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23일 출근길 지하철 1호선서 '난데없이 물벼락'…아직도 달리는 35살 철마 [데일리안이 간다 63]

김인희 기자 (ihkim@dailian.co.kr)
입력 2024.07.23 17:50
수정 2024.07.23 18:57

23일 아침 지하철 1호선 의정부행 열차서 에어컨 응축수 새어 나와…출근길 시민 불편 야기

서울교통공사 "노후도 심각한 것 충분히 인식…만성적 적자로 신형 전동차 도입 늦어져"

안전전문가 "예산 부족 이유로 전동차 내구연한 다가올 때마다 법 바꿔서 계속 연장한 것"

"예산과 안전 맞바꾼 것…정부, 지자체에만 맡겨 놓지 말고 중앙 재정 적극 투입해야"

23일 아침 1호선 의정부행 전동차 천장에서 새어 나온 물로 흥건해진 전동차 바닥.ⓒ데일리안 김인희 기자

서울교통공사가 운행하는 지하철 전동차량의 노후도가 심해지고 있는 가운데 23일 아침에는 운행 중인 전동차의 천장에서 에어컨 응축수가 새어 나와 출근길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서울교통공사는 "구형 전동차의 노후화 문제는 충분히 인식하고 있다"면서도 "만성적인 적자와 예산 문제로 곧바로 신형 전동차로 교체하는 것은 어렵다"고 강조했다. 여기에 전동차 내구연한이 다가올 때마다 법을 바꿔가면서 연장했던 관행으로 이런 노후 전동차가 여전히 남아있다는 지적이다.


이날 오전 지하철 1호선 의정부행 열차에서는 때 아닌 '물난리'가 벌어졌다. 객실 한복판의 천장에서 물이 약 1분 간격으로 새어 나왔는데 아래쪽에 서 있던 승객들이 난데없는 물벼락을 맞았다.


새어 나온 물의 양도 적지 않았다. 한 번 나올 때마다 종이컵 절반을 충분히 채울만한 물이 흘러내렸다. 당시 비가 내리지 않고 있었던 만큼 빗물이 샌 것은 아니고 냉방을 위한 에어컨 응축수가 새어 나온 것으로 보였다.


1호선 의정부행 열차 천장에서 물이 새어나오는 곳(붉은 원 안)을 피해 승객들이 자리를 잡고 있다.ⓒ데일리안 김인희 기자

열차가 운행되는 내내 물이 계속 흘러내렸는데,혼잡한 전동차 안의 시민들은 흘러내리는 물에 여간 신경이 쓰이는 것이 아니었다. 열차의 노후도가 상당한 것으로 보여 객실 끝의 제작연도를 확인한 결과 1989년 제작된 전동차임을 알 수 있었다.


이날 물이 새어 나온 전동차는 서울교통공사에서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로 분류된다. 이 차량 기종은 1974년 일본 직수입으로 도입된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전동차라는 타이틀도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해 우리나라에 지하철이 처음 개통될 당시의 '박물관급' 기종이 5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운행하고 있는 것이다.


물이 새어 나온 전동차는 1989년 대우중공업에서 제작한 DEC05 전동차로 35년 된 기종이다. 서울교통공사 기준으로는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로 분류된다.ⓒ데일리안 김인희 기자

물론 개통 당시와 완전히 동일한 것은 아니고 국산화를 거쳐 1989년 대우중공업에서 제작한 것이다. 제작 당시에는 에어컨도 장착돼 있지 않았지만 2015년에 냉방기 교체, 객실 내 LED 행선기 설치, 외부 행선기를 LED로 개조, 회로장치 수선, 스크류식 압축기 적용 등의 개조를 거쳤다.


서울교통공사에서 운행하는 1호선 139편성 가운데 6편성이 이 기종이다. 전체 편성 대비 약 4.5% 정도의 비중이지만, 1호선이 워낙 장거리를 운행하는 노선이다보니 이 전동차를 이용하는 승객들의 불만사항도 꽤 많은 편이다. 대표적인 불만사항은 여름철 냉방능력 부족, 출입문 개폐시의 소음, 다른 전동차 대비 심한 좌우 진동 등이다. 그리고 외관으로만 봐도 노후된 것이 눈에 띌 정도라서 안전에 대한 우려도 높은 편이다.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에서 앞 두 자리가 11로 된 차량은 상행선 기준 뒤에서 두 번째, 하행선 기준 앞에서 두 번째 객실이다. 운전실이 있는 객실과 바로 이어져 있는데다가 제어기·주저항기·공기압축기·축전지·견인전동기(TM) 등 여러 전기장치를 탑재하고 있다. ⓒ데일리안 김인희 기자

이날 누수가 발생한 전동차의 번호는 1112다.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에서 앞 두 자리가 11인 객실은 일명 'M 차량'으로 상행선은 뒤에서 두 번째, 하행선은 앞에서 두 번째가 된다. M 차량은 운전실이 있는 맨 끝 차량과 이어져 있는 데다가 주제어기·주저항기·공기압축기·축전지·견인전동기 등 여러 전기 장치를 탑재하고 있다. 만약 이날 새어 나온 물이 전기 장치로 흘러 들어갔다면 열차 운행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했을 가능성도 있다.


현직 서울지하철 관련 종사자는 "전동차 운행 중에는 즉각적인 수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운행 능력에 문제가 없는 고장은 운행 종료 후 차량 기지에서 수리를 진행하고 있다"며 "1000호대 저항 제어 전동차들의 노후도가 심각한 것에 대해서는 충분히 인식하고 있고 2027년부터 2029년까지 순차적으로 퇴역시키고 신형으로 대체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1호선과 개통 시기가 비슷한 2·3호선에서도 노후 전동차는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철도박물관'에 전시된 우리나라 최초의 전동차와 동일한 기종이 지금껏 철로 위를 달리고 있는 상황에 대해 안전전문가들은 예산과 안전을 맞바꾼 것이라고 질타했다.


한국산업안전협회 관계자는 이날 "전동차의 내구 연한은 철도안전법이 제정될 당시 15년이었다. 그랬다가 기술 발전으로 인해 1990년대 초에 25년까지 연장됐다"며 "2009년에는 안전 진단을 통과한 차량은 최대 40년까지 사용할 수 있게 계속 연장됐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연장된 시기를 보면 모두 초기 도입 전동차의 내구연한이 가까워졌을 때다. 예산 부족을 이유로 법을 바꿔가면서 계속 연장 사용해왔다는 얘기"라며 "그렇기에 저런 1980년대 제작 차량도 여전히 합법적으로 달리고 있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한국철도운행관리자협회 관계자도 이날 데일리안과의 통화에서 "대한민국 지하철은 어느 곳이나 적자 사업이고 지자체의 부담이 크기 때문에 신형 전동차 도입이 늦어지고 있는 것"이라며 "전동차 노후도 문제는 안전과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정부에서 지자체에만 맡겨 놓지 말고 중앙 재정을 투입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인희 기자 (ihkim@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