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올해 정책금융 공급규모 212조→240조…기보 합류

이호연 기자 (mico911@dailian.co.kr)
입력 2024.09.25 16:00
수정 2024.09.25 16:00

제8차 정책금융지원협의회 개최

금융위원회 내부 전경. ⓒ 금융위원회

산업은행, 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에 이어 기술보증기금도 정책금융지원협의회 참여한다. 이에 따라 올해 정책금융기관의 총 공급규모는 212조원에서 240조원으로 확대됐다.


금융위원회는 25일 서울 마포 프론트원에서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 주재로 정부 관계부처 및 정책금융기관과 함께 제8차 정책금융지원협의회를 개최하고 이같은 내용을 밝혔다.


협의회는 정책금융을 보다 효율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 2022년말 관계부처와 정책금융기관 합동으로 출범했다.


김소영 부위원장은 모두 발언을 통해 "산업 업황이 차별화되고 자금수요가 다양해지면서 정책금융도 보다 세분화되고 있다"며 "대통령이 반도체에 대해 경제이슈점검회의를 직접 주재하고, 범부처 차원에서 전략산업 TF가 운영되는 것은 그 예시"라고 했다.


이에 따라 "매년 산업별 정책금융공급계획을 결정하는 과정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으며, 내년에도 정책금융의 효율적인 배분이 가능하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부탁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협의회에서는 기보의 정책금융지원협의회 참여를 논의했다. 기보는 담보는 부족하지만 미래성장성이 높은 중소기업에게 적극적으로 자금을 공급하는 기관이다. 올해 28조5000억원 공급계획으로 운영 중이며, 정책금융지원협의회 선정 5대 분야에도 13조6000억원의 자금이 집중공급되고 있다.


김 부위원장은 “기보의 정책금융지원협의회 참여에 따라 5대 중점분야의 정책금융 지원계획이 기존 102조원에서 116조원으로 한층 더 풍부해졌다”며 “정책금융지원협의회 참여에 협조해주신 중소벤처기업부와 기술보증기금에 감사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책금융기관은 앞으로 늘어난 규모만큼이나 책임감을 가지고 주요 산업별로 중복없이 효율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해줄 것”을 당부했다.


기보의 참여로 올해 정책금융 총공급계획은 212조원 (▲산은 77조원 ▲기은 74조원 ▲신보 61조원)에서 240조5000억원(기보 28조5000억원 추가)으로 늘어났다.


정책금융공급계획 수립을 위한 의견수렴계획도 논의했다. 김 부위원장은 "내년에는 총량의 공급증가는 최소화하되, 부처별 산업정책을 반영한 5대 중점분야에 집중공급하고, 단순한 대출에 치우치기보다는 투자도 적극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4개 기관은 ▲글로벌 초격차 산업 육성 ▲미래유망산업지원 ▲기존산업사업재편 산업구조고도화 ▲유니콘 벤처중견육성 ▲기업경영애로 해소에 116조원을 지원한다. 각 부처는 연말 정책금융지원협의회를 통해 발표할 총 공급계획 및 5대 중점분야에 대한 자금공급에 반영할 수 있도록 금융위원회, 정책금융기관에 각 부처의 중점추진사업과 산업별 현안을 공유할 계획이다.


아울러 재정을 투입한 펀드인 성장지원펀드의 성과분석 결과도 공유했다. 성장지원펀드는 혁신기업에 대한 자금공급과 기업의 성장을 위해 3년간 8조원(실제 9조9000억원 조성)규모로 조성된 펀드다.


2018년 최초 결성이후 지난해 12월까지 1899건(기업수 1073개)에 투자했으며, 자펀드는 각 펀드 결성 후 15년이 경과한 2033~2035년중 순차청산 예정이지만, 기업투자 후 최소한의 시간(3년~5년)이 경과한만큼 일부 성과분석이 가능한 상황이다.


성장지원펀드의 투자성과 분석 결과 코로나 19등 외부환경이 악화됨에 따라 수혜기업, 일반기업 모두 성장성이 투자 전(2016~2017년)에 비해 투자 후(2022~2023년)에 낮아졌으나 수혜기업은 일반기업에 비해 투자 후 시점(2022~2023)에서 더 높은 성장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혜기업의 평균 영업이익률과 이자보상배율은 투자 전 대비, 일반기업 대비 낮았다.

김 부위원장은 "분석기간이 코로나 19를 겪은 직후로 전반적인 기업의 성과가 과거에 비해 좋지 않았지만, 성장지원펀드 수혜기업은 일반기업에 비해 높은 성장성을 보여 1차적인 목적은 달성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다만 "평균영업이익률, 이자보상배율이 낮아진 것이 일반적인 성장단계로 판단할 수 있을지에 대해 더 긴기간 추적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이번 분석은 재정투입펀드가 투입(Input)에서 나아가 기업성과를 개선(Output)했는지를 계량적으로 파악하는 최초의 시도로서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 분석방식의 고도화를 거쳐 정책금융을 보다 효과적인 산업분야, 기업규모, 투자방식, 시점에 맞추어 공급하는 데까지 발전해나가기를 바란다"고 했다.

이호연 기자 (mico91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