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국민이 인식한 가장 심각한 국가난제는 ‘인구구조 변화’

김소희 기자 (hee@dailian.co.kr)
입력 2024.08.06 14:30 수정 2024.08.06 14:30

국가난제 시급순도 인구구조 변화가 1위

보고서 표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국민이 생각한 국가난제 중 가장 심각한 건 ‘인구구조 변화’인 것으로 조사됐다.


6일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이 발간한 ‘2024 국가난제 분석 및 정책 시사점: 국민인식조사를 중심으로’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들은 우선 ‘인구구조 변화’를 각장 심각한 국가난제로 인식했으며, 국가가 가장 시급하게 다뤄야 할 국가난제로 꼽았다.


이번 보고서는 국가난제에 대한 위기인식: 심각성, 국가난제에 대한 위기인식: 시급성, 국가난제 해결의 수단: 정부·정책의 중요도, 국가난제 해결의 수단: 과학기술의 기여도, 국가난제가 해결 또는 완화될 경우, 국가에 미치는 파급영향을 물었다.


조사는 각 문항에 대해 응답자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5점 리커트 척도로 점수를 매기고 응답 값은 100점 만점으로 환산, 이에 대한 평균을 내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10대 국가난제 심각성 평균점수는 78.4점으로 ‘인구구조 변화(83.8점)’, ‘국토 불균형(82.9점)’, ‘국민 생계불안(79.8점)’, ‘환경보전(79.0점)’ 등 순으로 나타났다.


시급순은 ‘인구구조 변화(84.1점)’, ‘국토 불균형(83.2점)’, ‘국민 생계불안(80.8점)’ 등 순으로 조사됐다.


심각성에서는 ‘공급망 충격(76.7점)’, ‘인재확보(75.7점)’, ‘사회적 차별(77.3점)’, ‘자원순환/탄소중립(75.4점)’ 등이다.


시급성에서는 ‘환경보전(77.3점)’, ‘인재확보(76.1점)’, ‘사회적 차별(76.1점)’, ‘자원순환/탄소중립(75.9점)’, ‘지정학적 위기(75.9점)’ 등을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했다.


해결수단으로서 정부·정책의 중요도 조사 결과 ‘국토 불균형’이 정부·정책의 역할이 가장 중요할 것으로 평가됐다.


‘국토불균형(84.9점)’, ‘인구구조 변화(83.1점)’, ‘국민 생계불안(82.3점)’ 등 순서를 보였으며, 대부분의 국가난제 해결에서 정부·정책의 중요도는 높게 평가됐다.


과학기술이 국가난제 해결에 기여하는 정도에서 국민은 ‘공급망 충격’을 가장 높게 인식(‘공급망 충격(79.8점)’, ‘자원순환/탄소중립(78.3점)’, ‘환경보전(78.0점)’)했으며, 국민 대다수는 과학기술이 국가난제 해결에 기여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고 조사됐다.


10대 국가난제 중 ‘국토불균형’이 국가적 파급효과가 가장 클 것으로 조사됐으며, 국가난제가 해결 또는 완화될 경우, 국가적 파급영향은 ‘국토불균형(82.3점)’, ‘인재확보(82.2점)’, ‘공급망 충격(82.1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보고서 저자인 진승화 부연구위원(R&D혁신연구단)은 “국가난제란 국민의 현실적 체감도와 해결에 대한 기대가 높아 정부정책에서의 복잡성 관리 역량 개발과 정책혁신이 지속적으로 필요한 국가적 과제”라며 “국가난제를 바라보는 국민의 체감 인식을 면밀하게 살피며 정책적 대응 방향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홍성주 혁신시스템연구본부장은 “2024 국가난제 선정 및 분석 결과는 국가 차원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거나 국정 영향력을 높일 의제 선정 등에 활용 가능하다”며 “현 정부에서 신설되는 인구전략기획부의 역할처럼 앞으로도 정부의 국가난제 관리정책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소희 기자 (h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