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카드사 부실채권 증가세 2년 만에 '제동'…건전성 자구책 통했다

부광우 기자 (boo0731@dailian.co.kr)
입력 2024.10.28 06:00
수정 2024.10.28 06:00

고정이하여신 전분기比 1500억 감소

기준금리 인상 후 계속 늘다가 '유턴'

리스크 도미노 차단 이미지. ⓒ연합뉴스

국내 신용카드사들이 떠안고 있는 부실채권이 최근 석 달 동안에만 1500억원 넘게 줄어들며 2조원대 아래를 다시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본격화한 이후 줄곧 이어져 온 증가세에 2년 만에 제동이 걸린 것이다.


고금리 충격 속에서 악화일로를 걷던 건전성을 방어하기 위해 카드사들이 내놓은 자구책이 통했다는 평과 함께, 통화정책이 마침내 완화 기조로 돌아선 만큼 재무 관리에 보다 숨통이 트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2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말 기준 8개 모든 카드사들이 보유한 고정이하여신은 총 1조9708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7.1%(1512억원) 줄었다.


금융사는 보통 고정이하여신이란 이름으로 부실채권을 분류해 둔다. 고정이하여신은 금융사가 내준 여신에서 통상 석 달 넘게 연체된 여신을 가리키는 표현이다. 금융사들은 자산을 건전성에 따라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 다섯 단계로 나누는데 이중 고정과 회수의문, 추정손실에 해당하는 부분을 묶어 고정이하여신이라 부른다.


카드사별로 보면 우선 신한카드의 고정이하여신이 5250억원으로 같은 기간 대비 5.8% 감소했다. KB국민카드 역시 3079억원으로, 롯데카드는 3003억원으로 각각 16.0%와 19.4%씩 해당 금액이 줄었다. 삼성카드도 2047억원으로, BC카드는 562억원으로 각각 7.3%와 36.2%씩 고정이하여신이 감소했다.


반면 우리카드는 고정이하여신이 2263억원으로 24.9% 늘었다. 하나카드 역시 1867억원으로, 현대카드도 1636억원으로 각각 2.9%와 6.4%씩 관련 액수가 증가했지만 규모 자체는 크지 않은 편이었다.


신용카드사 고정이하여신 추이. ⓒ데일리안 부광우 기자

카드업계 전반의 이같은 부실채권 규모는 최근 2년 동안 쉼 없이 몸집을 불렸다. 2022년 2분기에 증가를 기록한 이후 여덟 분기 내내 확대 추세를 이어 왔다.


이는 한은 기준금리가 가파른 상승 곡선을 그리기 시작한 시기와 맞물려 있다. 통화정책 긴축 기조가 짙어지면서 금융비용 부담이 가중되고, 이로 인해 카드값조차 제때 갚지 못하는 이들이 많아졌다는 얘기다. 특히 취약계층 서민들이 많이 이용하는 카드론 대출에서의 부실도 심화할 수밖에 없었다.


한국은행은 2022년 4월부터 지난해 1월까지 사상 처음으로 일곱 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이중 7월과 10월은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p 올리는 빅스텝을 단행했다. 이에 따른 한은 기준금리는 3.50%로, 2008년 11월의 4.00% 이후 최고치를 유지해 왔다.


이런 와중에도 부실채권을 줄이는 데 성공할 수 있었던 건 카드사들이 스스로 손실을 감수하고 여신 건전성 관리에 사활을 걸었기 때문이다. 회수가 어려운 고정이하여신을 과감히 정리해 부실이 쌓이는 걸 막았다는 얘기다.


실제로 금감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용만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조사 대상 카드사들은 올해 상반기에만 1조6452억원의 부실채권을 매각한 것으로 집계됐다. 부실채권 매각은 금융사 입장에서 회수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판단된 대출을 처리하는 방식 중 하나다. 채권 원가에 훨씬 못 미치는 돈을 받고 자산유동화 전문회사 등에 이를 넘긴 것이다.


이대로라면 올해 카드업계의 연간 부실채권 매각액은 지난해 기록인 2조2374억원을 크게 뛰어넘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이뤄진 부실채권 매각도 전년보다 3배 이상 불어난 규모였다.


여기에 더해 한은이 기준금리 인하의 신호탄을 쏘면서 카드업계는 부실 관리 부담을 더욱 덜 수 있을 전망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예상보다 타이밍이 다소 늦어진 감이 있지만, 그래도 내년까지 추가 금리 인하가 이어지면서 부실채권 리스크도 점차 연착륙 수순에 들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부광우 기자 (boo073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