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이재명·김동연·김경수, '개헌 시기' 이견…'경제해결 시급성'엔 공감대

김찬주 기자 (chan7200@dailian.co.kr)
입력 2025.04.24 00:00
수정 2025.04.24 00:08

李 "시급한지 의문" vs 김동연 "3년 전 약속"

과거사 공방…김동연 "역사관 중심 있어야"

기본사회 놓고도 이견…"포기안해" "성급"

이재명·김동연·김경수 더불어민주당 21대 대선 경선 후보(사진 왼쪽부터) ⓒ국회사진취재단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들이 두 번째 토론회에서 개헌 시기를 놓고 공방을 벌였다. 이재명 후보는 취임 직후 100일 내 개헌 추진 의지와 관련해 "시급한지 의문"이라고 했고, 김동연 후보는 3년 전 대선 당시 이재명 후보가 단일화 과정에서 개헌을 약속한 것을 가리켜 "합의서의 서명은 국민과의 약속이었다"고 맞받았다.


이재명·김경수·김동연 대선 후보들은 23일 오후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 토론회에서 개헌에 대한 입장차를 보였다. 주도권 토론에서 김동연 후보가 "대통령 취임 이후 100일은 제7공화국을 여는 대단히 중요한 기간인 만큼, (내가 대통령이 되면) 개헌 절차에 바로 돌입하겠다"며 "이재명 후보는 (대통령이 되면) 100일 동안 무엇을 할 것이냐"라고 물었다.


이재명 후보는 "개헌을 시급하게 해야 하는지 의문"이라며 "대통령 중임제와 국회의 권한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그리고 기본권과 자치분권을 강화하고, 5·18 정신 헌법전문 수록, 결선투표제 도입 등 개헌은 해야 하는데 이런 것이 국민들이 먹고사는 문제에 직결된 것도 아닌데 그건(개헌) 좀 여유를 둬도 괜찮겠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21대 대선 경선에 나선 김동연 예비후보가 23일 오후 토론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취재단

그러자 김동연 후보는 "개헌을 천천히 시간을 두고 하겠다는 것은 자칫 국민이 보기엔 임기내 (개헌을) 안 하겠다는 말로 들릴 것 같다"며 "이미 3년 전에 이재명 후보와 나는 개헌과 임기 단축에 대해 100% 동의했고, 함께 추진키로 한 만큼 이 (개헌) 문제에 있어서는 국민이 먹고사는 문제는 그것대로 해결하고, 정치적 문제는 시급하게 해결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대선 당시 합의서는 개헌) 일을 추진하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이고 약속인 것"이라며 "이재명 후보가 당시 나와 합의서에 사인하면서 '이것은 나와의 약속이 아니라 국민과의 약속'이라고 했는데, 지금도 같은 생각일 것으로 믿고 있다. 그런 의지를 보여주기 위해 개헌을 추진하자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김경수 후보는 개헌 필요성에 공감하면서도 유보적 입장을 보였다. 그는 "개헌은 대단히 중요하지만, 개헌의 전제 조건은 내란 세력과 함께 개헌 논의를 착수하기 어렵다"며 "헌법 파괴 세력과 동거하면서 헌법을 새롭게 만들자는 얘기를 어떻게 하느냐. 국민의힘이 내란세력과 결별하는 것, 대한민국 보수정당을 새롭게 만들고 한국 정치를 바로 잡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친일파와 과거사 문제에 대한 이재명 후보의 입장을 묻는 질문도 나왔다. 앞서 정규재 전 한국경제신문 주필이 이재명 후보와의 만찬 직후 유튜브 채널에서 '이재명 후보가 친일파와 과거사 문제를 모두 덮으려고 한다'고 밝힌 것이 발단이다.


이와 관련한 김동연 후보의 질문에 이재명 후보는 "(정 전 주필 발언은) 중간이 생략된 것"이라고 해명한 뒤, "지금 (국가가) 이념 문제로 너무 분열되고 대결이 격화돼 있다. 지금은 일단 먹고사는 문제에 집중할 때다. (과거사 청산 같은) 그런 문제들은 가급적이면 지금 단계에서는 이 이야기가 빠져 (있을 필요가) 있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강조했다.


그러자 김동연 후보는 "친일파와 과거사 문제를 모두 덮으려 한다는 것은 이재명 후보의 본래 마음은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다"면서도 "모름지기 지도자는 역사관과 이런 (과거사) 문제에 대해 확고한 중심을 잡아야 한다"고 충고했다.


더불어민주당 21대 대선 경선에 나선 이재명 예비후보가 23일 오후 토론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취재단

이재명 후보의 대표 정책인 '기본사회'를 놓고서도 입장 차를 보였다. 그는 "국민의 기본적인, 최소한의 삶을 국가가 각기 영역에서 보장해주는 보편적 기본사회로 갈 필요가 있다"며 "생산성은 높아지고 노동 수요가 줄어들면 원하는 사람은 얼마든지 일할 수 있다는 (기존 복지 제도의) 대전제가 사라진다. (기본사회를) 포기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이에 김동연 후보는 "먼 미래의 일하는 소수와 일하지 않는 다수 사회를 상정하면 기본사회가 필요하다"는 공감을 나타내면서도 "그 전까지는 우리 사회의 생산성을 높이는 방법으로서 (기본사회는) 성급하다"고 지적했다.


김경수 후보도 "기본소득으로 바로 가기에는 정부 재정에 문제가 있다"며 "절대 빈곤선 이하에 있는 국민 10%, 특히 산업화 세대를 책임졌던 부모 세대인 노인 빈곤율부터 풀어나가는 게 맞는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러자 이재명 후보는 "(기본사회가)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것도, 해야 하는 것도 아니지만 준비해야 한다"며 "지금은 너무 어려운, 경제와 성장에 집중할 시기여서 그런 것이지 포기하지 않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고 뜻을 굽히지 않았다.


민생과 국가 경제 문제 해결의 시급성엔 세 후보 모두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재명 후보는 "제일 중요한 것은 아마 한·미 통상문제를 협상하는 것"이라며 "또 지금 민생이 너무 어렵다는 측면에서 내수 진작을 위한 긴급조치를 해야 하지 않나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21대 대선 경선에 나선 김경수 예비후보가 23일 오후 토론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취재단

김경수 후보는 "이번 대통령은 인수위원회가 없기 때문에 지난번 문재인정부 출범 때처럼 국정기획자문위와 같은 것을 긴급히 구성해서 정책 공약을 정리, 소위 5개년 계획을 빨리 세우는 게 제일 중요하다"며 "통상협상에 대비하기 위한 민·관 협의 기구도 빨리 구성해야 한다"고 했다.


김동연 후보는 "경제 '워룸(War room)' 같은 것을 만들어서 대통령이 주재하는 비상경제대책회의를 만들까 생각하고 있다"며 "경제가 급한 것 아니겠느냐"라고 말했다.


한편 이재명 후보 캠프 측은 이번 토론회를 마친 뒤 브리핑을 통해 "이재명 후보는 김동연·김경수 후보의 의견을 존중하며 진지한 토론을 주도했다"며 "세 후보는 기본사회에 대한 방향성에 뜻을 같이하고 단계적 실행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또 개헌에 대해 진지한 토론을 진행했고 이재명 후보는 정당간 협의와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강조했다"고 평가했다.


김경수 후보 캠프 측은 "오늘 토론회는 김경수 후보가 가진 정책경험과 정책역량을 유감없이 발휘한 토론회였다"며 "정책 주도권, 태도, 소통능력 등 모든 면에서 김경수 후보의 진가가 확인됐다"고 자평했다.


김동연 후보 캠프 측은 "김동연 후보에겐 '주마간산'(走馬看山·사물을 대충 훑어보고 지나치는 모습)식 해법, 정책과 현실의 불협화음, 그리고 동어반복이나 딴청 같은 여의도 문법이 보이지 않았다"며 "경선투표전 고작 두 번뿐인 TV토론이 너무너무 아쉽다"고 했다.

김찬주 기자 (chan720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