투표’ 도입 가능성을 언급했던 문희상 비대위원장을 향해서도 경고를 던졌다. 일반적으로 모바일투표는 대중적 인지도가 높은 대권주자들에게 유리하고, 당내 기반이 탄탄한 호남계 인사들에게 불리하다. 문 위원과 박 위원은 각각 당내에서 대표적인 대권주자와 호남계 인물이다.
그는 “문 위원장은 당대표이기에 전당대회의 어떠한 룰에 대해서도 사전에 의사를 표명을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면서 지난해 전당대회 룰을 차기 전당대회에서도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상황에 문 위원장은 우회적으로 문 위원의 편을 들고 나섰다. 문 위원은 지난 17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당헌에는 대권에 도전하는 사람은 대선 1년 전에 그만두라고 나와있다”면서 “당대표 임기가 2년이고 대선이 3년이나 남은 시점에서 전대에 나오지 말라는 것은 민주주의가 아니다”라고 반대했다.
그는 또 “자기가 불리하니까 누구를 나오지 못하게 하려는 것은 괜히 일을 만드는 것”이라며 “내가 이런 너무 당연한 얘기를 했더니 ‘왜 대표가 그런데 깊이 관여하느냐’고 하더라”고 전했다. 문 위원장이 실명을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정황상 문 위원장과 대화했던 인물은 박 위원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문 위원장은 18일 관훈클럽 토론회에서도 “(문 위원에 대한 전당대회 불출마 요구는) 이를테면 문 위원이 당권에 안 나왔으면 좋겠다는 전제인데, 문 위원이 대통령 선거에 나오라는 법이 있느냐. 가령 정세균 비대위원은 대권에 나오지 말라는 법 있느냐. 이건 전제부터가 잘못돼 있다”고 날을 세웠다.
문 위원장은 이어 “그런 말을 하려면, 대표나 최고위원이 대권에 나오려면 현 당대표나 최고위원을 그만두라는 말은 충분히 있을 수 있다. 그건 우리 당헌에도 1년 전에 그만두라고 나와 있다”며 “하지만 지금은 대선이 아직도 몇 년이 남았는데, 지금부터 나오지 말라는 건 말이 안 된다”고 덧붙였다.
박지원, 비대위 내 3대 1 싸움…고립 위기감 작용한 듯
이처럼 두 인물이 전당대회를 둘러싸고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데에는 특정 인물에 유리하게 경선 판이 짜이는 것을 막으려는 문 위원장의 경계심과 자신이 비대위에서 고립되고 있다는 박 위원의 위기감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같은 상반된 이해관계가 문 위원의 출마 여부를 놓고 갈등으로 불거진 것이다.
현재 새정치연합 비대위에서는 정 위원과 박 위원, 문 위원이 전당대회 출마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 가운데 정 위원은 참여정부 시절 열린우리당 원내대표와 당의장, 산업자원부 장관을 지낸 범친노계 인사로 분류된다. 또 문 위원은 노 전 대통령의 비서실장을 지냈다. 내년 전당대회에는 출마하지 않지만 현재 당권을 쥐고 있는 문 위원장까지 고려하면 비대위에서 박 위원이 처한 상황은 그야말로 사면초가이다.
특히 문 위원이 전당대회에 출마한다면 당내 최대 계파인 친노계와 범친노계가 결집할 가능성이 크다. 같은 맥락에서 당 일각에서는 문 위원과 정 위원의 연대설도 흘러나오고 있다. 여기에 당권 도전론이 부각된 뒤로 문 위원의 지지율도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여론조사상 문 위원의 우위는 확고하다.
반면, 박 위원은 지지 세력이 호남계를 비롯한 구(舊)당권파와 일부 비노계에 불과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박 위원의 입장에서는 문 위원이 전당대회에 불출마하고, 자신은 비노계 당권 후보들과 연대해 정 위원과 1대 1 구도를 만드는 것이 당권 획득 가능성을 가장 높일 수 있는 시나리오이다.
한편, 중도·온건파를 대표해 당대표 경선 출마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진 김영환 의원은 18일 TBS 라디오에 출연해 간접적으로 박 위원을 지원했다.
김 의원은 “(경선) 룰에 관한 이해관계가 엇갈리는 상황에서 룰 변경은 또 다른 혼란이 빚어질 수 있어 신중해야 한다. 기존 당헌·당규에 동의하는 의견이 많으므로 기존 룰을 따라 갈 가능성이 높다”며 차기 전당대회에서 모바일투표, 오픈프라이머리 등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는 문제에 대해 부적적인 입장을 피력했다.
특히 김 의원은 문 위원이 전당대회에 나서는 문제에 대해 “특정인의 출마를 거론하는 것보다 쟁점이 되는 문 위원의 출마는 개인적으로 당과 자신을 위해 나오지 않는 것이 좋지 않으냐 생각한다”며 “문 위원이 당대표가 되면 친노 패권주의로 흐르게 돼 당의 쇄신은 기대할 수 없게 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문 위원 자신은 쇄신의 의지를 이야기 했으나, 국민은 친노에 의한 당의 장악으로 볼 것”이라면서 “전당대회 실패, 외연확장, 총선·대선의 전도의 불투명으로 이어져, 분당의 결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문 의원은 불출마가 계파청산이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